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건강보험 빅데이터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방광염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가 꾸준히 증가해 2010년 143만 명에서 2015년 160만 명으로 5년 간 17만 명이 증가(11.6↑)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진료인원을 비교해보면 남성은 2010년 9만 1천 명에서 2015년 9만 4천명으로 5년 간 3천 명 증가했으며 여성은 2010년 133만 9천명에서 2015년 150만 2천명으로 16만 3천명이 증가했다.
연도별 성별 방광염 진료실인원 현황
(단위 : 천명, %, 배)
구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증가율('10년 대비 '15년) |
전체 | 1,431 | 1,456 | 1,528 | 1,535 | 1,566 | 1,597 | 11.6 |
남성(A) | 91 | 92 | 93 | 91 | 94 | 94 | 3.1 |
여성(B) | 1,339 | 1,365 | 1,435 | 1,444 | 1,472 | 1,502 | 12.2 |
B/A | 14.6 | 14.9 | 15.5 | 15.8 | 15.7 | 15.9 |
|
2015년 연령대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50대(34만 8천명, 21.8%)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40대(32만 1천 명, 20.1%), 30대(24만 2천 명, 15.1%)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은 50대(33만 4천명, 22.2%)가 가장 많았으며, 40대(30만 9천명, 20.6%), 30대(23만 1천명, 15.4%)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9세 이하를 제외하고 50대(1만 3천명, 14.3%)가 가장 많았고, 40대(1만 2천명, 12.9%), 60대(1만 2천명, 12.8%) 순으로 여성과 마찬가지로 중년층(40~50대)에서 많은 진료를 받았다.
2015년 인구 10만 명당 연령별 성별 방광염 진료실 인원 현황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기과 이석영 교수는 50대 여성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보통 폐경 이후 인 50대 이후 방광염의 발병이 증가하는데 이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감소가 원인으로 작용한다”면서 “에스트로겐은 질내 정상균종인 락토바실라이(젖산균) 증식과 밀접한데 폐경이후 에스트로겐 분비감소로 인해 젖산균의 증식이 억제되어 병원성 대장균의 과증식을 막지 못해 방광염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게 되며, 또한 폐경 이후 요실금과 같은 배뇨장애도 호발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축축한 음부 환경이 피부감염을 통한 방광염의 빈도가 증가 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방광염의 원인, 치료법 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방광염의 원인
비뇨기계통에 구조적, 기능적 이상 없이 발생하는 단순 급성방광염 형태는 주로 병원성 대장균이 원인이 되며, 여성에게서 방광염이 잘 생기는 이유는 해부학적으로 요도가 남성에 비해 짧고 회음부나 질 입구에 균집락의 형성이 용이해서 상행성으로 방광에 염증이 잘 생기게 된다.
방광염의 치료법
단순 방광염의 50% 정도에서는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치유 되기도 한다. 그러나 방광염 증상이 반복되고 악화가 될 경우는 상부요로감염으로 인한 치명적인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항생제를 포함한 약물치료가 필요하며, 단순 방광염일 경우는 3~5일 정도의 약물치료로 부작용 없이 소실된다.
방광염의 예방 및 관리요령
방광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면과 과도한 스트레스 등을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요실금과 같은 폐경 후 쉽게 볼 수 있는 배뇨장애를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도 방광염의 재발을 억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