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뉴스를 즐겨찾기에 추가
검색
메뉴 열기/닫기
Today
인터뷰
산업뉴스
기획특집
기술제품동향
해외산업동향
포토/카드뉴스
기획
특집
뉴스홈
기획특집
IoT 게이트웨이 시장동향/(1)Beckhoff Korea
Beckhoff Korea 권정현 차장(사진. 무인화기술) Q. 지난 2020년 국내 IoT 게이트웨이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2020년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IoT 성장이 다소 주춤한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가 발표한 전 세계 IoT 지출 가이드(Worldwide Internet of Things Spending Guide)의 업데이트 정보에 따르면, 2020년 글로벌 IoT 시장의 지출 규모는 코로나19의 대유행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8-26 09:44:18
Special Report/IoT 게이트웨이 시장동향(총괄본문)
인더스트리 4.0이나 스마트 팩토리는 빅데이터, 머신러닝, AI, 클라우드와 같은 기술을 생산현장에 적용하여, 설비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한 데이터를 통해 설비의 개선 작업이 가능해지며, 궁극적으로 더 나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시스템을 구축한 공장을 의미한다. 그러나 생산 현장은 최신 설비부터 수십년 된 설비까지 그리고,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들을 사용한 설비들이 산재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설비들의 고유의 통신방식과 언어를 모두 알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가능하다고 해도 많은 인력이 소요된다. 이러한 수고를 최소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8-26 09:20:44
저압 인버터 메이저 7개사의 시장전략/(7)한국야스카와전기
한국야스카와전기 이응호 팀장(사진. 무인화기술) Q. 지난 2020년 국내 인버터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지난해는 코로나사태의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경기가 침체된 상황이었다. 다행히 글로벌하게 정부차원에서 경기부양책을 많이 내놓으면서, 이와 관련해 수요가 증가되는 부분이 있었다. 한국야스카와전기 역시, 2020년 상반기에는 매출이 좋지 않았다가 하반기부터 회복추세로 전환이 됐고, 특히 반도체 및 전기차 관련 시장에서의 신규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 Q. 지난해 국내 인버터 시장 규모는 어느 정도로 추정을 하나? A. 약 1600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7-26 14:30:40
저압 인버터 메이저 7개사의 시장전략/(6)지멘스
지멘스 가현석 부장(사진. 지멘스) Q. 지난 2020년 국내 저압 인버터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작년 2020년은 COVID-19로 인하여 예측하기 어려운 한 해를 지났으나, 작년 하반기부터 반등하기 시작하여, 전통적인 팬, 펌프 시장 및 배터리, 물류, 특히 해외 크레인 사업에서 괄목한 만한 성장을 이룬 한 해였다.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 계획되었던 프로젝트가 기약없이 지연되는 사례가 있었으나, 해외시장은 제한된 환경에서도 투자 감소없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었으며, 국내시장은 배터리 및 전기차 관련 산업이 투자를 이끌었다.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7-26 14:12:48
저압 인버터 메이저 7개사의 시장전략/(5)ABB
ABB 박성열 차장(사진. ABB코리아) Q. 지난 2020년 국내 저압 인버터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지난해 저압 인버터 시장은 ‘혼돈’과 ‘기대’로 상반된 두 단어가 공존한 해였다. 한해 내내 COVID-19의 영향을 받아 해외수출이 급감하여 수출기업 중심으로 장비업체들의 어려움이 컸다. 또한, 해외 EPC 프로젝트가 줄줄이 지연되거나 취소되었고, 국내 건설경기도 저조했다. 다만, COVID-19의 영향으로 식음료와 물류 시장이 확대되었으며, 아울러 정부 주도의 그린뉴딜 정책의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7-26 13:54:36
저압 인버터 메이저 7개사의 시장전략/(4)보쉬렉스로스 코리아
보쉬렉스로스 코리아 이준영 사업부장(사진. 무인화기술) Q. 보쉬렉스로스가 새롭게 선보이고 있는 ctrlX AUTOMATION은 국내에서 사업진행 상황이 어떠한가? A. PLC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과거에는 PLC라고 하면 일반인과 거리가 멀었다. 그러나 요즘 세대는 래더 프로그램을 짜서 사용하는 PLC는 친숙하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기기와 같은 콘셉트로 컨트롤의 개념을 획기적으로 바꾼 게 ctrlX AUTOMATION이다. 스마트기기의 앱처럼 쓸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게 ctrlX라서, 이것이 산업계에 화산이 된다고 하면 상당히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7-26 12:00:00
저압 인버터 메이저 7개사의 시장전략/(3)로크웰 오토메이션
로크웰 오토메이션 김상균 부장(사진. 무인화기술) Q. 저압 인버터들이 이제는 네트워크로 가는 게 추세인 것 같다. A. 공장에서 사용하는 전기에너지의 60%를 모터가 사용하기 때문에, 모터를 제어하는 인버터는 공장에서 가장 중요한 설비라고 할 수 있다. 모터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게 중요한데, 이게 스마트한 PLC만 장착한다고 되는 것도 아니고, 시스템 하단의 손발이 되는 기기들도 스마트해야 되는 거니까, 모터를 제어하는 제품들도 스마트한 제품을 사용하는 게 스마트 팩토리로 가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한 번에 대규모의 투자를 할 수는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7-26 11:32:45
저압 인버터 메이저 7개사의 시장전략/(2)댄포스코리아
댄포스 코리아 드라이브 사업부 인더스트리팀 심항수 팀장(사진. 무인화기술) Q. 지난해 저압 인버터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당초 성장세를 예상했다가 코비드19가 확산되면서, 2020년 전반기까지는 2019년에 계획된 프로젝트들이 진행된 부분이 있는데, 하반기부터 예측불가능한 상황으로 가다 보니까, 예정되어있던 프로젝트들이 연기되는 것은 물론이고, 신규 프로젝트들이 없어서 우리뿐만 아니라 AC 드라이브 업계가 침체기였던 것으로 생각한다. 전체 시장규모는 3천억 원 내외로, 성장세가 꺾인 것으로 보인다. Q. 전반적인 침체 분위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7-26 11:04:42
저압 인버터 메이저 7개사의 시장전략/(1)LS일렉트릭
LS일렉트릭 최인식 실장(사진. LS일렉트릭) Q. 지난 2020년 국내 저압 인버터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지난해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산업 전반의 투자 심리가 위축됨에 따라, 시장 전체가 역성장을 피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더욱이 선진사 제품의 가격 하락과 저가 중국 제품의 진출로 인버터 시장의 가격 경쟁은 그 어느 때 보다 격화되고 있으며, 거기에 원자재 수급 불안 이슈까지 겹치면서 원가 부담은 한층 가중되고 있다. 여기에 고객의 니즈 또한 과거 퍼포먼스 위주의 기술 중심에서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고효율 모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7-26 10:29:06
Special Report/저압 인버터 메이저 7개사의 시장전략(총괄본문)
국내 저압 인버터 시장은 단품과 판넬 타입을 합해 약 2천5백억 원 안팎의 규모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이 된다. 이 시장에는 국내업체인 LS일렉트릭이 HVAC 시장에서만 40% 정도의 점유율을 확보, 저압 인버터 업계 부동의 1위를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미쓰비시 및 야스카와전기와 같은 일본업체들과 ABB나 지멘스, 댄포스, 보쉬일렉트릭과 같은 유럽업체, 로크웰 오토메이션과 같은 미국업체들이 참여해 치열한 경쟁을 전개하고 있다. 지난해 인버터 업계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상반기는 대부분의 업체가 어려움을 겪다가, 하반기부터 시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7-26 10:16:11
산업용 네트워크 장치 메이저 5개사의 시장전략/(5)(주)토마스
㈜토마스 성호준 이사(사진. 여기에) Q. 지난 2020년 국내 산업용 네트워크 장치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전 세계 코로나 사태로 인해 매우 불안정한 경제 상황 속에서 산업용 네트워크 사장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유가 하락으로 인한 해외 플랜트 투자감소와 전 세계적인 화석연료 감소 추세로 인해 전통적 발전설비 투자감소 등의 영향 및 국내의 많은 비용이 코로나사태 수습에 집중되면서 국책사업 투자까지 감소해, 2020년은 어려운 한 해를 보낸 것이 사실이다. 이런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많은 기업이 OT 솔루션을 신규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6-29 15:34:50
산업용 네트워크 장치 메이저 5개사의 시장전략/(4)지멘스
지멘스 박주경 부장(왼쪽)· 박양수 차장(사진. 여기에) Q. 지난 2020년 국내 산업용 네트워크 장치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다른 시장과 마찬가지로,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국내외 프로젝트가 많이 줄었고, 이는 산업용 네트워크 비즈니스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기술 표준화 및 평준화에 따라, 기존 산업용 스위치 시장은 이미 경쟁이 치열하다. 그러나 산업용 무선랜 통신, 프로세스 버스 네트워크, PoE(Power over Ethernet), Cyber Security 등 새로운 네트워크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6-29 15:00:42
FIRST
PREV
1
2
3
4
5
NEXT
LAST
기획
특집
더보기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7)엠투아이
IoT 게이트웨이 시장동향/(6)터크코리아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8)유니버설로봇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3)야마하 모터(YAMAHA MOTOR) · 아이뎀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10)델타일렉트로닉스 코리아
제품
뉴스
더보기
(주)대경유압, 600톤 저상형 수직사출기 등 9기종 CE인증 획득
[기획특집] 스마트공장 정보시스템 구축 방향 Ⅲ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암모니아에서 그린수소 추출 기술 개발 완료
한국재료연구원, 고경도·고밀도 세라믹 마이크로입자 제조기술 개발
많이 본
뉴스
[인터뷰] 세계로 향하는 대한민국 보링헤드의 자존심, 대원하이텍
첨단기술 융복합 전시회 ‘SMART TECH KOREA 2022’ 성료
POM 대체 솔루션으로 떠오르고 있는 ‘폴리케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