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지=뉴스와이어) 전라남도는 올해 자연재해에 대비하기 위해 농작물재해보험료 600억 원(국비 50%·지방비 30%·자담 20%)을 지원한다고 20일 밝혔다.
농작물재해보험은 농업인들이 자연재해에 안심하고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안전망임에도 보험료가 부담이 돼 가입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국비 지원 50% 외에도 시군과 함께 추가로 30%를 지원해 농가는 20%만 내고 가입토록 함으로써 농가 부담을 크게 덜어 주고 있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낮은 부담 규모다.
보험료는 품목별, 지역별, 개인별로 가입 단가가 모두 다르다. 벼의 경우 1ha당 약 40만 원정도로 정부가 20만 원(50%), 도와 시군에서 12만 원(30%)을 지원하고, 농업인은 8만 원(20%)만 내고 가입할 수 있다.
보험 가입 품목도 지난해까지는 과수, 벼, 고구마 등 40개 품목이었으나, 전남도가 적극 건의한 결과 올해는 시설가지, 시설배추, 시설파가 추가돼 총 43개 품목으로 확대됐다. 내년에는 시설무, 시설백합과 시설카네이션 3개 품목 등 2017년까지 전남의 특화품목인 무화과, 석류 등을 포함한 총 53개 품목으로 확대 지원된다.
품목별 가입 시기는 2월 과수(사과·배·단감·떫은감)부터 4월 벼, 밤, 대추, 5~6월 고구마, 옥수수, 콩 등으로 농업인들은 이 시기에 가까운 지역농협이나 품목농협에서 자유롭게 가입할 수 있다.
농업인들은 피해 발생 시 조사 방법, 피해율 산정 등에 대한 오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보험 가입 시 농협 담당직원에게 보험계약 및 보상에 관한 약관 등을 정확히 확인하고 가입해야 한다.
위삼섭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지난해 태풍 등 자연재해가 없이 농사가 풍년을 이뤄 농업인들이 자칫 재해의 위험성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보험료를 손실비용으로 보고 아까워 가입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며 “보험은 태풍 등 예상치 못할 재해에 사전 대비하는 것이므로 농사의 안전망인 농작물 재해보험에 반드시 가입해줄 것”을 당부했다.
전라남도청 소개
전라남도청은 200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04년 당선된 박준영 도시자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풍요로운 녹색 전남 지킴이 박준영 도지사는 다음과 같은 8대 공약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공약은 200만 도민시대 토대 마련, 친환경 농·수·축산업 및 3농(농업, 농촌, 농민)정책 확대, 동북아 해양·레저 관광 허브 구축, 3대 국제행사 성공 개최, 녹색산업 및 미래 첨단산업 육성, 생태 환경의 가치 보존 및 개발, 도내 1시간대 교통망 구축, 교육·의료·복지환경 개선이다.
출처: 전라남도청
홈페이지: www.jeonnam.go.kr
전남도, 올해 농작물 재해보험료 600억 원 지원
전남도, 올해 농작물 재해보험료 600억 원 지원
NewsWire 기자
2014-01-22 11:23:39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