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9만ha 목표
(발표지=뉴스와이어) 전라남도는 무제초제 농업 실현을 위해 2014년 새끼우렁이농법을 일부 산간지와 조기 재배지역, 직파답 등을 제외하고 벼 재배면적 17만㏊의 53%에 달하는 9만㏊로 크게 확대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이는 2015년 말 저농약 인증이 전면 폐지됨에 따라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농사를 지음으로써 유기농 인증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것이다.
벼농사 새끼우렁이농법은 지난 2009년 전남도농업기술원에서 ‘잡초 방제 효과와 벼 피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시험검증’을 통해 피, 물달개비, 외풀류 등 일반 제초제에 내성을 갖고 있는 슈퍼잡초까지 99% 이상 제초 방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됐다.
써레질 직후 10a당 1.2kg(1천200마리)를 논에 넣어 주면 99% 이상 제초효과가 있어 노동력 절감, 일반 제초제 대비 비용 절감 등 1석 3조의 효과가 있어 우렁이가 친환경농업 머슴 중 상머슴으로 통한다.
전남도는 새끼우렁이농법 확대를 위해 농업기술원과 협의해 지난달 시군 전담지도사 42명을 대상으로 교관반 교육을 실시했으며 이 교관요원들을주축으로 2014년 1~2월 농업인을 대상으로 실천 요령교육을 집중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새끼우렁이농법 실천을 원하는 농업인들은 농지가 소재한 읍면동사무소에 영농기 이전에 신청 하면 영농기에 맞춰 마을 및 들녘별로 전액 무상으로 일괄 공급해준다. 농가에서는 적기에 살포만 하면 된다.
전남에서는 올해 도내 22개 시군 8만㏊에서 새끼우렁이농법을 실천해 일반 제초제에 비해 40~50% 제초 비용을 절감하는 성과를 거뒀다.
전종화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새끼우렁이농법은 친환경농업단지에서 실천해 벼농사 제초효과와 생산비 절감에 큰 성과가 있었다”며 “앞으로 새끼우렁이농법 실천이 가능한 전 면적으로 확대해 무제초제 농업을 실천함으로써 생태환경 보전을 물론 생산비를 절감하고 전남쌀 이미지도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전라남도청 소개
전라남도청은 200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04년 당선된 박준영 도시자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풍요로운 녹색 전남 지킴이 박준영 도지사는 다음과 같은 8대 공약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공약은 200만 도민시대 토대 마련, 친환경 농·수·축산업 및 3농(농업, 농촌, 농민)정책 확대, 동북아 해양·레저 관광 허브 구축, 3대 국제행사 성공 개최, 녹색산업 및 미래 첨단산업 육성, 생태 환경의 가치 보존 및 개발, 도내 1시간대 교통망 구축, 교육·의료·복지환경 개선이다.
출처: 전라남도청
홈페이지: www.jeonnam.go.kr
전남도, 벼농사 상머슴 새끼우렁이 농법 확대
전남도, 벼농사 상머슴 새끼우렁이 농법 확대
NewsWire 기자
2013-12-26 10:26:04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