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7.27(금)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확대, 재가서비스 확대 등이 포함된 ‘제2차 국가 치매관리 종합계획(’13~’15)’을 확정·발표하였다.
2012년 치매환자는 53만명으로 2008년(42만명)에 비해 26.8%나 증가하였고 2025년에는 100만명이 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치매로 인한 연간 총 진료비는 8,100억원(’10), 1인당 진료비는 연간 310만원*으로 5대 만성질환 중 가장 높고, ‘국가 총 치매비용’은 연간 8조7천억원으로 10년마다 두배씩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20 18.9조원 → ’30 38.9조원)
* 1인당 진료비 : 뇌혈관(204만원), 심혈관(132만원), 당뇨(59만원), 고혈압(43만원), 관절염(40만원)
* 치매의 사회적 비용은 암, 심장질환, 뇌졸중 세가지 질병을 모두 합한 비용을 초과
이와 같은 치매환자 급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 치매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 향상 및 노년에 대한 불안감 해소를 위하여 ‘국가 치매관리 종합계획’을 마련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제2차 국가 치매관리 종합계획’은 조기발견 및 예방강화, 치매 중증도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치료·보호 강화, 효과적 치료·관리를 위한 인프라 확충, 가족지원 및 사회적 소통 확대를 추진과제로 담고 있다.
보건복지부, ‘국가치매관리 종합계획’ 발표
보건복지부, ‘국가치매관리 종합계획’ 발표
정대상 기자
2012-07-30 00:00:00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