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전기기술 용어>
■ 암류
기체가 절연 파괴를 일으키기 전에 흐르는, 발광을 수반하지 않는 극히 작은 전류.
■ 암페어의 오른나사 법칙
전류가 흐르고 있는 방향과 그때 생기는 자계의 방향과의 관계는, 오른나사를 회전시킨 경우, 나사의 진행 방향을 전류의 방향으로 하면 나사의 회전 방향이 자계의 방향이다.
■ 압력 수두
유체(물)가 지닌 압력에너지를 말한다. 현재의 압력을 p, 물의 단위 체적중량을 r이라고 하면, 압력 수두(h=p/r)의 관계가 있으며, 길이의 단위로 표시된다. p: 유체의 압력(kgf/㎠) r: 유체의 단위 체적당 중량(kgf/m3)이다.
■ 압전효과
반도체 결정에 전압을 가하여 전기 분극시키면, 그 결정은 일그러짐이 생기고, 역으로 압력을 가하여 결정을 일그러지게 하면, 전기 분극이 생겨 전압을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압전효과라고 한다.
■ 애자
가공 송배전 선로나 통신선로에서 전압이 걸려있는 전선을 절연시켜 지지물에 취부하기 위하여 애자(Insulator)를 사용한다. 가공 선로용 애자는 가혹한 기상조건에도 충분히 견디어야 하며 전기적 기계적 특성을 확보하여야 하고 상당 기간 동안에도 특성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는 내구성도 지녀야 한다. 애자의 종류는 재질에 따라 자기애자(Porcelain Insulator), 유리애자(Glass Insulator), 고분자애자(Polymer Insulator)로 나뉘며 형상에 따라 지지애자 (Post Insulator), 장간애자 (Long Rod Insulator), 내무애자(Smog-Type Insulator), 핀애자(Pin Insulator), 현수애자(Suspension Insulator)로 대략 나뉜다.
■ 앰플리다인
약간의 전력 변화를 큰 전력 변화로 증폭하는 발전기.
■ 양수발전소
발전소의 아래와 위에 저수지(하부, 상부저수지)를 만들어 놓고, 심야(深夜) 또는 풍수기(豊水期)의 잉여전력(剩餘電力)으로 펌프를 가동하여 하부 저수지 물을 상부 저수지에 퍼올려 저장해 두었다가 주간(晝間)이나 갈수기의 전력수요가 많을 때 방수(放水)하여 발전하는 발전소를 말한다.
■ 양정
펌프로 액체를 끌어 올릴 수 있는 높이를 말한다. 액체를 흡입하는 수면으로부터 토출(吐出)하는 수면까지의 수직거리가 실양정(實揚程)이며, 두 수면에 가해지는 압력과 배관의 저항 손실을 고려하여 실양정에 가산한 것을 전양정(全揚程)이라 한다.
■ 어드미턴스
전류의 흐르기 쉬운 정도. 임피던스의 역수를 어드미턴스라 하며 통상 Y의 기호를 쓰고 Mho의 단위로 표시한다.
■ 에너지제약
석탄, 가스 등 발전기 연료가 유한하여 지속적으로 운전이 불가능한 발전기는 입찰 시 에너지 제약량을 입찰해야 하는데 이를 에너지 제약이라 한다. 실제 발전한 연료는 1시간 분량만 있으나, 제약량을 거래소에 제출하지 않는 경우 전력시장 운영자인 거래소는 연료가 무한한 것처럼 급전지시를 하게 되고, 시장참여자는 거래소의 급전지시를 이행하는 못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너지 제약이 있는 발전기는 반드시 에너지 제약량을 입찰 시 신고해야 한다. 또한 부하측면(양수)에서 보면, 양수발전소 상부저수지의 여유 용량이 1시간 펌핑용량인 경우, 입찰 시 1시간에 해당하는 에너지 제약량을 제출하여야 한다. 만약 제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저수지가 넘치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는 급전지시를 할 수 있다. 변동비반영발전시장에서 에너지 제약량을 제출하는 발전기는 국내탄, 양수 및 수력 발전기이다. 도매전력시장에서는 입찰가격 조정을 통해 시장참여자가 연료량을 조절할 수 있지만, 선행급전계획 등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에너지 제약량을 제출해야 한다.
■ 여자기
주 발전기 또는 주 전동기의 여자 전류를 공급하는 직류발전기.
■ 역기전력
전기기기나 회로에서 인가된 전압의 역방향으로 생기는 기전력을 말한다. 변압기, 직류 또는 교류전동기처럼 인덕턴스를 가진 회로에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면 전압을 거는 순간 급격히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패러데이의 전자기유도법칙에 따라 전류 변화의 크기에 비례하는 기전력이 인가된 전압의 역방향으로 생긴다. 이것을 역기전력이라 한다. 또한 전지, 전기분해, 도금 등에서도 전해질에 전류를 통하면 원 전류와 반대방향의 기전력이 생성되는데 이때의 기전력도 역기전력이다.
■ 역률
직류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구하나, 리액턴스 성분을 포함한 교류 전류 전력을 구하는 경우에는, 실효전압 V와 실효 전류 I의 곱에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 φ의 여현(cosφ)의 곱으로 구성한다. 이 cosφ를 역률이라고 한다.
■ 역섬락
송전선의 가공지선(Ground Wire)이 뇌격을 받거나 또는 철탑에서 전격을 받을 경우, 뇌 전류는 가공지선 위를 뇌격점의 좌우로 2분하여 근접 철탑에 도달한다. 철탑에서는 일부는 철탑을 통하여 대지로 흐르고, 나머지는 다음 경간으로 가공지선 위를 전파한다. 이때 가공지선의 전위는 그 서어지 임피던스와 가공지선을 흐르는 전류와의 곱에 상당하는 값으로 된다. 가공지선의 전위와 이 전위로 인하여 송전선에 유도되는 전위와의 차에 상당하는 전압이 가공지선(또는 철탑)과 송전선과의 사이를 섬락할 만한 값으로 되면 여기에 섬락이 일어나는데 이것을 역섬락이라 한다.
■ 연가
3상 송전선의 전선배치는 대부분 비대칭이고 또 선로긍장에 따라 지형이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각 상의 선로정수에 불평형이 발생하여, 중성점이 영전위가 되지않고 어떠한 교번전위, 즉 잔류전압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