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취재진은 신축공장으로의 이전을 통해 우수한 산업용 로봇 시스템을 공급하며 믿음직한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주)로보아트를 방문해 보았다. (주)로보아트는 최근 스토블리(STAUBLI)사와의 협력을 통해 고정밀 로봇을 공급하기로 하였고, 덴겐사(電元社)의 로봇건을 통해 기존의 기술보다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이는 등 그 사업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이미 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산업용 로봇 시스템에 관한한 기술적인 인정을 받고 있는 만큼 향후 행보가 성공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는데 그 추진내용에 관심이 모아진다. 로봇산업의 발전과 함께 항상 도전하는 (주)로보아트의 백정한 대표를 만나 새로운 보금자리에서의 전략을 들어보았다.
취재 이미순 기자(press2@yeogie.co.kr)
새로운 보금자리를 통해 로보아트의 이미지 제고를 가져오며 도약의 발판으로 로보아트는 산업용 로봇에 관한 숙련된 엔지니어와 로봇기술 연구소의 끊임없는 연구노력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대지 600평에 건평 200평 규모의 신축공장에 지난 5월 이전하며 더욱 그 입지를 단단하게 하고 있는데, 2층의 사무동과 1층의 공장, 기술연구소에는 많은 산업용 로봇들이 한번에 시스템을 구축하고, 테스트를 받을 수 있게 마련되어 있다.
본 취재진이 방문했을 때는 출시를 기다리는 산업용 로봇 시스템을 비롯하여 얼마 전 『2006 울산산업박람회 &과학기술제전』에 선보인 로봇 놀이기구가 있었다.
이중 로봇 놀이기구는 산업용 로봇에 2인용 의자를 장착하여 만든 놀이기구로, 학생들이 긴 줄을 서서 장시간 기다리기도 했을 만큼 행사 기간 중 가장 인기가 있었고, 로보아트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도 만들었다.
신축공장에서 이루어지는 로봇 시스템 구축작업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스템을 납품하기 전에 1차로 테스트작업을 거치기 때문에 에러율이 크게 낮아졌다. 따라서 실제 고객사에서의 설치시간도 줄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 것이다.
로봇시스템 설치작업과 사후 관리면에서도 현격한 성과를 보이는 만큼 로보아트의 기술력 향상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특히, 매출면에서도 작년의 2배에 달하며 그 규모나 질적인 성장을 통해 더욱 고급기술을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지난 2005년 2월 본지를 통해 소개되었던 로보아트를 다시금 방문하는 일은 뜻깊은 일이었는데, 더욱이 사세를 더욱 확장하여 이전한 만큼 그간 쉼없이 연구하고 기술지원을 했을 것이라 여겨진다.
지능형로봇이 이슈화 되고는 있지만 아직까지 실질적인 로봇산업의 비중이 산업용에 맞추어진 상황에서 국내 SI업체의 선전은 국내 로봇산업의 실질적인 기술력 축적이라는 부분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로보아트의 도전은 현재진행형
로보아트는 산업용 로봇 시스템 엔지니어링 전문회사로, 산업용 로봇을 생산현장에 도입하기 위하여 면밀한 적용, 검토부터 로봇 자동화 시스템의 구축까지 최적의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동사에서 공급한 로봇 시스템뿐만 아니라 국내외에서 공급된 로봇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게끔 개선, 유지, 보수 등 사후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지난 1998년 설립된 이래 로봇시스템엔지니어링 국제 품질규격인 ISO9002 인증획득을 필두로, 병력특례지정업체 선정 등 성장세를 달리고 있는 등 활발한 행보를 보인다.
현재는 기업부설 ‘로봇기술 연구소’를 운영하며 최선의 로봇시스템 공급에 앞장서고 있으며, 중국 상해시에 ‘상해사무소’ 개설을 통해 해외로의 진출방향도 모색하고 있다.
그리고 주요 고객인 현대자동차, 쌍용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생산 업체에 로봇 시스템 엔지니어링 협력업체로 등록되어 첨단의 로봇기술을 공급하며 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즉, 새로운 시대의 흐름에 따른 로봇 자동화의 비전을 제시하여 복잡화, 다양화의 요구에 대응되는 효율적인 로봇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신기술 벤처기업 인정, QS9000 품질경영시스템 인증획득, 지역특화기술개발기업 선정(산업자원부 장관), 기술혁신형 중소기업(INNO-BIZ) 선정되는 등 활발한 로보아트의 도전이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특히 올해는 지난 5월에 울산시 북구 효문동으로 본사 및 공장을 확장이전하여 사업규모가 크게 늘어나서 대외적인 기업이미지가 더욱 확고해지는 계기를 만들었다. 그리고 겹경사로 기술보증기금 우량기술기업으로 선정되어 다시금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고정밀 스토블리 로봇(STAUBLI ROBOTICS)의 기술공급 시작
로보아트는 세계 5개 대륙에 진출하여 항상 뛰어난 기술을 추구하는 스토블리사로부터 메카트로닉스 기술과 풍부한 노하우를 전수받기로 했다. 이로써 높은 생산력을 목표로 하는 시장을 대상으로 로봇 시스템의 설계, 제조, 판매 및 서포트를 할 수 있게 되어 국내 로봇공급 시장에도 양질의 로봇을 신속하게 공급하는 만큼 산업성장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토블리 로봇기술은 산업용 로봇의 특정 분야인 레이저 용접 로봇 시스템과 레이저 절단 그리고 플라즈마 절단 로봇 시스템을 주축으로 국내에 공급할 계획이다.
이로 인해 산업용 로봇의 필수 작업장인 철강, 자동차 그리고 차체 생산공정 등의 주요 산업현장에서 생산성 향상에 지대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현으로 고객층 확보에 적극적인 자세
높은 생산성과 정밀도를 특징으로 하는 스토블리 산업용 로봇은 모든 분야에 대해 고품질, 고성능의 제품으로 폭넓게 구비되어 있다.
이에 관절로봇, 스카라형(수평다관절) 로봇, 중작업용 로봇, 컨트롤러, 소프트웨어 및 전문 어플리케이션이 가능한 것이다.
조작, 조립작업, 복합 궤적을 필요로 하는 작업과 팔레트 운반, 청소 등 다양한 조작의 실현이 가능하고, 플라스틱 공학, 도장 분야에 사용할 수도 있으며, 지난 2004년 보슈레크스로스사의 로봇사업 인수로 인해 스카라로봇에서 중작업용 로봇에 이르기까지 로봇시장에서 가장 풍부한 기종을 구비하게 되어 더욱 막강한 파워를 가지고 있다는 평가이다.
또한, 스토블리의 산업용 로봇은 특수 씰 구조로 클린룸 클래스 1에서 폭약, 먼지와 티끌, 식품가공, 무균성 등의 혹독한 환경에 이르기까지 극한의 조건 아래에서 작업에 대응한다.
따라서 식품 가공, 분해, 팔레트 운반 등의 식품산업에서 고성능의 조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반도체, 디스플레이, 조립부품, 표면처리 등의 전자공학과 연구실에서의 연구작업, 사출형성의 오토메이션, 의료기기의 생산, 무균환경에서의 작업이 가능하여 바이오 테크놀로지 분야와 기계 분야에서 그 효용성이 더욱 커진다.
공작기계 서비스, 3차원 측정, 마킹, 면처리기, 연마, 고압박리, 용접 및 레이저 절단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일본 덴겐사의 서보 건 공급
항상 도전과 사업의 혁신을 꾀하고 있는 로보아트는 스토블리사의 로봇기술 전수 외에도 산업용 로봇의 스폿 용접건 제작 전문 메이커인 일본의 덴겐사(電元社)로부터 에어건 대용으로 개발된 서보 건을 국내 대리점을 체결하였다.
이 서보 건은 높은 용접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용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 스패터를 최소화한다. 이로써 향후 산업용 로봇의 스폿 용접 건은 서보 건으로 대체해가는 추세이다.
로보아트는 한발 빠른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일본 덴겐사로부터 다음의 3가지 기종의 서보 건을 국내에 공급하게 된다.
우수한 제품으로 국내에서 그 성장성이 기대되고 있는데, 고강도, 고정밀의 LM Guide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LM Guide 형식의 C-Gun은 모터를 직접구동하기도 하고 모터를 역전환시키는 시스템으로도 작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C-Gun과 같은 고강도, 고정밀의 LM Guide를 사용하는 LM Guide 형식의 X-Gun은 구조가 기존의 관절 형식이 아니기 때문에 제어하기가 쉽고, 프로그램을 만들기가 간편한 것이 큰 장점이다.
한편, 뛰어난 내구성과 고강도의 RV 감속기어를 사용하는 Reduction Gear 형식의 X-Gun은 주축이 완전히 봉인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용접시 발생되는 스용접 스패터부터 철저하게 보호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GUN의 중앙에 변압기가 설치된 형태로서 전체적인 구조가 좌우 대칭의 균형잡힌 상태로 유지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종합적이고 혁신적인 제품으로 시스템을 강화하여 고급화 달성
기존에 로보아트에서는 산업용 로봇시스템을 구축 판매(적용검토, 설계, 제작, 설치시 운전)하는 것을 주로 하였다. 또한, 로봇설치 공사, 로봇 시운전 작업(티칭 및 PLC 프로그래밍)을 하는 로봇 서비스 엔지니어링과 로봇 주변장치 개발 판매(로봇 외부배선 제작 및 I/L반 제작, 로봇 하네스 제작, 스폿용접용 복합케이블, 스폿용접용 로봇의 스위벨 유닛, ATD)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산업용 로봇에 관한 사업분야를 넓히며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칠 것이라고 하니 내년의 성장세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백정한 대표는 “고객들이 로보아트의 시스템과 기술을 믿고 찾아주신 만큼 최선을 다해 납기를 맞추고, 기술 서비스를 지원하여 지금껏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고객과의 약속을 앞으로도 성실히 이해하며 최상의 시스템 공급에 전력할 것입니다.”며, 초심과 같은 자세로 우수한 기술공급을 다짐하였다.
또한, “스토블리사의 산업용 로봇의 장점을 극대화 하여 고객에게 어필하도록 내년에는 더욱 적극적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또한 덴겐사의 서보건도 새로운 기술로 많은 시장성을 가질 것이라 기대합니다.”라고 말하며, 신기술과 신제품을 위한 도전을 이어갈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우량기업으로 인정받으며 대외 신뢰도 높여
로보아트는 우량기술기업으로 기술을 인정받고, 벤처기업에서 기술혁신 중소기업으로 성장하며 해외로도 고객사를 통해 조금씩 진출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특허, 인증을 통해 대외적으로 인정받는 한 해였다고 기억되는데 로봇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을 통해 국내 기술력을 실현하고 있는 것이다.
멈추지 않는 투자를 통해 전년보다 한층 성숙해지고 있는 로보아트.
내년 목표도 역시 고객만족과 기술력 인정을 통한 경쟁력 강화이다.
(주)로보아트
www.robot-system.com
TEL. 052)288-7199
FAX. 052)288-7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