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뉴스를 즐겨찾기에 추가
검색
메뉴 열기/닫기
Today
인터뷰
산업뉴스
기획특집
기술제품동향
해외산업동향
포토/카드뉴스
기획
특집
뉴스홈
기획특집
국내 근접센서 시장 동향/(2)발루프 코리아
발루프 코리아(Balluff Korea) 기술영업팀 오윤석 차장 (사진 무인화기술) Q. 국내 근접센서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근접센서 전체 시장규모를 금액으로 추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FA분야에서 포토센서와 근접센서는 가장 기본 아이템이면서 꾸준하게 시장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근접센서 시장이 작지 않다. 국내도 그렇고 중국도 그렇고, 웬만한 센서업체들은 대부분 근접센서를 생산한다. 따라서 그만큼 공급업체 간 경쟁도 심하다. 이런 상황에서 현재, IO-Link 센서라든지 유도식 근접센서와 같은 제품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2-09-27 17:14:33
국내 근접센서 시장 동향/(1)오토닉스
오토닉스 FA영업1팀 고석민 부장(왼쪽)· 상품기획팀 서성현 대리(오른쪽) (사진 무인화기술) Q. 국내 근접센서 시장규모를 어느 정도로 보나? A. 근접센서를 어떤 개념으로 보느냐에 따라 근접센서의 범위가 달라진다. 우리 오토닉스는 유도식과 정전용량식, 자기식 이 3가지를 생산 공급하고 있는데, 우리는 국내 근접센서의 시장규모를 약 1천억 원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다. Q. 오토닉스는 국내 근접센서 시장을 주도하는 톱(Top)의 위치에 있는 기업이다. 자사의 시장점유율을 어느 정도로 보나? A. 우리가 하지 않는 특화된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2-09-27 16:53:27
Special Report/국내 근접센서 시장 동향
(사진 오토닉스) 자동차, 조선, 철강 등 모든 제조업에서 근접센서 없이 자동화를 구현하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 자동화가 구현되는 모든 분야에서는 마모가 발생하지 않는 비접촉 방식으로 금속 물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근접센서는 검출 대상 물체가 검출면 가까이 근접했을 때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비접촉식 센서다. 근접센서는 크게 인덕티브 및 정전용량, 마그네트 이 세 가지 종류로 나뉜다. 근접센서는 거의 대부분의 제조분야에서 사용이 되는데, 자동차 분야 수요가 가장 크고, 그다음으로 철강, 조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2-09-27 09:41:58
‘이노베이션투어 2022’가 제시한 제조업계 트렌드!(1)/5
강두훈 부장이 AGV에 적용된 SIMOVE 자율플랫폼을 통한 유연한 생산을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이어 지속가능성과 수익성이라는 기술 주제 중에서 자율생산과 관련해 SIMOVE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생산유연성이라는 말은 두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두 범주 모두 많은 하위범주를 포함한다. 첫 번째 범주는 라우팅 유연성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새로운 제품 유형을 생산하기 위해 시스템이 변경될 수 있는 능력과 작업순서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두 번째 범주는 시스템 유연성이라고 하는데, 여러 대의 기계를 사용하여 부품에 대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2-09-26 10:46:16
‘이노베이션투어 2022’가 제시한 제조업계 트렌드!(1)/4
장동철 이사가 스마트 공정플랜트 PlantSight를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확장성과 가용성을 주제로 다뤄졌다. 디지털 솔루션에서 확장성이라는 주제는 다른 디지털 시스템에서도 솔루션을 좀 더 다양한 최신기술의 소프트웨어 솔루션으로 확장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할 수 있다. 가용성이라는 주제는 새로운 디지털 솔루션을 사용함으로써,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고 액세스할수 있 기술이다. 지멘스는 디지털 세상에 걸 맞는 새로운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전문회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2-09-26 10:17:05
‘이노베이션투어 2022’가 제시한 제조업계 트렌드!(1)/3
김태호 이사가 디지털 엔터프라이즈 기술이 제시하는 실제와 가상세계의 연결을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3차혁명은 플랫폼 서비스가 메인이 되고, 정보통신의 시대이며, 오토메이션의 시대였다. 4사산업혁명에서 대부분의 솔루션을 3차의 연장이라고 보는 사람이 많은데, 3차와 4차는 극명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화장실에 내가 들어갔을 때 불이 켜진다. 이건 컨센싱에 의한 3차 솔루션이며, 4차 때는 내 얼굴을 인식해서 내 얼굴에만 불이 켜지게 하는 빅데이터를 기준으로, 뭔가 AI 요소가 가미된 것이다. 3차는 오토메이션인데, 4차에서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2-09-26 10:10:43
‘이노베이션투어 2022’가 제시한 제조업계 트렌드!(1)/2
윤웅현 부장이 지멘스가 제시하는 산업용 인공지능의 소개를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산업자동화 영역에서 인공지능이 가지는 활용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구체적인 도입과정과 몇 가지 예제가 소개됐다. 인공지능(AI)이란 외부데이터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가지고 학습을 하며, 그 결과를 가지고 유연한 적용을 통해서 특정 목표 그리고 작업을 달성하는 시스템의 능력으로 정의를 한다. 학습해서 그것을 적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 특정작업을 수행하도록 명시적으로 프로그래밍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측을 학습하거나, 결정을 내리는 통계모델의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2-09-26 09:52:31
‘이노베이션투어 2022’가 제시한 제조업계 트렌드!(1)/ 1
지멘스디지털인더스트리(DI) 부문이 지난 8월 30일과 31일 양일간, 온·오프라인에서 ‘이노베이션투어 2022’를 개최했다. ‘더 나은 산업의 미래를 위해 지멘스가 제시하는 디지털과 실제 세상의 연결’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세미나에는 온라인 상 1,900명 이상이 등록했으며, 강남에 위치한 디지털 엔터프라이즈 체험센터(KDEXc)에서는 신청자를 대상으로 오프라인 세션이 진행됐다. 특히 최근 산업 환경이 디지털화, 지속가능성 등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는 가운데, 올해 이노베이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2-09-26 09:37:35
로봇센서 시장동향/(6)픽잇코리아(Pickit Korea)
픽잇코리아(Pickit Korea) 김병호 지사장 (사진 픽잇코리아) Q. 픽잇이라는 회사는 아직까지 산업계에 익숙한 이름이 아니다. 어떤 회사인지 간단하게 설명을 부탁한다. A. 픽잇은 3D 로봇비전 글로벌 리더로서, 빈피킹(Bin-picking; 무작위로 겹쳐 쌓인 여러 물체 중에서 물체를 순차적으로 파지하여 지정된 장소로 옮기는 것), 로봇 가이던스 등과 같은 다양한 로봇 비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올인원 3D 비전 솔루션을 제공한다. 2010년 구글 및 나사에 로봇 소프트웨어를 개발 및 공급하는 인터모달릭스(Intermo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2-08-25 14:10:56
로봇센서 시장동향/(5)온로봇 코리아(OnRobot Korea)
<로봇 비전(Robot Vision) 분야> 온로봇 코리아(OnRobot Korea) 최민석 지사장 (사진 무인화기술) Q. 머신비전과 로봇비전의 차이는 무엇인가? 또 3D비전과 2D비전은 기능 측면에서 어떻게 다른가? A. 머신비전과 로봇비전은 별 차이가 없다. 둘의 시장이 많이 다르진 않은데, 머신비전에서 쓰는 기능들을 로봇비전에서 구현하길 원하는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머신비전은 보통 스탠드얼론의 독립적인 형태로 사용이 되는데, 로봇비전은 로봇에 붙여서 쓰기 때문에 이동하면서 비전기능을 사용하길 원하는 요구에 적합하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2-08-25 13:43:53
로봇센서 시장동향/(2)레니쇼코리아
<엔코더 분야> 레니쇼코리아(Renishaw Korea) 박준규 과장(왼쪽)·이병윤 과장(오른쪽) (사진 무인화기술) Q. 지난해 로봇용 센서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코로나 19의 상황으로 경제 상황이 좋지 못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업체에서 로봇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최근, 전시회 등에서도 로봇을 활용한 또는 로봇에 적용하기 위한 많은 부품들이 전시되고 있으며, 다양한 업체에서 각자의 로봇을 들고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대기업에서도 로봇 시장으로 뛰어들고 있기 때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2-08-25 10:48:31
로봇센서 시장동향/(1) RS Automation
<엔코더 분야> RS Automation 글로벌 사업본부장/ 사장 이강의 (사진 무인화기술) Q. 엔코더가 로봇에서 왜 중요한가? A. 산업자동화가 고도화되기 위해서는 이에 소요되는 장비와 부품의 정밀도 향상이 필요한데, 로봇 모션 분야에서는 정밀도를 올리는 데 중요하게 생각되는 부분이 엔코더다. 엔코더는 모터나 로봇의 눈이라고 볼 수 있다. 로봇의 메카니즘을 보면, 컨트롤러가 모터에게 오른쪽으로 몇 밀리미터 움직이라는 위치이동 명령을 하게 되면 모터가 움직인다. 즉, 컨트롤러가 명령을 주게 되면 모터가 움직이게 되는데,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2-08-25 10:07:44
FIRST
PREV
1
2
3
4
5
NEXT
LAST
기획
특집
더보기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 하이라이트 /(14)발루프코리아(Balluff Korea)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 하이라이트 /(15)트윔
‘2023 INTER BATTERY’ 하이라이트/(4)ABB
‘2023 INTER BATTERY’ 하이라이트/ (1) LS일렉트릭
‘2023 INTER BATTERY’ 하이라이트/(5)B&R
제품
뉴스
더보기
MX-System: 컨트롤 캐비닛을 대체하는 플러그형 방식의 자동화 시스템, Beckhoff
2022년 로봇 분야 연구개발 주요 성과 및 2023년 추진계획
모바일 로봇 제조업체들이 직면한 통신 및 안전 문제
Beckhoff Vision: TwinCAT Vision 소프트웨어를 보완해 주는 하드웨어 포트폴리오
많이 본
뉴스
[인터뷰] 콘베어 및 자동화 주변기기의 규격화를 실현하는 물류전문가 현대콘베어(주)
[Field Report] We are the Engineers of Productivity, 한국훼스토(주)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2023년도 신입사원 특별 채용 진행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 하이라이트 /(9)Open Control(오픈컨트롤)
Yokogawa, AI 기반 Viewport 소프트웨어 전 세계에 제공하기 위해 Radial Software Group과 파트너십 체결
Yokogawa와 오츠카 화학, 중간분자 약물의 CRDMO 비즈니스를 대상으로 하는 SynCrest Inc. 합작법인 설립
슈나이더 일렉트릭, 2022년 지속가능성 영향 (SSI) 성과 발표
Beckhoff의 Karl Weber 박사, IEC 어워드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