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시스템 전시 부스 전경
여의시스템은 이번 전시기간 동안 산업용 이더넷 제품군과 산업용 컴퓨터 제품군, Serial Connectivity 제품군을 주력 으로 한 전시를 진행했다.
산업용 이더넷 솔루션에서는 PT-G503-PHR-PTP 시리즈와 PT-7528 시리즈, PT-7728/PT-7728-PTP 시리즈가 전시가 됐다.
PT-G503-PHR-PTP 시리즈는 IEC 61850-3/62439-3 규격을 만족시키는 3 포트 Full Gigabit Managed Redundancy Box다. 확장 가능한 인프라를 위한 세계 최초의 올인원 이중화 박스(PRP, HSR, Coupling 및 QuadBox)로서, 최대의 시스템 가용성과 데이터 무결성을 달성하기 위해 제로에 가까운 복구 시간을 필요로 하는 변전소 자동화 및 공정 자동화 시스템에 적합하다.
PT-7528 시리즈는 IEC 61850-3 규격을 만족하는 28포트 포트 Layer 2 Managed Rackmount Ethernet Switch다. 열악한 환경에서 작동하는 변전소 자동화 애플 리케이션용으로 설계됐다. PT-7528 시리즈는 Moxa의 새로운 Noise Guard 기술을 지원하고 IEC 61850-3을 준수하며, EMC 내성은 유선 속도로 전송하는 동안 패킷 손실을 없애기 위해 IEEE 1613 Class 2 표준을 초과한다. PT-7528 시리즈는 중요한 패킷 우선순위 지정(GOOSE, SMV 및 PTP), 기본 제공 MMS 서버 및 변전소 자동화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구성 마법사도 제공한다.
PT-7728/PT-7728-PTP 시리즈는 IEC 61850-3 Layer 2 IEEE 1588v2 PTP Rackmount(PRP/HSR) Ethernet Switch로서, PT-7728-PTP 스위치는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IEC 61850-3, IEEE 1613)의 요구를 충족 시키도록 설계됐다. PT-7728-PTP의 이중 링 및 이중 절연 이중화 전원 공급 장치는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고, 케이블 링과 배선 비용을 절감시킨다. Moxa의 PT-7728- PTP IEC 61850-3 고속 이더넷 스위치는 최신 버전의 IEEE 1588 기술(IEEE 1588v2 PTP)을 지원하여 보호 및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정밀 시간 동기화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이 이더넷 스위치는 IEC 61850 프로세스 레이어 에 대해 1μs 내에서 타임 스탬핑 정확도를 보장한다. 1588 v2 Master, Boundary Clock 및 Transparent Clock 기능으로 구성할 수 있다.
산업용 컴퓨터 제품군으로는 DA-820 시리즈와 UC-8410A 시리즈가 소개됐다.
DA-820 시리즈는 주요 운영 체제가 표준 x86, 2 VGA 포트, 6 USB 포트, 4 기가비트 LAN 포트 및 2 3-in-1 RS-232 포트를 지원하는 Intel 쿼드 코어 i7-3612QE CPU 및 QM77 칩셋을 기반으로 한다. 232/422/485 직렬 포트와 4개의 SATA 디스크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으며, RAID 0/1/5/10 기능을 지원한다. IEC 61850-3 표준에 대한 정확한 시간 동기화 및 준수가 요구되는 변전소 애플리 케이션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제품이다.
유연한 설계로 인해 DA-820은 로컬 SCADA, 환경 모니터링, 비디오 감시, 프로토콜 변환 및 PRP/HSR 이중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사이버 보안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스마트 변전소의 전기 계전기 보호를 위해 IEC 60255 표준을 준수한다. IEC 60255는 릴레이 및 보호 장비 테스트 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 중 하나로, DA-820은 강력한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의 일부로서 IED(지능형 전자 장치)와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작동한다.
UC-8410A 시리즈 임베디드 컴퓨터는 프리 스케일 Cortex-A7 듀얼 코어 1GHz RISC CPU를 사용한다. 이 강력한 컴퓨팅 엔진은 열을 많이 생성하지 않고 여러 가지 유용한 통신 기능을 지원한다
내장형 1GB SD 카드 및 512MB DDR3 SDRAM을 사용하면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 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충분한 메모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mSATA 슬롯은 추가 데이터 저장 장치를 추가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UC-8410A는 직렬 포트, 이더넷 포트, 무선 통신 슬롯 및 디지털 입/출력 채널을 비롯한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및 장치 통신이 필요 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통신 플랫폼으로 이상적 이다. UC-8410A 시리즈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방형 소프트웨어 운영 체제를 제공하기 위해 Linux Debian 8이 사전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UC-8410A 컴퓨터는 최소한의 비용과 노력으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한다.
Serial Connectivity 제품군에서는 NPort S9450-T 와 MB 3170/3270 시리즈, MGate MB3180 / MGate MB3280 / MGate MB3480 시리즈가 소개됐다.
전 기능 관리 이더넷 스위치가 내장된 NPort S9450I 시리즈 4 포트 RS-232/422/485 장치 서버는 전기 변전소 에서 볼 수 있는 까다로운 환경 조건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제품이다.
광섬유 및 와이어 이더넷 포트를 모두 지원하는 장치 서버+이더넷 스위치 조합을 통해 사용자는 NPort S9450I를 비롯하여 연결된 직렬 장치를 쉽게 설치, 관리 및 유지 관리 할 수 있다. 특히, NPort S9000 시리즈는 높은 수준의 서지 보호를 지원하여 전기 변전소 및 산업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전력 서지 및 EMI 유형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MB 3170/3270 시리즈는 Modbus TCP, ASCII 및 RTU 통신 프로토콜 간에 변환하는 1포트 및 2포트 Modbus 게이트웨이다. 게이트웨이는 직렬-이더넷 통신과 직렬(마스터)-직렬(슬레이브) 통신을 제공한다. 또한 게이트웨이는 직렬 및 이더넷 마스터를 직렬 Modbus 장치 와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MGate MB3170 및 MB3270 시리즈 게이트웨이는 최대 32개의 TCP 마스터/클라이언트에서 액세스하거나 최대 32개의 TCP 슬레이브/서버에 연결할 수 있다. 직렬 포트를 통한 라우팅은 IP 주소, TCP 포트 번호 또는 ID 매핑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기능 우선순위 제어 기능을 사용하면 긴급한 명령을 즉시 대응할 수 있다. 모든 모델은 견고하고 DIN 레일 장착이 가능하며, 직렬 신호용 옵션으로 내장된 광 절연을 제공한다.
MB3270은 기존 Modbus RTU/ASCII 아키텍처 또는 소프트웨어를 수정하지 않고 Modbus TCP를 Modbus RTU/ASCII와 통합할 수 있다. 직렬 리다이렉터 기능을 사용하면 직렬 마스터가 특별히 매핑된 직렬 포트를 통해 직렬 슬레이브 장치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직렬 및 TCP 마스터는 직렬 슬레이브에 동시에 액세스 할 수 있다.
MOXA의 대표제품들로 꾸며진 전력관련 데모
MGate MB3180 / MGate MB3280 / MGate MB3480 시리즈는 Modbus TCP와 Modbus RTU/ASCII 프로토콜 간에 변환하는 표준 Modbus 게이트웨이다. 세 가지 표준 MGate 모델(MB3180, MB3280 및 MB3480)은 Modbus TCP 및 RTU/ASCII 네트워크를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설계 됐다. 이 모델을 사용하면 Modbus 직렬 슬레이브 장치를 기존 Modbus TCP 네트워크에 완벽하게 통합할 수 있으며, Modbus TCP 슬레이브를 직렬 마스터가 액세스할 수 있다. MB3180, MB3280 및 MB3480은 거의 모든 Modbus 네트워크와의 네트워크 통합을 손쉽게 사용자 정의 및 호환 할 수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스마트 스위치 등 신제품 ‘눈길’
한편, 다양한 신제품이 전시되어, 흥미를 끌었다.
작년 하반기에 출시된 스마트스위치 SDS 3008은 매니 지드 스위치와 언매니지드 스위치의 중간급으로 나온 경제형 매니지드 스위치다. 여의시스템 윤정배 이사는 “스마트 스위치 SDS 3008은 8포트이면서 콤팩트해, 작은 캐비닛에 들어 가기가 좋다. UI가 지원이 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라고 설명했다. 윤 이사는 또, “MOXA는 계속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해 제품을 진화시켜 나가고 있다”고 말하고, “MOXA가 지난해부터 특히 집중하 고 있는 제품 가운데 하나가 UC시리즈”라고 덧붙였다.
UC8410, 8100시리즈는 임베디드 RISK 컴퓨터다. OS가 리눅스라 가볍고, IoT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 고객이 마이크로소프트나 AWS 클라우드 또는 고객이 가지고 있는 서버 양쪽에 데이터를 올리는데 도움이 되는 ThingsPro 라는 소프트웨어가 같이 제공이 된다.
윤 이사는 “게이트웨이에는 하위단 디바이스가 많이 물리 는데, 콤팩트하지 않거나 비싸면 쓸 수가 없다. MOXA는 시리얼 to 이더넷 커넥티비티 제품과 관련해 계속 융합되어 있는 제품들이 진화된 형태로 출시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MOXA가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스위칭 기술, 시리얼을 이더넷으로 커넥션하는 기술, 와이어리스 기술이 합체된 기술이 계속 나오고 있고, 하반기에는 OT/IT의 프로 토콜을 지원하는 파워풀한 모듈러 타입 Remote I/O와, 무 선과 컨트롤러 기능을 탑재한 신제품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
MOXA의 대표제품들로 꾸며진 전력관련 데모
전시기간 동안 전력분야의 핵심제품들이 캐비닛 안에 탑재되어 선보였다. 데이터 수집 솔루션인 ioLogik과 무선 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NPort, 무선 클라이언트 AWK시리즈, IoT 게이트웨이 UC8100시리즈, 8포트 스마트 스위치 등이 소개됐다.
이와 함께 MOXA의 대표제품들로 꾸며진 전력관련 데모 가 소개됐다. PT-G503-PHR-PTP 시리즈 레드박스 4개로 구성을 해서 선을 보였다. 컴퓨터 레벨에서 PRP/HSR 이중화를 구성하는 네이티브 PRP/HSR 컴퓨터, 디바이스 단에서 데이터를 끌고 올 수 있는 NPort 제품 등, PC와 네트워크 스위치, 시리얼 커넥티비티 등의 제품이 고객의 파워 SCADA와 연결되어 있는 데모다.
현장인터뷰
시리얼 커넥티비티 제품군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MOXA의 큰 경쟁력
현장인터뷰여의시스템 윤정배 이사
Q. 여의시스템이 이번 국제전기전력 전시회를 통해 산업계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인가?
A. 디지털 변전소, 스마트 그리드, 다양한 공장 전력 시스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현장에서는 생산성 극대화와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자동화, 예방진단, 비용 절감이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엣지단 장비들의 상태관리가 중요해짐에 따라, 데이터 의 안정적인 수집 및 전송과 관련하여 다양한 필드버스 프로토콜 컨버전과 시리얼을 지원하는 시리얼 커넥티비 티 제품 및 게이트웨이, 산업용 네트워크 스위치와 컴퓨터가 필요해지고 있으며, 이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이 대두되고 있다.
MOXA는 이를 위한 산업용 네트워크 스위치, 컴퓨터, 시리얼 커넥티비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여의시스템은 오랫동안 축적된 산업 자동화 분야의 경험을 통해서, 여러 산업 분야에 MOXA 솔루션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는 것을 이번 전시회를 통해 전달하고자 한다.
Q. 디지털 변전소와 스마트 그리드 분야에서 MOXA가 갖는 경쟁력은 무엇인가?
A. 기존의 많은 변전소 시스템이 다른 시기와 지역에 구축됐기 때문에, 레거시 장치를 단일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하면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기존의 하드웨어에서 자동화된 지능형 IEC 61850 장비로 여유롭게 변전소를 옮기는 방법은, 특히 프로토콜 변환 의 복잡성을 다룰 때 어려움이 있다.
Moxa는 광범위한 프로토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 레거시 장치를 IEC 61850 백본에 연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제품을 제공한다.
표준 산업 프로토콜용 프로토콜 게이트웨이, 독점적인 프로토콜을 위한 시리얼 to 이더넷 디바이스 서버, 기타 맞춤형 프로토콜을 위한 팬리스 임베디드 개방형 컴퓨터 플랫폼, MOXA의 시리얼 to 이더넷 솔루션은 레거시 지능형 전자 장치(IED) 및 기타 시리얼 통신 장치를 이더넷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이 접근법은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스마트 그리드가 준비된 통신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Q. 스마트 팩토리와 관련해, MOXA는 어떤 역할을 하나?
A. 스마트 팩토리와 관련하여 IIOT(Industrial IOT) 를 빼놓을 수 없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스마트 팩토리에서도 궁극적 으로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자동화와 비용 절감을 위한 효율적 관리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공장 내에서 운영되는 모든 장비들의 상태관리를 해야 되며, 이를 위한 디바이스들의 상태 정보와 제어를 관리 시스템과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커넥티비티 솔루션이 필요하다.
MOXA는 다양한 커넥티비티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MOXA의 제품과 솔루션은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의 FA분야 에서 폭넓게 사용되면서 점차 확대되고 있다.
Q. 그렇다면 스마트 팩토리 분야에서 MOXA가 가질 수 있는 경쟁력은 무엇인가?
A. MOXA의 강점은 시리얼 커넥티비티에 있다. 다양 한 시리얼과 필드버스를 컨버전스할 수 있는 프로토콜 컨버전 제품군 및 시리얼 커넥티비티 제품군은 전 세계 시장점유율 넘버원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위단의 다양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상위로 끌어올릴 수 있는 네트워크 스위치까지 자연스럽게 연계가 되는 것이다. MOXA는 산업용 네트워크 시장에서 넘버3의 기업이다. 이 두 가지가 시너지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시리얼 커넥티비티 제품군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MOXA의 큰 경쟁력이다. 시리얼 커넥티비티를 통해 레거시 장비를 스마트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결이 필요한 현 시대에 아직도 디바이스의 80%가 연결이 되어 있지 않다. 연결을 하기 위해서는 이런 제품이 필요하다.
Q. 지난해 MOXA 사업성과는 어떠했나?
A. MOXA는 철도, 전력, 오일 & 가스, FA, 마린 (Marine), ITS 등 6개의 버티컬 시장에 집중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데, MOXA의 국내 대리점인 여의시스템 은 모든 버티컬 시장을 대상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우리 여의시스템은 한전 레퍼런스와 MOXA의 인지 도를 활용해, 엔터프라이즈 시장에 대한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 엔터프라이즈 분야의 전력관리에 집중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데, 향후에는 HVAC까지 포함이 될 것이다. HVAC도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해 공정 관리정보를 상위로 끌어올려야 한다. 자동차 분야도 마찬가지다. 여의시스템은 일차적으로 전력분야에 초점을 맞춘 사업을 전개하면서, 점차 니즈가 확대되고 있는 전력 외 분야로까지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전략에 맞춰, 우리 여의시스템은 지난해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성과가 있었다. 국내 모 메이저 기업의 공장에 들어가는 전력모니터링 SCADA 시스템 고도화 프로젝트에 이중화 PRP/HSR과 관련된 PT- G503-PHR-PTP 시리즈와 PT-7728-PTP를 함께 공급하고 있다.
또 지난해 S사의 베트남공장과 관련해 국내의 많은 기업들이 수혜를 입었는데, 우리 역시 지난해 S사 베트남 공장의 AGV 프로젝트와 관련해 MOXA의 AWK-1137C 와이어리스 클라이언트 장비와 시리얼 디바이스 서버인 NPort W2150A 등을 공급하는 성과가 있었다.
국내에서도 현재, 모 자동차 1차밴더 업체에 파일로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MOXA에는 사용자가 손쉽게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툴인 ‘에어로맥 (AeroMag)’이라는 기술이 있다. 현장 환경을 스캔하 고 디바이스에 적합한 최적의 와이파이 채널 설정을 지원하는 ‘에어로맥’ 기술을 사용해 기본적인 모든 무선 설정을 한 번에 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 네트워크 에 새로운 디바이스를 추가할 때 요구되는 다양한 디바 이스 구성을 일일이 조정할 필요가 없어서, 클라이언트가 많을 때 한 번에 컨피규레이션 작업을 끝낼 수 있다.
또, 물류창고와 관련해서 자동으로 적재하고 빼는 것을 AS/RS라고 부르는데, 주요 제약이나 타이어, 자동차 공장 등에는 AS/RS가 다 도입이 되어 있다. 여기서도 이슈가 무선환경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해외 프로젝트를 많이 하는 국내기업이 진행하는 일부 프로 젝트에 우리 여의시스템이 참여를 하고 있다. 그동안 타사 제품이 들어가서 적용이 됐었는데, 이 회사 제품보다 MOXA 제품이 가성비가 훨씬 좋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국내나 해외 화력발전소 등 파워와 관련된 네트 워크 스위치로 MOXA의 PT시리즈가 Modbus RTU 를 Modbus TCP로 전환해주는 MB리즈 게이트웨이 와 함께 많이 사용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