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 Semiconductor Co. 다변형 LED의 결합구조체 특허출원 LED Semiconductor Co. 다변형 LED의 결합구조체 특허출원 김안나 기자 2012-12-21 00:00:00

전기 에너지 특허 정보

 

 

LED Semiconductor Co.

다변형 LED의 결합구조체 특허출원   

 

OLED 조명 발광재료 핵심특허분석 

OLED는 청색, 적색, 녹색 등의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한 기술 위주로 발전되어 왔으나 백색 OLED(이하 WOLED)의 다양한 가능성으로 인하여 1980년 말부터 꾸준히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최근에는 20~30lm/W의 WOLED 소자를 발표하여 LED와 더불어 차세대 조명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OLED 조명은 LED와 마찬가지로 환경적으로 수은 등의 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고효율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조명보다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조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면광원이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 넓은 적용범위(투명조명, Flexible 조명)이 가능하여 시장 잠재성이 높다고 전망되고 있다.

OLED 조명은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빛을 비추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수 mm~수십 크기의 광원을 배열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주로 백색이 사용되며 OLED 디스플레이(AMOLED)와 달리 TFT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OLED 조명은 연색지수(CRI, Color Rendering Index), 대면적 발광, 전체전력효율 등의 특징적 요소가 있다. 특히 색상의 구현 능력을 나타내는 연색지수는 효율 및 수명과 더불어 OLED 조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명용 발광재료에는 디스플레이용 발광재료와는 다른 특성이 요구된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상기 OLED 조명의 특징적 요소 구현과 관련하여 핵심기술 중의 하나인 발광재료에 관한 특허 조사 분석을 하였다.

2012년 7월까지 발행된 한국, 미국, 일본, 유럽의 공개 및 등록특허를 대상으로 1,707건의 유효특허를 선별하여 정량분석을 하였으며 또한, 미국특허 372건을 대상으로 국가별 주요 출원인 특허 중에서 65건의 핵심특허를 선별하여 심층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OLED 조명 발광재료 분야의 특허출원 동향과 관련 핵심특허를 살펴보는 데 좋은 지침서가 되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자료: SNS리서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