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주 ‘도시형 첨단 과학기술벨트’ 구축 대구-광주 ‘도시형 첨단 과학기술벨트’ 구축 정요희 기자 2009-10-13 00:00:00
대구시와 광주시는 공동으로 새 정부의 대외개방형 초광역개발권 계획에 따라 내륙특화벨트 공동 구상안을 구체화하기 위한 토론회를 10월 13일(화) 오후 2시 대구경북연구원 회의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2개 시 기획관리실장, 교수·전문가, 시, 기초 자치단체 공무원 등이 참석하여‘대구-광주 도시형 첨단과학기술벨트’구축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정부는 글로벌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외개방형 4대 초광역개발권 계획 발표(‘08.12.15)와, 내륙 초광역개발권 가이드라인 제시(’09.8.31)에 따라 시에서는 내륙특화벨트로‘대구-광주 도시형 첨단과학기술벨트’를 추진하고 있다.

추진경과

’09. 9. 8일 2개 시 담당자 회의를 통하여 공동추진 TFT(10명)를 구성하고, 대경발전연구원과 전북발전연구원을 중심으로 워크숍(2회)개최와 업무협의(4회)를 통하여‘대구-광주 도시형 첨단과학기술벨트’공동구상안을 준비해왔다.

내륙벨트의 공간적 범위로는
○ 1차 범위(2개 광역시 17개의 구군시)
- 대구~광주의 2개 광역도시(Metropolitan) 연계
- 대구·광주의 구군 단위 연계
· 대구광역시(7구, 1군) : 중구, 동구, 서구, 남구, 북구, 수성구, 달서구, 달성군
· 광주광역시(5구) : 동구, 서구, 남구, 북구, 광산구
· 대구~광주 간 4개 중소도시 연결 : 고령군, 거창군, 남원시, 순창군

○ 2차 범위(대경 및 호남광역경제권, 2009-2011)
- 대경광역경제권 : 구미시, 포항시, 경산시, 영천시, 경주시, 안동시 등
- 호남광역경제권 : 전주시, 나주시, 순천시, 목포시, 군산시, 부안군 등

○ 3차 범위
- 남부권 초광역벨트와 연계한 ‘마이크로 □자형’벨트 구축
· 동해안에너지관광벨트, 서해안산업벨트, 남해안선벨트를 연결하는 남해안 축 형성

내륙도시 도시형 첨단과학기술벨트의 내용
○ R&D 특구 협력을 통한 상생발전으로
- 대구·광주의 연구개발(R&D)특구 협력을 통한 기초과학 연구 활성화
· 대구 : 뇌융합연구, 광주 : 광산업 연구개발
○ 에너지산업 발전 연계 기반 구축
- 대구 : IT융합 그린에너지 R&D 및 실증체계 구축
- 광주 : 광산업, LED, 재생에너지부품소재
○ 첨단의료산업벨트 구축
- 대구 : 첨단의료복합단지를 활용한 의료산업인프라 구축
- 광주 : 노인의료서비스, 바이오메디칼 특화

고속도로 및 내륙 철도 등 광역인프라 정비
○ 대구~광주를 연결하는 편도1차로인 88고속도로를 조기 확장하여 거점도시 간 협력 기반 확보가 시급하며, 대구~광주 간 내륙철도 구축
○ 내륙철도 개통을 통해 영남내륙지역 및 호남서부지역의 철도이용의 편의를 제공하고, 동서간 인적/물적 교류가 촉진되며, 남부내륙권 관광자원개발로 국토균형발전 촉진

문화산업도 연계
○ 대구 공연문화, 광주 예술문화 강점을 활용하여 대구는 뮤지컬과 공연문화 중심, 광주는 전통문화축제의 강점을 활용하고 서로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