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높이 날아가는 중국의 민간 항공시장 향후 20년간 6020대의 여객기 수요 급증 이예지 기자 2014-11-04 09:13:58

하늘 높이 날아가는 중국의 민간 항공시장

- 향후 20년간 6020대의 여객기 수요 급증


중국, 2032년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여객기 시장으로 부상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에 따르면 중국은 향후 20년간 6,020대(8,700억 원)의 여객기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보잉의 지난해 예상치 5,580대 보다 8% 늘어난 것으로 중국의 여객기 보유 대수는 현재 보다 3배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33년, 중국의 여객기 수요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 수요의 4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객기 보유 증가에 따라 중국은 2029년까지 330대의 신규 화물기를 도입해 현재 화물기의 3배로 늘어날 전망이다.


2017년, 전 세계 1/4의 신 항공 여행객은 중국인

중국의 민간항공기 수요는 중산층의 확대로 인한 항공 여행객 증가와 정부의 민영항공사 설립 규제 완화 및 항공 관련 규제 완화 등의 요인으로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

2013년 5월 중국항공당국은 국영항공사 보호 및 발전을 위해 6년간 지속해 온 민영 항공사 설립 제한 조치를 해제했는데 이로 인해 중국 내 지방항공사와 저가항공사가 시장을 공략하면서 항공기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분석되며, 현재 중국 민항시장은 중국 국제항공, 중국 남방항공, 중국 동방항공 등 3대 국영항공사가 과점을 하고 있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도 아시아 지역에서 연간 1만5,000달러를 벌어들이고 있으며 항공료를 낼 수 있는 인구가 2030년이면 10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민간 항공 산업 육성 전략

중국 정부는 저공비행 기준을 2015년까지 3280피트 이하로, 2020년까지는 3000피트 이하로 낮추겠다고 밝혔다. 또한 공역(空域)개방, 베이징·상하이 지역 개인용 경비행기 상점 건설 등 개인 항공비행이 보편적인 교통방식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중국의 발전전략 전문가 우젠동에 따르면 저공 비행기를 위한 영공 개방은 내수시장과 경제를 발전시켜 다른 카테고리에 있는 비즈니스 제트기 대중화까지 가속화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이 뿐만 아니라 중국정부는 민간 항공 산업 육성을 위해 33억 달러 규모의 투자펀드를 만들었으며, 이 펀드는 새 공항 건설, 정저우와 같은 항공경제특구, 저가항공사에 자금을 공급하는 일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민간항공국은 내년에 완료되는 5개년 계획에 따라 80개 공항을 새로 건설하고 또 다른 100개 공항을 확장하는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러한 계획이 차질 없이 시행 된다면 중국 공항 수는 총 230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국내 항공기부품산업의 수출 현황 및 중국의 수입 규제 제도

2012년 대중국 비행기 부품 수출 증감률은 -7.9%를 기록했지만 중국의 민간항공기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2013년 60.6%의 급격한 증가율을 보였다.

국내업체가 부품을 외국 항공기업체로 수출하기 위해서는 외국 항공업체가 지정하는 시험기관으로부터 공인시험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 자국 내 인증요건을 획득했더라도 국가 간 상호 감항성 인증협정(BASA)이 체결되지 않았다면 자체개발 항공기 및 부품의 해외수출이 불가능하다. 현재 한국은 자체 품질인증제도를 구비하고 있으나 주로 기체구조시험, 추진시험 및 풍동시험장비 위주이며 항공전자, 전기 계통 등 각종 기능부품의 시험평가 설비는 미비하다.



전망 및 시사점


중국의 항공 분야별 제조 현황: 2007~2012


(단위: 대)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Aircraft

34,777

38,466

40,008

44,752

51,477

52,300

Aircraft/Spacecraft Engines and Other Parts

54,847

67,541

76,693

88,632

98,448

110,311

Spacecraft

5,831

7,041

7,279

8,736

9,131

10,422

Total

95,455

113,048

123,981

142,120

159,055

173,032

(자료원: Euromonitor)


중국 국내 항공시장은 10년 전보다 3.6배 발전했으며 중국 정부는 지속적으로 국내 항공산업에만 1만5000억 위안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항공기 제작을 위해서는 300~500만 개의 부품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항공기 제작 시 수많은 협력업체를 통해 공급을 받게 된다. 항공기 제작과 관련된 업종으로 기계(수치제어공작기계, 항공장비 설비), 전기전자·소재(티타늄, 알루미늄합금, 탄섬유), 계측기, 화공 등 많은 업종과 관련돼 있어 민간 항공 시장의 확대는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항공기는 대량생산이 가능한 제품이 아닌 연간 생산량이 제한되는 등 생산규모가 소량이기에 제작이 필요한 부품 수요도 소량이거나 제한된 경우가 일반적이다. 항공기 부품의 종류와 수는 수십만 종이기에 항공기 부품산업에서는 소량다품종 생산방식이 취해질 수밖에 없다. 궁극적으로 국내 항공기부품 산업의 육성전략은 기술축적 및 개발을 통해 자체적 공급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대형 해외 완제기 개발 사업에 참여해 항공기 부품의 수출 산업화를 도모해야한다.


* 자료 : KOTRA 글로벌윈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