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뉴스를 즐겨찾기에 추가
검색
메뉴 열기/닫기
Today
인터뷰
산업뉴스
기획특집
기술제품동향
해외산업동향
포토/카드뉴스
기획
특집
뉴스홈
기획특집
머신 세이프티 시장동향/(6)터크코리아
터크코리아 한지운 과장(사진. 여기에) Q. 2020년 터크코리아의 머신 세이프티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A. 세이프티 비즈니스 성과는 2019년부터 꾸준히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해외 자동차 OEM 업체 또는 차체 프레스 장비 등에 설치되는 세이프티 디바이스들이 많았다면, 지난해는 장비업체로의 매출이 많았다. 삼성, LG 등으로 들어가는 장비에 세이프티 라이트 커튼, 세이프티 컨트롤러, E-Stop, 도어락 스위치가 함께 설치되었으며, 이와 유사한 장비들에 설치될 수 있는 비즈니스를 확장시킬 계획이다. 이 외에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1-28 14:55:52
머신 세이프티 시장동향/(5)지멘스
지멘스 강두훈 차장(사진. 여기에) Q. 지멘스의 Safety 제품 포트폴리오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부탁한다. A. 지멘스 세이프티 제품은 시장 요구사항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있는 S7-300F CPU를 비롯하여, 스마트 팩토리에 가장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있는 S7-1500F CPU 및 ET200SP F-CPU, 그리고 저비용으로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고성능을 자랑하는 S7-1200F CPU 등이 있다. 모든 제품은 하나의 CPU로 표준 및 Fail-safe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TIA Po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1-28 14:30:29
머신 세이프티 시장동향/(4)오히너코리아
오히너코리아 김민식 과장(사진. 여기에) Q. 오히너(Euchner)의 Safety 제품 포트폴리오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부탁한다. A. 오히너의 전체 제품군은 크게 Automation, Safety, ManManchine 이 세 가지로 분류된다. 그중 오히너의 큰 매출부분은 세이프티다. 오히너는 세이프티 스위치를 세계최초로 개발한, 원천기술을 보유한 회사다. 우리의 세이프티 제품은 크게는 접촉식 스위치, 비접촉식 스위치, 트랜스폰더코딩 비접촉스위치 등으로 나뉘어진다. 접촉식 스위치는 일반적인 메카니컬스위치 군이며, 비접촉식 스위치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1-28 14:04:11
머신 세이프티 시장동향/(3)오토닉스
오토닉스 서성민 과장(사진. 여기에) Q. 오토닉스 세이프티 제품군은 TUV NORD, CE, UL Listed, KC, S마크 등 많은 인증을 획득했다는 점에서 과감한 투자가 눈에 띈다. A. 개발부터 상품화까지 전사적인 차원에서 세이프티에 대한 투자가 진행이 됐다. 글로벌 업체들과는 달리 국산업체는 아무래도 재정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는데, 우리는 많은 인증을 획득하면서까지 세이프티 제품에 대한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여주고 싶었다. Q. 지난해 반도체나 자동차 업계에 탈일산 움직임이나 국산을 선호하는 추세가 있어서, 일부 국산 자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1-28 13:39:07
머신 세이프티 시장동향/(2)발루프 코리아
발루프 코리아 강철민 지사장(사진. 여기에) Q. 발루프(Balluff)의 Safety 제품 포트폴리오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부탁한다. A. 최근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의 영향으로 국내 산업현장에 자동화 시스템의 도입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사람과 기계가 협력하여 임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이들의 행동반경이 겹치는 작업 장소에서 안전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여러 차례의 산업 안전사고가 발생하면서 최근 산업용 세이프티에 대한 국내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발루프의 세이프티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주목할 제품은 IO-Link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1-28 13:18:24
머신 세이프티 시장동향/(1)로크웰 오토메이션
로크웰 오토메이션 이준호 과장(사진. 여기에) Q. 로크웰은 PLC가 강한 기업이기 때문에 세이프티 컨트롤러가 많이 판매되는 게 맞는데, 요즘은 세이프티 컨트롤러 부분보다는 입력 디바이스들의 판매가 활발한 것 같다. A. 시장 특성인 것 같다. 로크웰은 통합 솔루션으로 사업을 하고 있는데, 국내시장은 아직까지 통합보다는 이원화된 시스템을 많이 사용하다 보니 컨트롤러보다는 입력 디바이스들의 판매가 늘어나고 있다. 점차 통합 솔루션으로 변경하는 사이트가 늘고 있어서 앞으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Q. 로크웰 세이프티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1-28 11:49:39
Special Report/머신 세이프티 시장동향(총괄본문)
오토닉스 라이트 커튼(사진. 오토닉스) 스마트 팩토리나 4차산업혁명이 추구하는 제조현장은 안전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새로운 제조 트렌드는 세이프티 산업에 플러스 역할을 할 수밖에 없다. 현재 머신 세이프티 시장에는 필츠코리아와 한국오므론을 양대산맥으로, 로크웰 오토메이션, 지멘스, 터크코리아, 발루프코리아, 오히너코리아, 시크(SICK) 등의 외산업체들이 참여를 하고 있으며, 최근 대표적인 국내 제어기기 업체인 오토닉스가 이 시장에 출사표를 던지면서 세이프티 업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1-28 10:34:50
HMI 하드웨어 시장 동향/(7)터크코리아
터크코리아 정목해 이사(사진. 여기에) Q. 인더스트리 4.0 및 스마트 팩토리라는 트렌드와 맞물려, 시각화 솔루션에 대한 고객 니즈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 A. 우리 터크 코리아는 사업을 두 가지 트랙으로 전개하고 있다. 한 가지는 제품 마케팅이고, 또 한 가지는 인더스트리 4.0 트렌드에 맞춰서 한국시장에서는 스마트 팩토리라는 큰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본사도 인더스트리 4.0에 맞춰서 접근을 하고 있다. 고객의 위치에 따라 요구되는 시각화 솔루션은 다르게 변화하고 있지만, 현재 대부분이 실시간 데이터 표시와 분석된 통찰 정보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0-12-24 15:32:00
HMI 하드웨어 시장 동향/(6)지멘스
지멘스 정성엽 부장(사진. 여기에) Q. 지멘스는 지난 2019년 독일 ‘SPS IPC Drives’에서 WinCC Unified를 출시했다. 시각화 부분에서 새롭게 WinCC Unified를 내놓은 이유는 무엇인가? A. 지멘스에서는 ‘Future of Visualization’ 즉 시각화의 미래를 얘기하고 있는데, WinCC Unified는 향후 지멘스의 시각화 툴을 담당하는 제품으로 나왔다. 자동화 시장에서도 4차산업혁명이니 스마트 팩토리니 하는 얘기를 하면서, 엣지나 새로운 트렌드들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0-12-24 15:01:47
HMI 하드웨어 시장 동향/(5)엠투아이(M2I)
엠투아이(M2I) 강원희 부사장(사진. 여기에) Q. 인더스트리 4.0, 스마트 팩토리라는 트렌드와 맞물려, 시각화 솔루션에 대한 고객 니즈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 A. 판매대수를 기준으로 할 때 우리 엠투아이가 국내 HMI 시장에서 1위를 한 지가 5년 정도 됐다. 지난해 설립 이래 처음으로 판매대수가 6만5천 대를 넘어섰다. HMI는 과거에는 장비 단말 하나하나에 대한, 단위기계의 감시제어가 주 역할이었다. 지금도 그렇게 많이 쓴다. 그러다가 5~6년 전부터 그건 그거고, 상위에 선별된 데이터를 수집해서 올리고 싶다라는 니즈가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0-12-24 14:33:23
HMI 하드웨어 시장 동향/(4)슈나이더 일렉트릭
슈나이더 일렉트릭 자동화사업부 최경진 매니저(사진. 여기에) Q. 인더스트리 4.0이나 스마트 팩토리라는 트렌드와 맞물려, 시각화 솔루션에 대한 고객 니즈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 A. 우리 제품을 사용 중인 엔드유저나 OEM 고객들로부터, 실제로 스마트 팩토리나 인더스트리 4.0과 관련된 문의가 많다. OEM들이 해외공장에 수출되어있는 자사 장비를 유지보수하기 위해서 가장 좋은 솔루션이 뭘까 문의를 해온다. 먼저 쉽게 채택할 수 있는 증강현실에 대해 소개를 많이 하고 있다. 이 증강현실은 사전에 장비에 대한 이미지를 심어놓고, 태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0-12-24 14:09:14
HMI 하드웨어 시장 동향/(3)싸이몬
싸이몬 김승철 상무(사진. 여기에) Q. 싸이몬은 언택트로 인한 호재가 있었나? A. 있었다고 본다. HMI는 작년보다 소폭 늘었는데, 코비드로 인해 원격으로 유지보수하는 수요가 늘면서, SCADA 매출이 늘었다. 통합감시제어시스템을 무인화하는 건 아니지만, 일단은 비대면 통합감시시스템을 설치해야겠다는 수요가 많이 생겼고, 스마트 팩토리를 하면서 공정라인에 스카다를 넣어서 운영하는 수요가 늘었다. 원래 스카다는 공정통합감시제어하는 소프트웨어라서 연간매출의 성장폭이 크지 않다. 예를 들어서 빌딩자동화를 본다면 본다면 전력감시, 공조감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0-12-24 11:27:00
FIRST
PREV
6
7
8
9
10
NEXT
LAST
기획
특집
더보기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2)STXI Motion Korea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6)파익스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8)유니버설로봇
IoT 게이트웨이 시장동향/(5)HMS 인더스트리얼 네트웍스 코리아
IoT 게이트웨이 시장동향/(6)터크코리아
제품
뉴스
더보기
(주)인터에임, 2021 인터몰드코리아(온)서 금형 메인터넌스 핵심 솔루션 공개
(주)에버온, 10㎾급 멀티 충전기 출시
[기획특집] 스마트공장 정보시스템 구축 방향 Ⅲ
국방과학연구소, 화약처럼 폭발하는 금속소재 개발
많이 본
뉴스
[인터뷰] 세계로 향하는 대한민국 보링헤드의 자존심, 대원하이텍
첨단기술 융복합 전시회 ‘SMART TECH KOREA 2022’ 성료
POM 대체 솔루션으로 떠오르고 있는 ‘폴리케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