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뉴스를 즐겨찾기에 추가
검색
메뉴 열기/닫기
Today
인터뷰
산업뉴스
기획특집
기술제품동향
해외산업동향
포토/카드뉴스
해외산업
동향
뉴스홈
해외산업동향
폴란드 산업용 로봇 시장 동향
폴란드 정부는 단순 제조업 분야에서 벗어나 혁신적인 신기술을 접목시키는 4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산업 자동화 및 로봇화를 적극 장려하고 있다. 지속적인 임금상승 및 제조인력 수급 부족현상으로 폴란드 제조업 현장의 자동화 및 산업용 로봇 도입 비중이 지속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폴란드 산업용 로봇 시장 현황과 미래 시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사진. 유니버설 로봇) 폴란드 산업용 로봇 도입 현황 국제로봇연맹(IFR)에서 발표한 2020년 기준 폴란드 제조업 근로자 1만 명당 산업용 로봇 수는 52대이
로봇
윤소원 기자
2022-04-26 17:13:56
호주 현지 제조업, '코봇' 도입 동향
코로나 이후에도 지속되는 글로벌 물류대란, 원자재 수급 부족 현상 등 어려움에 직면하면서 현지 제조업에 대한 수요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다. 그러나 장기간 이어졌던 봉쇄정책으로 노동력에 의존하는 대부분의 제조사가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이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호주 업계에서는 사람과 함께 일하는 협동 로봇인 코봇(Cobot)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호주 제조산업 분야에서 코봇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난해 8월 연방정부 산하의 호주 연구소 Australian
로봇
윤소원 기자
2022-03-24 10:13:46
독일 자율 이동 로봇 도입 동향
2021년 10월 국제로봇협회(IFR)는 2020년 코로나19 위기에도 불구하고 세계 산업용 로봇 판매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1위인 한국에 이어 세계 로봇 밀도 4위인 독일은 로봇의 사용 못지않게 생산 입지 구축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에 본지에서는 코로나19에 따른 산업 및 생활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부상하고 있는 자율 이동 로봇 시장의 잠재력을 점검해본다. 1. 글로벌 로봇 도입 대수 사상 최고치 기록 지난 2021년 10월 말 발표된 국제로봇협회(이하 IFR)의 World Robotics 2021에 따르
로봇
윤소원 기자
2022-02-22 11:11:54
홍콩 재공업화 산업동향
제조업의 생산 감소에 따른 불균형의 산업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해 홍콩 정부는 재공업화(Re-Industrialization) 전략을 통해 현지 제조업의 경쟁력 향상에 나선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홍콩의 제조업 관련 대기업들도 자체적인 생산성 강화를 위한 스마트 생산 도입을 가속화하는 상황이다. 이에 우리나라 정부 또한 유망 기업들의 현지 진출을 위해 홍콩 정부와 산업인재 양성을 위한 협력에 나설 필요가 있다. 1. 홍콩 공업 현황 1960년대부터 제조업을 중심으로 발전했던 홍콩은 의류, 전자, 플라스틱 등 제품의 높은 품질로 해외 시
로봇
윤소원 기자
2022-02-21 10:23:42
독일, 플라스틱 재활용을 디자인하다
코로나19 위기로 록다운 시행과 함께 온라인 쇼핑이 활성화되면서 기후 중립을 향한 독일 및 EU 차원의 노력이 무색하게도 플라스틱 폐기물은 증가 추세이다. 여러 현실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탈 플라스틱이라는 시대적 도전과제를 헤쳐 나가기 위해서는 적절한 분리수거 외에도 제품 포장 디자인이나 재활용 프로세스 최적화 등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통해 미래에는 포장재 플라스틱 소재의 75%가 재활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탈 플라스틱’은 시대적 도전과제 독일에서는 현재 폐기물 수거를 위해 플라스틱 봉투 유상제, 일회용 음료수병 및
화학/고무/플라스틱
윤소원 기자
2022-01-26 09:19:39
터키 플라스틱 산업 동향
코로나19 위기로 록다운 시행과 함께 온라인 쇼핑이 활성화되면서 기후 중립을 향한 독일 및 EU 차원의 노력이 무색하게도 플라스틱 폐기물은 증가 추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일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으며 차후 디지털 워터마크를 활용한 패키징을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수출 기업 역시, 제품 포장 디자인에서 폐기물 재활용에 이르는 폐기물 관리에 적극적인 행보와 책임 의식에 대한 고취가 필요한 시점이다. 시장 동향 터키의 플라스틱 산업은 터키의 주요 산업 중 하나로, 2015~2020년 연평균 2.1%의 성장률
화학/고무/플라스틱
윤소원 기자
2022-01-25 10:25:18
이라크, 주변국과의 전력망 연결로 전력부족 해결 주목
이라크 최초의 전력연결은 1917년 바그다드의 Khan Dala 빌딩에서 시작됐으며, 1955년 Baghdad Light and Power 사가 국유화됐다. 1991년 걸프전 당시 많은 인프라가 파괴됐고, 1999년 당시 산업광물부로부터 전기 위원회(Commission of Electricity)가 독립해 설립됐다. 당시 발전용량은 약 4,500㎿ 수준이었다. 이라크 전력부는 2003년에 설립됐으나 이라크는 지속적인 전력부족을 겪고 있으며, 2011년 기준으로 수요의 55%만을 충족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IEA 2012년 자료 기
Global Info
김용준 기자
2022-01-12 14:57:35
카자흐스탄, 가스화 정책 주요 전략적 우선순위로 추진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 최대 산유국이며, 원유 확인 매장량은 2020년 기준 300억 배럴로 세계 12위 (점유율 1.7%)이다. 아울러 가스 매장량도 2020년 기준 2조 3천억㎥ 에 달한다. 대부분 카자흐스탄 북서부 카스피해 유역의 Karachaganak, Tengiz, Kashagan, Uzen 유전에 매장되어 있고, 이는 전체 매장량의 89%를 차지한다. 원유 및 가스 주요 매장지 자료원 : Research Gate BP 통계에 따르면, 일평균 원유 생산량은 2019년 191.9만 b/d에서 2020년 181.1만 b/d로
Global Info
김용준 기자
2022-01-07 14:44:35
미국 정부, 반도체 경쟁력 확보 위한 친기업 정책 확대
산업 특성 바이든 정부는 미국의 반도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법안을 발의하고 있다. ‘CHIPS(Creating helpful Incentives to Produce Semiconductors) for America Act’와 ‘American Foundries Act’가 대표적이다. CHIPS for America Act에는 새로운 미국내 반도체 제조시설을 장려하는 연방 보조금 프로그램(100억 달러)을 포함한 다양한 연방 투자를 포함한다. 즉, 반도체 연구개발에 대한 연방 투자
Global Info
김용준 기자
2022-01-07 14:23:01
네덜란드 물류산업, '트럭 플래투닝' 기술 적용 전망 가능성 타진
네덜란드가 로테르담 항만과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을 두고 유럽 물류의 중심지라는 사실은 익히 알려져 있다. 그 만큼 물류 산업은 대표적인 네덜란드 선도산업으로 2020년 DHL 글로벌 연결 인덱스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다만 이러한 물류 산업도 배출량 감소 목표에 자유롭지 않다. 기후 협약에 따라 네덜란드 물류 산업은 2030년까지 35Mt의 CO2 감소를 달성해야 하며, 이를 위해 네덜란드는 2025년까지 대도시의 배출 가스 제로존을 30-40개를 설치할 계획이다. CO2 배출을 하지 않는 친환경 교통수단을 도시 외각에서부터
Global Info
김용준 기자
2022-01-07 13:34:29
중국 의료로봇 시장 동향
최근 중국 내에서 의료 수요가 증가하고 의료로봇의 연구개발이 심화되면서 의료로봇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의료로봇은 높은 효율과 정확성 덕분에 다양한 의료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환자들의 의료비용도 낮춘다. 최근 코로나19 확산 이후에는 효과적인 방역을 위한 의료로봇들이 다수 등장했으며, 현재 중국이 도입한 의료정책 등으로 적용분야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사진.Fourier Intelligence) 1. 시장동향 중국 내 의료 지출 및 환자는 증가하고 있으나 부족한 의료서비스로 인해 의료 로봇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지난 2020
로봇
윤소원 기자
2022-01-04 14:12:29
미국 내 공장의 핵심기계 무인운반차 AGV
AGV란 Automated Guided Vehicle의 약어로, 주행 라인에 부착된 RFID 또는 태그(바코드)를 인식해,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하는 로봇이다. AGV는 주행제어와 위치인식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를 보장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데, 특히 향후 로봇 및 물류 산업에서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그 가치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한편, 최근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다수의 물류 및 자동화 관련기업들이 AGV를 활용한 시스템 체계를 구축하는 데 노력하고
로봇
윤소원 기자
2021-12-31 09:08:08
FIRST
PREV
1
2
3
4
5
NEXT
LAST
기획
특집
더보기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7)엠투아이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10)델타일렉트로닉스 코리아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2)STXI Motion Korea
IoT 게이트웨이 시장동향/(6)터크코리아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3)야마하 모터(YAMAHA MOTOR) · 아이뎀
제품
뉴스
더보기
[기획특집] 스마트공장 정보시스템 구축 방향 Ⅲ
(주)인터에임, 2021 인터몰드코리아(온)서 금형 메인터넌스 핵심 솔루션 공개
(주)에버온, 10㎾급 멀티 충전기 출시
한국재료연구원, 고경도·고밀도 세라믹 마이크로입자 제조기술 개발
많이 본
뉴스
베바스토코리아, 전기자동차 배터리 팩 생산 공장 준공
[인터뷰] 집진기 제조 전문기업, 은진환경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