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기초·원전 R&D 사업에서 창출된 우수한 연구성과가 산업계에 이전돼 사업화 및 일자리 창출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사업화 공공기관이다.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에서 작성·지원한 본 기술 소개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살펴보고, 더불어 기술이전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기술개요
인쇄전자 기술은 인쇄가 가능한 기능성 소재로 저가격의 프린팅 공정을 통해 다양한 전자소자를 제작하는 기술이다. 저가로 대면적에 플렉서블한 기판에도 제조가 가능해 RFID 태그, 센서, 디스플레이, 전지등 다양한 산업군에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유연한 플리스틱/종이 기판등에 다양한 플렉서블 전자소자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저온공정이 가능한 잉크 및 페이스트 소재 산업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본 기술은 저온공정이 가능한 저온 소결 금속 잉크 및 페이스트 기술이다. 기존 소재 기술 대비 공정온도를 낮추면서도 저가로 제조가 가능한 금속 잉크 기술로 적용이 가능한 분야로 금속 페이스트에 바로 적용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기술개발 현황
개발된 기술은 ▲니켈스탬프 제작용 고분자 복제물 제작 방법 ▲용액공정을 통한 전도성 박막 제작 ▲도금을 통한 니켈 스탬프 제작 기술 등이다.
현재 제조되는 니켈 스탬프의 경우, 진공 증착 공정이 필요해 공정 시간이 길고, 이에 따라 높은 제조비용을 가지며, 제품 크기에 제한이 있고, 롤투롤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저온 소결 금속 잉크 및 페이스트를 이용한 본 기술의 경우 나노잉크 코팅기술을 이용해 제작하는 니켈 스탬프 제조 기술로서 진공 공정 없이 용액공정을 통해 대면적에 저가로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다.
기술의 우수성(특장점)
저온 소결 금속 잉크 및 페이스트 기술의 특장점으로 공정온도 저감, 공정시간 단축, 단가 절감 등이 있다. 전도성 금속 페이스트의 경우 간단한 공정 및 저온/상온 공정이 가능하다.
본 기술은 종래 페이스트의 문제점을 해결해 저온소결/고전도성 금속 잉크 및 페이스트를 저가격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다. 나노 소재 간 커플링을 통해 전기적 물성 조절이 가능하며 다양한 소재에 적용이 가능하다.
기술 적용(활용) 가능 분야
기존 고가의 저온용 잉크 및 페이스트 시장을 대체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해 고가의 스탬프를 사용한 나노이다프린팅 시장을 대체가 가능하고 플렉서블 RFID에도 사용될 수 있다.
관련 지식재산권 현황
|
* 기술보유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기술 및 기술이전 문의처 :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오준배 선임연구원
(jboh@compa.re.kr/02-736-2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