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자치구, 비리 취약분야 합동감사 서울시-자치구, 비리 취약분야 합동감사 NewsWire 기자 2014-01-22 11:27:36
(발표지=뉴스와이어) 서울시와 자치구가 2014. 1. 21(화) 11시, 서울시 신청사 6층에서 출범식을 갖고 ‘서울특별시 시·구 감사협의회’를 출범시켰다.

감사협의회는 서울시 감사관을 대표(간사 : 도봉구 감사담당관 외1)로 하고 25개 자치구 자체감사기구의 장을 회원으로 구성되었다.

시·구 감사협의회 출범을 계기로 그동안 자치구의 자체감사에만 의존하기엔 한계가 있었던 취약분야를 합동 점검하여 감사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각 기관의 감사담당자 공동 연수프로그램 운영, 감사 우수사례 공유 및 공동 워크숍을 실시하는 등 자체 감사기구 직원들의 전문성과 역량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서울시와 자치구의 자체감사는 각각의 소관시설·사무에 대해서 제각기 이루어져 왔지만 앞으로는 시설안전, 복지분야 등 시민 생활과 밀접히 관련된 분야에 대해서는 감사 협업을 하게 된다.

예컨대 자치구 고유 사무인 어린이집 지원 등 각종 보조금 사업의 경우 자치구에 감사 권한이 있지만 현장의 저항과 인력의 한계 등으로 부당수령 등 비리가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시와 자치구는 ‘시·구 감사협의회’를 통해 각 기관의 감사방향과 전략을 공유하고 비리 취약분야의 공동 의제를 발굴하는 한편,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감사분야에서의 공동협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서울특별시 시·구 감사협의회’는 지난해 연말 개최된 서울시-자치구 감사관계관 워크숍에서 시정의 주요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감사분야의 공동협력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추진됐다.

첫 번째 공동 협력 사업은 지하철역사와 복지시설 총 6,221개를 중심으로 한 ‘다중이용시설의 안전관리 실태 합동점검’이다.

다중이용시설은 화재 등 재난사고 발생 시 대형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안전관리실태 전반을 점검해 재난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성을 높이자는데 인식을 같이 하기로 따른 것이다.

특히 이용자수가 많은 지하철 역사와 최근 화재가 발생한 곳, 복지 시설 등 특정 관리대상시설물과 노후 건축물을 우선 선정했으며 서울시와 자치구 감사요원들로 구성된 61명의 합동감사반이 서울시 전역을 4~5개 권역으로 나누어 2월 중순 13일간(2.12~2.28) 합동감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올해 하반기에는 보조금, 민간위탁사업 등 시민·지역사회의 복지와 밀착돼 있는 분야 중 시민들의 신뢰도가 낮은 분야에 대한 합동 감사도 검토할 계획이다.

송병춘 서울시 감사관은 “감사 분야의 시-구 간 행정칸막이를 없애고 유기적으로 협력해 서울시 전 기관의 감사효율성을 높이고 부패근절의지를 확고히 해 나가겠다”며 “특히 올해부터 사전 예방적 일상감사를 본격화한데 이어 시·구 감사협의회 출범으로 비리 취약분야나 사각지대에 대한 대응력을 높여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소개
서울특별시청은 국제적인 도시이자 한국의 수도인 서울의 1천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이다. 서울시청은 2011년 10월부터 시민운동가 출신인 박원순 시장이 시정을 맡아 운영하고 있다. 박원순 시장이 공약한 프로젝트는 집 걱정 없는 희망둥지 프로젝트, 밥과 등록금 걱정없는 배움터 프로젝트, 창조적이고 지속가능한 좋은 일자리 만들기, 전시성 토건사업 재검토와 지속가능한 생태도시, 기본이 바로선 도시와 안전한 도시시스템, 부채감축과 재정혁신을 통한 균형살림, 창조성과 상상력으로 서울경제 점프업, 소통 협력 참여 혁신으로 열린시정 2.0, 여성과 가족복지 등 여성 희망 프로젝트, 더불어 행복한 복지 우산 프로젝트이다.

출처: 서울특별시청
홈페이지: www.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