여기에뉴스를 즐겨찾기에 추가
검색
메뉴 열기/닫기
Today
인터뷰
산업뉴스
기획특집
기술제품동향
해외산업동향
포토/카드뉴스
기획
특집
뉴스홈
기획특집
국내 DCS 시장동향/(4)지멘스
지멘스 장동철 부장(오른쪽)·이의연 차장(왼쪽)(사진. 여기에) Q. 지난 2020년 국내 공정자동화 및 EPC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2020년은 많은 기업들에게 힘든 시기였다. Covid-19으로 인해 소비시장이 얼어붙어 유가가 배럴당 평균 40달러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EPC사의 해외 대형프로젝트 수주가 줄었고, 이로 인해 공급업체들이 국내 중·소형 프로젝트 및 업그레이드 프로젝트에 집중해 이들 시장에서의 경쟁이 심화된 한 해였다. 특히 자가격리 문제로 진행 중인 해외 프로젝트에 엔지니어를 파견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4-28 17:41:43
국내 DCS 시장동향/(3)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 박강석 차장(사진. 여기에) Q. 지난해 국내 DCS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여러 기관에서 나온 지표를 보면 공정제어 시장이 회복되기까지는 5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난 몇 년 동안 조선 해양분야를 포함한 및 공정제어 시장이 침체되면서, 지난해는 DCS 시장이 축소되고 긍정적으로 보면 현상을 유지하는 정도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DCS 시장규모는 DCS를 어디까지 포함시키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DCS 하드웨어와 I/O모듈, 세이프티, ICM(상태 및 진동 감시 솔루션), 소프트웨어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4-28 17:21:02
국내 DCS 시장동향/(2)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황인상 이사(사진. 여기에) Q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글로벌 시장점유율 1위의 SIS(Safety Instrumented Systems, 안전 계측 시스템) 공급업체다. 지난 2020년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의 EPC 및 공정자동화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A. 지난해는 코로나로 EPC 산업 전반에 걸쳐 비즈니스 측면에서 성과가 저조했다. 투자가 위축이 되고 원래 계획됐던 프로젝트들도 보류가 되거나 축소가 됐다. 하지만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몇 가지 의미 있는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작년 초반에 50억 원 규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4-28 16:36:21
국내 DCS 시장동향/(1)한국요꼬가와전기
한국요꼬가와전기 조경래 부장(사진. 여기에) Q. 지난 2020년 국내 DCS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2020년 한국경제는 국내 코로나19의 유행으로 내수 부진이 심화됨과 동시에 소비와 고용이 큰 폭으로 감소하여, 내수를 중심으로 경기 부진이 지속됐다. 반도체 중심으로 설비 투자가 증가하였으나. DCS 관련 업종의 설비 투자는 침체됐다. 이로 인해 DCS 시장은 전년도 대비 시장 규모면에서 축소되었고, DCS 업체간 경쟁이 심화되어 DCS Market share는 전년도와 동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기술적으로는 COVID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4-28 16:08:31
Special Report/국내 DCS 시장동향(총괄본문)
지난 2020년은 공정자동화 업계에 어려운 한 해로 기록됐다. 코로나로 인해 소비시장이 침체되어 유가가 하락하면서 DCS를 사용하는 고객사의 투자가 감소되고, EPC사의 해외 대형프로젝트 수주가 줄어들면서 공급업체들이 국내 중·소형 프로젝트 및 업그레이드 프로젝트에 집중해 이들 시장에서의 경쟁이 심화된 한 해였다. 업계 전문가들은 최근 DCS(Disstributed Control System 분산제어시스템) 업계의 기술 트렌드로 오픈 아키텍처와 사이버보안의 강화, IT와 OT의 융합을 꼽는다. DCS 4개사의 최근 행보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4-28 15:49:05
메이저 자동화 기업들의 반도체 시장전략/(9)한국미쓰비시전기
한국미쓰비시전기 장대록 그룹장(사진. 여기에) Q. 한국미쓰비시는 FA업계에서 비중이 큰 기업이기 때문에, 매년 한국미쓰비시의 사업성과에 관련업계의 관심이 크다. 아직 2020년 회계연도가 끝나지 않았지만, 2020년 전체 매출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나? A. 우리는 회계연도가 3월에 끝나는데, 생각했던 것보다 이차전지 분야 등의 수요가 확대되면서 예상했던 만큼의 매출이 이루어질 것 같다. Q. 지난 2020년 한국미쓰비시전기의 반도체 분야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A. 한국 미쓰비시는 창사 이래 십 수 년 동안 FPD 위주로 사업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3-26 17:38:02
메이저 자동화 기업들의 반도체 시장전략/(8)터크코리아
터크코리아 박종민 과장(사진. 여기에) Q. 지난 2020년 터크코리아의 반도체 분야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A. 지난 2020년, 터크코리아의 반도체 분야 매출은 2019년 대비 두 자릿수의 성장을 기록했다. 괄목할 만한 매출 성장과 더불어,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는 성과도 있었고, RFID 시스템이나 데이터 무선 모니터링 등 의미 있는 비즈니스를 진행함으로써, 시스템 비즈니스를 발전시킨 한 해였다. Q. 신규고객사라면 엔드유저인가, 장비사인가? A. 엔드유저도 있고, 가스업체와 같은 장비사도 있다. 모 반도체 엔드유저의 경우,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3-26 17:07:10
메이저 자동화 기업들의 반도체 시장전략/(7)Keysight
Keysight Ee Huei Sin Senior Vice President, Keysight Technologies President, Electronics industrial Solutions Group(EISG) Q. 지난 2020년 키사이트 코리아의 반도체 분야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A. 코로나19 팬데믹의 혼란에도 불구하고, 키사이트의 전체 반도체 사업은 2020 회계년도에 두 자릿수 성장을 보였다. 이 탁월한 결과는 스마트 폰, 고성능 컴퓨팅,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및 데이터 센터에 대한 강력한 수요가 주도했다. Q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3-26 16:25:17
메이저 자동화 기업들의 반도체 시장전략/(6)스웨즈락 코리아
스웨즈락 코리아 김재규 이사(사진. 여기에) Q. 지난 2020년 스웨즈락코리아의 반도체 분야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올 2021년 반도체 시장 전망은 어떻게 하나? A. 스웨즈락(Swagelok)은 유체 시스템 솔루션업체로서 전반적인 반도체 제조 벨류체인에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반도체시장 성공을 장기 및 단기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5G, IoT, AI로 인한 전례 없는 반도체 수요와 재택근무 트렌드에 발맞춰, 스웨즈락의 반도체분야 고객들도 미래를 위해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투자는 시장 전체를 예측하는 중요한 요소다.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3-26 16:04:22
메이저 자동화 기업들의 반도체 시장전략/(5)Eurotherm by Schneider Electric Korea
Eurotherm by Schneider Electric Korea 신동현 수석(사진. 여기에) Q. 지난해 유로썸(Eurotherm)의 반도체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A. 지난해 한국시장에서 유로썸 반도체 분야 비즈니스는 대단히 좋았다. 유로썸은 전통적으로 철강 등의 열처리 및 유리, 식품·소비재(Customer Packaged Goods) 분야를 타깃으로 한 사업에 주력했는데, 3~4년 전부터 반도체 분야도 타깃시장에 추가하여 메인 비즈니스로 성장 시키고 있다. 반도체 분야는 지난 2017년에 슈퍼사이클을 맞이했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3-26 15:40:15
메이저 자동화 기업들의 반도체 시장전략/(4)B&R
B&R 옥태령 과장(사진. 여기에) Q. B&R이 아직까지 반도체 분야에 강한 기업은 아니다. B&R에서 반도체 분야에 집중하기 시작한 것이 4년여 전쯤으로 기억이 되는데, 지난해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A. 맞다. B&R코리아에서는 2017년부터 반도체 전문인력을 보강하는 등 반도체 분야를 확대하기 위한 본격적인 작업을 시작했다. B&R은 제품만 판매하기보다는 고객과의 밀접한 소통을 통해 함께 성장하는 전략으로 사업을 진행해왔다. 사실 반도체 장비 개발은 롱텀이다. 한번 개발에 들어가면 아무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3-26 11:53:03
메이저 자동화 기업들의 반도체 시장전략/(3)보쉬렉스로스코리아
보쉬렉스로스코리아 강혁구 팀장(사진. 여기에) Q. 보쉬렉스로스코리아에서는 10여 년 전 반도체와 디스프레이 등을 타깃으로 본격적인 사업을 개시하겠다는 전략을 알리는 대규모의 대외행사를 개최한 적이 있다. 반도체 분야에서 그동안 예상했던 만큼의 성과가 나오고 있나? A. 지금 얘기한 것처럼, 우리 보스렉스로스코리아는 지난 2011년부터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분야를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매출을 강화해 나가기 위한 전략을 전개해 왔다. 이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큰 성장과 매출을 확보해온 분야는 디스플레이다. 2015년부터 20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3-26 11:29:20
FIRST
PREV
1
2
3
4
5
NEXT
LAST
기획
특집
더보기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2)STXI Motion Korea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9)헵코모션 코리아
IoT 게이트웨이 시장동향/(6)터크코리아
IoT 게이트웨이 시장동향/(5)HMS 인더스트리얼 네트웍스 코리아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6)파익스
제품
뉴스
더보기
(주)세고산업, 신제품 '공작기계용 침수형 입형다단원심펌프' 출시
(주)대경유압, 600톤 저상형 수직사출기 등 9기종 CE인증 획득
(주)인터에임, 2021 인터몰드코리아(온)서 금형 메인터넌스 핵심 솔루션 공개
아비바, 구독기반의 오퍼레이션 컨트롤 솔루션 출시
많이 본
뉴스
[인터뷰] 세계로 향하는 대한민국 보링헤드의 자존심, 대원하이텍
첨단기술 융복합 전시회 ‘SMART TECH KOREA 2022’ 성료
POM 대체 솔루션으로 떠오르고 있는 ‘폴리케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