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뉴스를 즐겨찾기에 추가
검색
메뉴 열기/닫기
Today
인터뷰
산업뉴스
기획특집
기술제품동향
해외산업동향
포토/카드뉴스
기술제품
동향
뉴스홈
기술제품동향
[기획특집] 스마트공장 정보시스템 구축 방향Ⅰ
통합정보시스템이란 MES, SCM, ERP 및 Groupware 등의 솔루션을 하나로 묶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해당 솔루션들이 시스템 내에서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하는지 파악함으로써 해당 업체의 전문 분야에 대한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사출성형 전문 기업 또한 마찬가지이다. 본문에서는 (주)유비덤 정하문 연구소장이 사출성형 스마트팩토리 분야에서 경험한 40여 년간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사출성형 MES, SCM, ERP에 대해 3회 연재로 소개한다. 스마트공장 핵심 MES 구축 방향 MES(Manufactur
화학/고무/플라스틱
문정희 기자
2021-05-25 16:29:35
파워장치부터 시험설비, 모터제어장치까지! 제품 라인업 구성
파워장치(사진. 알프스전기) 알프스전기는 최적의 기술을 바탕으로 파워장치, 시험설비, 모터제어장치 등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기업은 최대 효율을 보장하면서도 출력 보호 및 안전성을 기본으로 충족하는 설비를 공급하며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왔다.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안전한 장치를 개발 및 적용함으로써 인지도를 넓혀가고 있어 눈길을 끌었다. 알프스전기는 설립 이후 파워장치 및 시험 설비 등을 설계 제작하며 산업군을 넓혀왔다. 특히 동사는 자동차, 디지털, 방위산업까지 다방면의 분야에 제품을 납품함으로써 차별화된 레퍼런스를 확보했는데, 설
전기
문정희 기자
2021-04-27 11:53:53
고려대학교 연구팀, 알루미늄 직물 기반 고성능 이차전지 전극개발
직물기반 이차전지 전극의 제작방법(사진.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학교 조진한 교수와 이승우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직물 소재에 금속 나노입자 코팅과 알루미늄 전기도금을 통해 고전도성 알루미늄 전극을 제조했다고 밝혔다. 고전도성 알루미늄 전극은 배터리 양극재로 쓰일 수 있다. 리튬이온 이차전지 배터리의 음극재와 양극재는 주로 구리와 알루미늄 박막 필름 위에 코팅하지만, 최근에는 많은 기공을 가진 전도성 직물 위에 코팅해 단위면적당 더 많은 에너지 물질을 도입, 배터리 성능을 향상시키려고 노력해왔다. 그러
전기
김용준 기자
2021-04-07 14:27:52
일본 사출기 제조사, 열경화성 고형 고무 사출 특화된 기술 개발
GL-LSR시리즈(사진. 소딕) 일본계 사출기 기업 소딕(SODICK)이 차세대 ‘탈기 기능 열경화성 고무사출기 GL-LSR시리즈’를 출시한다고 지난 3월 8일(월) 전했다. GL-LSR시리즈는 에어트랩을 대폭 개선해 자동차, 철도, 항공기 등 다양한 분야에 대응할 수 있는 기종이다. 소딕의 독자적인 신기술인 ‘탈기 기능이 있는 스태퍼 박스’를 탑재함으로써 액상 재료에 비해 점도가 높은 고형 고무소재 사출 시 문제가 되는 에어트랩(금형 내에서 공기가 갇힌 상태)을 일으키는 공기를 완전히 제
화학/고무/플라스틱
정대상 기자
2021-03-26 16:35:11
고화질 영상 녹화 가능한 실외 보안 카메라 ‘Tapo C310’
티피링크코리아가 선보인 와이파이 보안 카메라 Tapo C310(사진. 티피링크코리아) 티피링크코리아(이하 티피링크)가 실외용 와이파이 보안 카메라 ‘Tapo C310’을 출시했다. 이들은 야외 환경에서도 300만 화소의 고화질 영상 녹화를 보장하는 실외 보안 와이파이 카메라를 출시, 실외의 보안을 안전하게 감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Tapo C310은 어둠과 비바람 속에서도 선명한 화질을 제공한다. 이는 어둠 속에서도 최대 30m(98피트)의 시야 거리를 지원하는 ‘고급 나이트 비전&rs
방송/미디어
정대상 기자
2021-02-23 14:37:46
KERI 하윤철 박사팀, 공침법 이용 전고체전지용 황화물 고체전해질 합성 기술 개발
KERI 하윤철 박사가 공침법을 이용해 고체전해질 저가 대량생산 기술을 개발했다(사진. KERI)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 차세대전지연구센터 하윤철 박사팀이 공침법을 이용해 전고체전지용 황화물 고체전해질을 저가로 대량 합성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은 리튬이온배터리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차세대 배터리라고 불리는 전고체전지의 기술 개발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접촉을 방지하는 분리막이 위치하고
전기
김용준 기자
2021-02-22 16:01:39
헬스케어용 초고감도 호흡 및 피부 비접촉 센서 개발됐다
광운대학교 연구팀이 헬스케어용 고성능 호흡 및 피부 비접촉 센서를 개발했다(사진. 광운대학교). 광운대학교 전자재료공학과 오종민 교수 연구팀이 헬스케어용 고성능 호흡 및 피부 비접촉 센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헬스케어용 초고감도 호흡 및 피부 습기 비접촉 센서는 열적/물리적으로 안정된 세라믹 재료가 사용됐다. 연구팀은 혁신적인 센싱 메커니즘 기반의 나노 복합 소재 합성 및 경제적인 코팅 공정 기술 등을 통해 기존 재료/공정 한계를 극복, 고감도/고내구성의 습기 센싱 특성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비접촉 방식으로 1
제어/계측
정대상 기자
2021-02-17 13:31:42
전기전도도 250배 향상된 고분자 제작 기술 개발
전도성 고분자의 전기전도도 향상 메커니즘 모식도(사진. DGIST) DGIST 신물질과학전공 이성원 교수 연구팀이 기존보다 전기전도도를 250배 이상 향상시킨 전도성 고분자(PEDOT:PSS)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피부부착 및 삽입형 생체전극 등 생체의료기기 분야 개발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고령화 사회의 진입과 개인맞춤형 진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대두되면서 웨어러블 의료기기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전자기기는 피부에 장시간 밀착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자극이 없는
전기
최난 기자
2020-12-10 16:06:55
꿈의 기술 앞당길 광전극 효율향상 기술 개발
용액공정(EDC 공정)으로 제조된 이종접합구조(CuBi2O4/CuO) 광전극 모식도(사진. 한국연구재단) 화석연료를 이을 신재생에너지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수소에너지. 흡수한 태양광을 이용해 물을 분해, 수소를 생산하는 구리 비스무스 산화물 광전극의 성능향상 실마리가 나왔다. 한국연구재단은 아주대학교 조인선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신성식 박사 연구팀이 기존 대비 4배 이상 높은 태양광-수소 전환효율을 갖는 수소 전극소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청정에너지원인 태양광을 이용해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해, 수소를 얻는 과정에 탄소를 전혀 배
전기
최난 기자
2020-12-09 15:45:47
DGIST 연구팀, 차세대 이차전지인 칼슘이온전지 성능 높인 핵심 소재 개발
DGIST 에너지공학전공 홍승태 교수 연구팀(사진. DGIST) DGIST 에너지공학전공 홍승태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이차전지로 각광받는 칼슘이온전지용 양극소재인 NaV2(PO4)3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로 기존에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의 용량과 성능을 개선한 칼슘이온전지의 상용화가 앞당겨질 전망이다. 리튬이온전지는 모바일 기기 및 전기차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이차전지이다. 그러나 최근 더 좋은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 높은 에너지밀도를 가진 이차전지가 요구되면서 리튬이온전지의 구현 가능한 에너지밀도가 한
전기
정대상 기자
2020-12-02 15:27:44
전원장치 안정화를 위한 저손실 에너지 절약형 변압기
저손실 에너지 절약형 변압기(사진. 신승트랜스포머) 각종 트랜스포머를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신승트랜스포머’가 차별화된 저손실 에너지 절약형 변압기로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이들은 최적의 설계 기술과 오랜 노하우를 기반으로 트랜스포머를 생산, 전원장치의 안정화를 실현했다. 동사는 엄선된 재료, 우수한 제작 경험, 엄격한 품질관리로 일반 고압 트랜스, 오토 트랜스, 쵸크 트랜스, 몰드 변압기, 스코트 변압기 및 특수 트랜스를 생산하며 산업용·공업용·기동용 등 다양한 분야 대응하고 있
제조.유통
최난 기자
2020-10-19 17:09:41
국내 최초 고양정·고효율 실현한 ‘횡형다단원심펌프’ 주목
(주)세고산업의 횡형다단원심펌프(사진. (주)세고산업) 산업용 펌프의 ‘메이드 인 코리아’ 생산을 모토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투자를 통해 펌프의 국산화를 실현하는 (주)세고산업이 입형 펌프에 이어 횡형 펌프까지 기술개발에 성공하며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했다. 특히 동사의 횡형 펌프는 고효율, 고양정, 대유량, 고온용 등 기존 제품에는 볼 수 없는 특징으로 외산 제품 대비 특별함을 갖추고 있다. 입형 펌프에 이어 횡형 펌프 개발 끊임없는 기술 개발로 부스터펌프시스템, 고압용 다단원심펌프, 침수형/더블씰/고온용 입
모터/펌프/컴프레서
문정희 기자
2020-10-16 16:10:33
FIRST
PREV
1
2
3
4
5
NEXT
LAST
기획
특집
더보기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 하이라이트 /(14)발루프코리아(Balluff Korea)
[KOPLAS 2023 Review] 플라스틱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키워드, ‘친환경’과 ‘탄소중립’②
‘2023 INTER BATTERY’ 하이라이트/(2)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 하이라이트 /(15)트윔
[KOPLAS 2023 Review] 플라스틱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키워드, ‘친환경’과 ‘탄소중립’①
제품
뉴스
더보기
Beckhoff Vision: TwinCAT Vision 소프트웨어를 보완해 주는 하드웨어 포트폴리오
미세 조립에 활용되는 지능형 제품 이송 시스템/Beckhoff
Beckhoff 혁신 기술, 임베디드 PC 개발 20주년과 XTS 개발 10주년
남방CNA(주), 산업용 에어로졸 제품군 갖춰 KOPLAS 2023 참가
많이 본
뉴스
[인터뷰] 콘베어 및 자동화 주변기기의 규격화를 실현하는 물류전문가 현대콘베어(주)
[Field Report] We are the Engineers of Productivity, 한국훼스토(주)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2023년도 신입사원 특별 채용 진행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 하이라이트 /(9)Open Control(오픈컨트롤)
Yokogawa, AI 기반 Viewport 소프트웨어 전 세계에 제공하기 위해 Radial Software Group과 파트너십 체결
Yokogawa와 오츠카 화학, 중간분자 약물의 CRDMO 비즈니스를 대상으로 하는 SynCrest Inc. 합작법인 설립
슈나이더 일렉트릭, 2022년 지속가능성 영향 (SSI) 성과 발표
Beckhoff의 Karl Weber 박사, IEC 어워드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