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뉴스를 즐겨찾기에 추가
검색
메뉴 열기/닫기
Today
인터뷰
산업뉴스
기획특집
기술제품동향
해외산업동향
포토/카드뉴스
기획
특집
뉴스홈
기획특집
산업용 네트워크 장치 메이저 5개사의 시장전략/(3)HMS 인더스트리얼 네트웍스
HMS 인더스트리얼 네트웍스 이종두 팀장(사진. 여기에) Q. HMS 인더스트리얼 네트웍스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부탁한다. A. HMS 인더스트리얼 네트웍스는 1988년, 스웨덴 할름 스타드 대학의 논문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1988년에 설립됐다. 이후 산업 장치를 다른 필드 버스에 연결하는 더 스마트한 방법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애니버스(Anybus)라는 브랜드로 회사를 시작한, 스웨덴에 본사를 둔 산업용 통신업체 전문업체다. 이원(Ewon), 익샛(Ixxat), 인테시스(Intesis), 웹팩토리(Web Factory)와 같은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6-29 14:15:06
산업용 네트워크 장치 메이저 5개사의 시장전략/(2)어드밴텍
어드밴텍 최건 차장(오른쪽)·이근영 선임(왼쪽)(사진. 여기에) Q. 지난 2020년 국내 산업용 네트워크 장치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해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가 위축되었지만, 산업용 네트워크 시장은 조금 다른 양상을 보였다. P&E 시장의 매출 비중이 여전히 가장 높지만, 제조 및 FA, 산업용 시장에서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현장의 네트워크가 통합되고, 고속화 제품에 대한 매출 비중이 늘고 있다. Q. 지난 2020년과 올 상반기 어드밴텍 코리아의 비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6-29 13:42:46
산업용 네트워크 장치 메이저 5개사의 시장전략/(1)MOXA Korea
MOXA Korea 강의중 본부장(사진. 여기에) Q. 반도체산업이 올해부터 슈퍼사이클에 진입했기 때문에, 올해 MOXA 매출이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A. MOXA(모싸)는 반도체 분야에 공급하고 있는 제품이 많다. 시리얼 통신 장비는 전 세계적으로 MOXA의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다. 시리얼 통신이 이더넷으로 바뀐다 하면서 온 게 꽤 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반도체 생산 장비 쪽에는 시리얼로 인터페이스 되는 장비가 많아서 그 분야에 투자가 있으면, 멀티포트 시리얼 카드나 디바이스 서버인 엔포트(NPort) 판매가 자연스럽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6-29 11:35:23
Special Report/산업용 네트워크 장치 메이저 5개사의 시장전략
Scalance 유선 제품(X 시리즈)(사진. 지멘스) 4차산업혁명이나 IIoT 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기 간, 기기와 사람 간의 통신이 필수다. 따라서 산업용 네트워크 장치가 과거에 비해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산업용 스위치 시장에서는 지멘스가 1위의 위치를 굳히고 있고, 그 뒤를 벨덴이 잇고 있으며, 이 중간에 시스코가 치고 올라오면서 커머셜과 산업용의 경계가 없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멘스와 어드밴텍, MOXA, HMS 인터스트리얼 네트웍스, 토마스, 힐셔 등의 글로벌 업체를 비롯해 국내업체인 에이씨앤티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6-29 11:17:21
메이저 PLC기업들의 시장전략/(7)한국오므론
한국오므론 정영석 팀장(사진. 여기에) Q. 지난해 한국오므론의 PLC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A. 지난해는 전년대비 매출이 증가했다. 우리 한국오므론은 원래부터 반도체, FPD, 전자부품과 같은 디지털 분야의 매출비중이 높은데, 작년에는 이들 분야 외에도 화장품·약품·식품 등의 소위 3품 시장에도 매상이 크게 증가했다. 특히 작년 하반기부터 회복하기 시작한 국내 주요 디지털 분야 설비투자가 올해 상반기에도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는 상태라, 지난해 한국오므론의 PLC 매출은 전년에 비해 20% 이상 성장할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5-28 17:52:20
메이저 PLC기업들의 시장전략/(6)한국미쓰비시전기
한국미쓰비시전기 이경륜 팀장(사진. 여기에) Q. PLC 인터뷰를 하게 되면, 본격적인 주제에 들어가기에 앞서 항상 하는 질문이 있다. 미쓰비시전기는 국내 PLC 시장에서 계속 선두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그 이유를 무엇이라고 보나? A. 아시아나 미국, 유럽에는 각각 고유의 브랜드가 하나씩 있다. 아시아는 미쓰비시, 미국은 로크웰 오토메이션, 유럽은 지멘스 등 나름대로 고유의 시장이 기본적으로 형성이 되어있는 것이 이유 가운데 하나인 것 같다. 그리고 미쓰비시 PLC는 고객이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쉽게 관리할 수 있다는 친화력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5-28 17:23:34
메이저 PLC기업들의 시장전략/(5)지멘스
지멘스 윤웅현 차장(사진. 여기에) Q. 지난 2020년 국내 PLC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회계연도의 기준에 따라 메이커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우리 지멘스의 경우 2019년 대비 2020년에 약 1~2%가량의 시장 감소를 예상했다. 실제로도 동종 업계의 실적 또한 나름대로 조사해 본 결과로는 전체적인 시장은 우리가 예상한 이하의 성장률을 보였다고 추정한다. 아무래도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변수 중 하나는 COVID19의 여파에 따른 중국 등의 지역에 수출하는 OEM 고객사들의 부진 등의 악영향이 약간 있었으나, 다행히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5-28 16:51:57
메이저 PLC기업들의 시장전략/(4)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박윤국 매니저(사진. 여기에) Q. 지난해 PLC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지난해 전반적으로 PLC 시장 규모는 축소된 것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프로젝트를 중지하거나 연기하는 부분이 많았고, PLC뿐만 아니라 산업계 전체적으로 타격이 있었다. 그럼에도 이차전지와 반도체 등의 분야에서 설비투자가 활발하게 이어지면서,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시장의 수요를 견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Q.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는 지난해 PLC 비즈니스 성과가 어땠나?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5-28 16:27:26
메이저 PLC기업들의 시장전략/(3)싸이몬
싸이몬 김승철 상무(사진. 여기에) Q. 지난 2020년 국내 PLC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한 예측 불가능의 연속이었다. 사업계획은 연초부터 틀어지기 시작했고, 투자심리는 위축되어, 실제 프로젝트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너무 어려운 한 해였다. 물론 시장상황은 더 나빠졌고, 대부분의 자동화 제조사 매출은 감소한 것으로 추측된다. PLC조합 등의 조사에 따르면 2018년 국내 PLC 시장은 5~6천억 원 정도였는데, 지난해는 반도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산업 분야에서 PLC 수요가 줄어서, 전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5-28 16:02:42
메이저 PLC기업들의 시장전략/(2)B&R
B&R 유지훈 부장(사진. 여기에) Q. 최근 B&R 코리아 사업이 활기를 띠고 있다는 소문이다. 요즘은 어떤 일을 많이 하나? A. 최근 환경규제가 심해지다 보니까, 컨트롤러라든지 뭔가를 장착해서 측정을 하고 제어를 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서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의무화하고 있는 선박평형수처리설비를 위한 컨트롤러라든가, 질소산화물 배출규제로 인해 SCR이라는 배출가스저감장치를 달아야 하는 등,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자꾸 뭔가를 장착하거나 설치를 해야 된다. 이렇게 되면 컨트롤을 해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5-28 15:35:34
메이저 PLC기업들의 시장전략/(1)Beckhoff Korea
Beckhoff Korea 이명복 이사(사진. 여기에) Q. 지난 2020년 국내 PLC 시장을 어떻게 평가하나? A. 국내 주요 거시 경제지표를 살펴보면, 코로나 영향에서도 실질GDP, 민간소비 및 건설투자는 감소했지만, 2020년 설비투자는 꾸준하게 이루어져 약 6.1% 상승했다는 보고가 있다. 이를 미루어 짐작해보면, 지난해 국내 PLC 시장은 대체적으로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올해에도 상반기는 다소 부진하겠지만, 하반기는 투자가 증대되어 작년과 비교하여 다소 높은 수치로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5-28 11:29:16
Special Report/메이저 PLC기업들의 시장전략(총괄본문)
PLC는 FA(Factory Automation)의 핵심제품이다. 지난해 국내 PLC 시장은 COVID-19의 영향과 IT 관련분야 이외에 전반적인 설비투자가 감소하면서, 전체적인 규모가 전년대비 소폭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슈퍼사이클에 들어선 반도체 분야의 투자와 해외 전기차 수요 확대가 산업계에 훈풍을 몰고 오면서, 현재 자동화 업계가 기대감에 들떠 있는 상황. 특히 해외 전기차 수요 확대에 따른 해외공장 신설 및 지속적인 투자가 이어지면서, 배터리 수요폭증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수주가 거의 30~50%까지 폭증, 반도체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1-05-28 11:14:09
FIRST
PREV
1
2
3
4
5
NEXT
LAST
기획
특집
더보기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8)유니버설로봇
IoT 게이트웨이 시장동향/(6)터크코리아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10)델타일렉트로닉스 코리아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9)헵코모션 코리아
‘SF AW 2021’ 주요 참가업체 스케치/(6)파익스
제품
뉴스
더보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암모니아에서 그린수소 추출 기술 개발 완료
아비바, 구독기반의 오퍼레이션 컨트롤 솔루션 출시
(주)에버온, 10㎾급 멀티 충전기 출시
정유 분야의 부식 모니터링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에머슨
많이 본
뉴스
【Monthly Issue】 ABB가 전기차 레이싱 ‘포뮬러E’를 후원하는 이유!
B&R 서보 드라이브, 전 세계 모든 공통 전원공급 시스템 지원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이노베이션 투어 2022’ 진행
하이크비전-SK네트웍스서비스, SI 총판 계약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여름철 전력 수요 증가 대비 전력 관리 솔루션 제안
정유 분야의 부식 모니터링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에머슨
LS ELECTRIC, 마이크로그리드 기반 ‘탄소중립’ 공원 조성한다
텍트로닉스, 오실로스코프 ‘2 시리즈 MSO’로 새로운 작업 환경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