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뉴스를 즐겨찾기에 추가

삼화DSP(주)
Today 인터뷰 산업뉴스 기획특집 기술제품동향 해외산업동향 산업정책동향

Today

  • 뉴스홈
  • Today
[인터뷰] "스마트 토털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다" 한국트럼프지엠비에이취(주) 김동우 상무 [인터뷰] "스마트 토털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다" 한국트럼프지엠비에이취(주) 김동우 상무 한국트럼프지엠비에이취(주)가 지난 5월 26일(수)부터 29일(토)까지 나흘 간 개최된 BUTECH 2021(2021 부산국제기계대전)에 참가해 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을 위한 TRUMPF만의 독자적이고 혁신적인 4차 산업혁명 솔루션을 소개하며 주목을 받았다. 동사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킨 신제품을 소개하며 스마트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나아가고 싶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한국트럼프지엠비에이취(주) 김동우 상무 판금 시장의 미래 가능성 제시 판금 산업에 요구되는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이라는 큰 틀에 맞춰 기계 김용준 기자 2021-06-17 08:36:30
삼화감속기 주용감 대표 "헬리컬 가공 설비 및 기술 내재화로 시장 확대할 것!" 삼화감속기 주용감 대표 "헬리컬 가공 설비 및 기술 내재화로 시장 확대할 것!" (주)삼화감속기 주용감 대표이사(사진. 여기에) 1987년 창업한 이래 35년간 국내 감속기 시장을 지켜온 (주)삼화감속기(이하 삼화감속기)가 헬리컬 웜 감속기, 역전방지가 가능한 스크류 잭 등 자체 기술력 기반의 감속기 라인업을 앞세워 시장을 확대한다. 삼화감속기는 웜 감속기를 비롯해 헬리컬 웜 감속기, 기어드모터, 스크류 잭 등 다양한 제품을 개발·출시해오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였다. 특히 동사는 유수 감속기 브랜드와 경쟁하기 위해 SNCM23종 침탄강을 사용함으로써 타사의 기어재질보다 업그레이드된 치면 강도를 실현, 소재/부품 정대상 기자 2021-06-15 18:32:31
프랑스 전기자동차 시장동향 프랑스 전기자동차 시장동향 시장규모 및 동향 2020년 코로나19로 프랑스 자동차 판매율은 -25.5%로 1975년 이래 최악의 수치를 기록했으나 전기자동차 판매 실적은 매우 좋은 편으로, 2019년 대비 180%가 상승한 19만5000대(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혼합기준, 100% 전기차는 110,912 대 판매)가 판매됐다. 특히 2020년 12월에는 한 달간 전체 자동차 시장의 16.2%에 해당되는 3만 70,00대가 판매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l’Avere-France의 Goubet 씨는 이를 “비단 정부의 친환경차 구매보조금 Global Info 김용준 기자 2021-06-11 15:58:12
미국 스마트 센서 시장동향 미국 스마트 센서 시장동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정의에 따르면 스마트 센서는 센싱 기능에 데이터처리, 의사결정, 통신기능 등이 결합돼 자동보정, 상황판단, 네트워킹 등이 가능한 차세대 지능화 센서로서, 오늘날 스마트 센서는 공조 시스템(HVAC), 모바일 기기, 웨어러블 기기, 자동차 등의 제품에서 모니터링, 측정 및 제어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 센서는 HS 코드 9032.00(자동조절용 또는 자동제어용 기기)에 해당된다. 센서 제품은 센서의 용도, 형태, 기업의 수출입 통관 관련 행정업무 관례 등에 의해 다양한 HS코드로 분류되고 있기 때 Global Info 김용준 기자 2021-06-11 15:44:03
단파장 적외선 영역의 공유결합성 친환경 퀀텀닷 소재 개발 단파장 적외선 영역의 공유결합성 친환경 퀀텀닷 소재 개발 반응물의 확산 속도 조절을 통한 콜로이드 InAs 양자점의 성장(사진. 한국연구재단) 기존 한계를 넘어 가시광선부터 적외선 영역까지 흡수하는 친환경 양자점 합성 방법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성균관대학교 정소희 교수 연구팀이 공유결합성 친환경 양자점의 성장 원리를 규명하고 단량체의 확산속도를 세밀하게 조절, 양자점의 성장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합성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적외선 응용분야는 군사, 의료, 광통신 분야, 자율주행 자동차용 센서 등과 같이 무궁무진하지만, 적외선 영역에서 광학적 특성을 가지기 위해 기존에는 전기 김용준 기자 2021-06-10 15:36:37
(주)새빛맥스
UNIST, 단일 양자점 밝기와 색깔 조절하는 기술 최초 개발! UNIST, 단일 양자점 밝기와 색깔 조절하는 기술 최초 개발! (사진. UNIST) UNIST 물리학과 박경덕 교수와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정소희 교수 공동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입자 하나가 내는 빛의 밝기와 파장을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능동형 탐침증강 광발광 나노현미경’의 탐침으로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에 높은 압력을 가해 구조적 변형을 유도함으로써 양자점 빛의 밝기와 파장을 바꾸는 기술을 쓴 방식이다. 특히 이 기술로 양자점의 밝기를 10만 배 이상 밝게 만들 수 있어 초고휘도(밝기) 디스플레이에 응용할 수 있다. 양자점은 수 나노미터(㎚, 전기 김용준 기자 2021-06-07 14:55:08
(주)초록밸브, 밸브 관련된 문제 해결사 역할 톡톡 (주)초록밸브, 밸브 관련된 문제 해결사 역할 톡톡 초록밸브 박철수 대표이사 (주)초록밸브(이하 초록밸브)는 자체적인 기술을 토대로 기업들이 당면한 밸브 관련 문제 해결에 방안을 제시하며 길잡이 역할을 톡톡히 해내며 고객들에게 “문제해결은 초록밸브”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동사의 전동밸브는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여러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품질을 자랑하고 있다. 최근 기업들이 생산 속도를 높이고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생산과정에 정보융합기술이 통합된 스마트팩토리에 관심이 집중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스마트팩토리에 필요한 밸브, 센서 등 관련된 부 자동화 정하나 기자 2021-06-04 15:11:08
산업부-정유업계, 탄소중립 위한 협의회 개최 산업부-정유업계, 탄소중립 위한 협의회 개최 산업부가 정유업계와 탄소중립 논의를 이어간다(사진. 여기에)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6월 2일(수) 정유업계와 함께 제2차 정유업계 탄소중립 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정유업계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2050 탄소중립 정책에 동참하기 위해 협의회를 발족하며 대응방향을 공유한 바 있으며 이번 2차 협의회에서는 정부의 지원활동과 함께 탄소중립에 필요한 기술개발 로드맵 추진계획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2050년 태양광, 풍력 등과 같은 재생에너지가 전체 에너지 공급의 66%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에 따른 화석연 에너지/환경 김용준 기자 2021-06-03 09:18:59
[인터뷰] Cygbot, 작고! 가벼운! CygLiDAR로 대중화 이끌다 [인터뷰] Cygbot, 작고! 가벼운! CygLiDAR로 대중화 이끌다 Cygbot 이현민 대표 레이서 센서 위한 연구는 지속된다 Cygbot은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2D/3D 환경을 인식하는 2D/3D Dual Solid State ToF 센서인 CygLiDAR를 개발, 이를 통해 실시간 물체 감지 정보를 제공하고 광범위한 로봇 등의 산업 분야에 호환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동사는 ▲레이저 2D/3D 센서 알고리즘 및 이미지 처리 ▲LiDAR를 이용한 무인 차량의 실내외 위치 추정 ▲자율 주행 위치 인식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ToF 및 Structured Lig 제어/계측 정하나 기자 2021-06-03 08:27:57
[인터뷰] 엘코퍼레이션, 퓨즈1(Fuse1) 단독 공급으로 라인업 확장 [인터뷰] 엘코퍼레이션, 퓨즈1(Fuse1) 단독 공급으로 라인업 확장 엘코퍼레이션 임준환 대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2019년 발표한 ‘2018년 3D 프린팅 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3D프린팅 시장은 2018년 3,958억 원을 기록했으며, 연평균 16.2%씩 성장해 2020년 5,383억 원에서 2022년에는 6,296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 바 있다. 이에 3D 프린터 전문 기업 엘코퍼레이션은 12개의 3D프린터 관련 브랜드를 취급하며 3D프린팅 대중화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지에서는 국내와 3D프린터 발굴 및 해외 시장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3D프린팅 정하나 기자 2021-06-02 08:18:58
사출성형 전문기업 (주)우진플라임, 제1회 사출성형기술 온라인 웨비나 개최 사출성형 전문기업 (주)우진플라임, 제1회 사출성형기술 온라인 웨비나 개최 지난 5월 28일(금) 오후 2시 (주)우진플라임이 ‘제1회 사출성형기술 온라인 웨비나’를 전격 개최했다. 이번 웨비나는 고사양 및 고품질의 사출성형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현 시점에 맞게 우진플라임이 생산 공급하는 장비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불량 원인을 분석하고 성형조건을 통한 이상적인 사출품을 추출할 수 있는 과정을 소개하며 사용자의 편의성 개선과 이해력 향상을 도왔다. (주)우진플라임 측은 향후에도 지속적인 웨비나를 통해 고객 만족 서비스를 향상시켜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우진플 화학/고무/플라스틱 김용준 기자 2021-06-01 10:33:36
니세이ASB 인도 생산 자회사 연수원 'ASBI', 일본식 제조 연구소 인증 획득 니세이ASB 인도 생산 자회사 연수원 'ASBI', 일본식 제조 연구소 인증 획득 수료증 교부 기념촬영하는 니세이ASB 히로마츠 상무(앞 열 제일 왼쪽 / 사진. 경제산업성) 니세이ASB 인도 생산 자회사의 연수원(ASBI, ASB INTERNAL PVT LTD)이 일본 경제산업성으로부터 ‘일본식 제조 연구소(JIM, Japan-India Institute for Manufacturing)’ 인증을 획득했다. JIM 프로그램은 인도의 제조 분야 인재 육성을 위해 협력하고자 지난 2016년 11월 일본-인도 간 정상회의에서 합의됐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일본계 기업이 인도에 설립하는 인재 육성 화학/고무/플라스틱 정대상 기자 2021-06-01 06:40:44
FIRST PREV 5152535455 NEXT LAST
다셀(주)
기획특집 더보기
국내 SCADA 시스템 시장동향 /(3)한국지멘스 국내 SCADA 시스템 시장동향 /(3)한국지멘스
국내 SCADA 시스템 시장동향 /(2)AVEVA Korea 국내 SCADA 시스템 시장동향 /(2)AVEVA Korea
국내 SCADA 시스템 시장동향 /(6)GE Digital 국내 SCADA 시스템 시장동향 /(6)GE Digital
[KOPLAS 2023 Review] 플라스틱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키워드, ‘친환경’과 ‘탄소중립’② [KOPLAS 2023 Review] 플라스틱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키워드, ‘친환경’과 ‘탄소중립’②
[KOPLAS 2023 Review] 플라스틱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키워드, ‘친환경’과 ‘탄소중립’① [KOPLAS 2023 Review] 플라스틱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키워드, ‘친환경’과 ‘탄소중립’①
오토베이스
제품뉴스 더보기
남방CNA(주), 산업용 에어로졸 제품군 갖춰 KOPLAS 2023 참가 남방CNA(주), 산업용 에어로졸 제품군 갖춰 KOPLAS 2023 참가
Beckhoff 멀티터치 컨트롤 패널 및 패널 PC 10주년 기념 인터뷰 Beckhoff 멀티터치 컨트롤 패널 및 패널 PC 10주년 기념 인터뷰
Beckhoff, 자동차 제조사를 위한 EtherCAT 및 PC 기반 자동화 턴키 솔루션 Beckhoff, 자동차 제조사를 위한 EtherCAT 및 PC 기반 자동화 턴키 솔루션
미세 조립에 활용되는 지능형 제품 이송 시스템/Beckhoff 미세 조립에 활용되는 지능형 제품 이송 시스템/Beckhoff
많이 본 뉴스
대하기전, CNC 스프링 기계 분야서 30년 이상 업계 신뢰 구축 대하기전, CNC 스프링 기계 분야서 30년 이상 업계 신뢰 구축
[KOREA CHEM 2025] 콤프코리아, 기어리스 타입 2단 압축 콤프레샤 등 콤프레샤 혁신 기술 공개 [KOREA CHEM 2025] 콤프코리아, 기어리스 타입 2단 압축 콤프레샤 등 콤프레샤 혁신 기술 공개
회사소개 기사제보 고객센터 청소년 보호책임자 : 김영철 개인정보취급방침
여기에뉴스
제호 여기에 등록번호 : 대구북,라00014 발행·편집인 : 김영철 등록일자 : 2003.06.17 사업자번호 : 504-81-26194 대표이사 : 김영철
  • 대구시 북구 침산남로 80 침산태왕리더스 상가동 3층 전화 : 053-354-0889 팩스 : 053-356-0889
  • 서울시 금천구 벚꽃로 286 리더스타워 710호 전화 : 02-2026-6900 팩스 : 02-2026-6889
Copyright (c) 한국종합기술 Co., Ltd. All rights reserved. 산업뉴스의 사전동의 없이 뉴스 및 컨텐츠를 무단 사용할 경우 저작권법과 관련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