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alance W」 제품 포트폴리오 무선 네트워크 기술 ‘리더’ 증명 「Scalance W」 제품 포트폴리오 무선 네트워크 기술 ‘리더’ 증명 박기태 기자 2008-06-18 00:00:00

「Scalance W」 모듈, 산업용 무선랜 시장에서 Worldwide Market share 1위, 한국시장에서도 30%의 신장률 보여


▶지멘스

 

지난 1985년부터 이더넷을 자동화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던 지멘스는 여러 가지 이더넷 솔루션 중 무선을 이용한 무선랜 (Wireless Lan 이하 WLAN) 솔루션을 제공하는 제품군을 공급하고 있다. 지멘스는 이 제품군의 이름을 Scalance(Scalable Performance)라고 부르고 있으며, 무선제품군의 이름은 「Scalance W」이다.


산업용 네트워크 분야를 리드하고 있는 업체 가운데 하나인 지멘스의 행보는 무선제품 라인업에서도 타 글로벌 자동화 기업들과 차별화된 우월성을 보여주고 있다.


「Scalance W」 제품군은 크게 AP와 Client module로 구분이 되며, IP 등급 및 주사용 목적에 따라 일반 모듈과 PRO 모듈, 그리고 AP는 788, 786, 784 시리즈로, Client 모듈은 744, 746 시리즈로 구분이 된다. PROFIBUS DP와 Ethernet을 바로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IWLAN Link Module 역시 공급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과 함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 제품군 및 Power supply 등의 Accessory까지 제공하고 있으며, WLAN을 설치하기 전 Simulation을 통해 최적의 WLAN 네트워크의 구성을 가능하게 해줄 뿐 아니라 WLAN에서 문제 발생시 문제 원인을 분석 할 수 있는 Engineering Software인 SINEMA E까지 포트폴리오로 구성하고 있다.


자동화 산업으로 출발한 업체답게 지멘스는 자동화 엔지니어의 측면에 기반한 여러 가지 기술을 제공하고 있는데, 우선 물리적인 디자인 부분에서는 IP30에서 IP67 등급까지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어, 사용자는 사용 환경에 따라 모듈을 선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의 신뢰성을 구축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기술이 사용되는데, 그 중에서도 Reserved Bandwidth를 사용해 WLAN상 노드들과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을 구현 하도록 하며, 하나의 모듈에서 2중화 네트워크(2.4 GHz와 5GHz)를 구성하여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에 문제가 생길 경우 즉시 절체하여 사용하는 기술 역시 제공 하고 있다.


보안 솔루션에도 IEEE 표준에 부합한 최신의 보안 솔루션이 내장되어 있어, TKIP, Radius Server 등의 기술이 지원된다. 사용자는 Wizard 기능을 통해서 이러한 기능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도 특징. 따라서 기존의 네트워크를 위한 별도의 엔지니어링 Loss 없이 자동화 엔지니어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것이 지멘스 측의 설명이다. 또한 빠른 Roaming과 신뢰성이 강조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RCOAX cable 사용 및 Rapid Roaming과 iPCF (Industrial PCF) 기능을 제공 하고 있다.


Scalance 제품군은 이미 지멘스 네트워크 솔루션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해마다 빠른 속도로 Volume이 신장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iemens Worldwide로는 지난 2005/06 회기 대비, 2006/07년도에는 60%대의 신장을 이루었으며, 한국 시장에서도  같은 시기에 30% 이상의 신장률을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자동차 AGV Line 및 철강공정의 Overhead Rail System 등의 분야에서 Siemens의 컨트롤러와 「Scalance W」를 이용한 많은 사례 보유하고 있어”


기존 필드버스 시스템에서 적용됐던 Fail Safe 시스템이 WLAN을 통해 무선 이더넷 네트워크 망에서도 구현

 

▶기존 유선 네트워크에 비해 무선LAN이 효과적인 어플리케이션은 어디인가.


산업용 어플리케이션에서 무선LAN은 기존의 유선으로는 어려웠던 이동기기 혹은 움직이는 기기의 연결, Slip ring 등을 사용 하였을 때 EMC 등으로 통신의 신뢰도가 보장 받지 못하는 경우, 옥외 사용 및 건물과 건물의 연결 등 유선 Wiring이 힘들었던 환경이나 산업분야에서 유선 네트워크에 비해 보다 나은 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다.  

 

▶현재 무선 네트워크가 추세라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산업용 무선LAN의 수요전망은 어떻게 하나.


2005년도부터 급속하게 성장한 산업용 무선랜 (Industrial WLAN, 이하 IWLAN)은 2010년까지 매년 26%씩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005년 325.7 밀리언 달러의 규모를 보였던 산업용 무선랜  시장은 2010년 1,035.7 밀리언 달러의 규모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국내 시장의 경우 역시 이와 비슷한 형태로 WLAN 산업이 발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calanc W」는 어떤 어플리케이션에 주로 적용되나. 또 국내에 적용된 사례로는 어떤 것이 있나.


사용자는 「Scalance W」를 많은 부분에 적용 할 수 있다. 단지 지멘스 전용의 네트워크 뿐 아니라 AB, Mitsubishi와 같은 메이커의 자동화기기 혹은 지하철, 버스 등 공공 부분의 정보시스템에 이르기까지 그 사용 범위가 다양 하다.


AGV, Monorail, Crane 등이 아주 쉽게 볼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예이며, 자동 창고, 물류 시스템, 자동차 차체 공정, 조립 라인, 철강의 대차 시스템, 버스, 열차의 정보 관리 시스템 등 많은 부분에 적용이 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자동차 AGV Line, 철강 공정의 Overhead Rail System, Crane의 무선통신 등의 분야에서 지멘스의 컨트롤러와 「Scalance W」를 이용한 많은 예가 있으며, 특히나 PROFINET을 이용한 시스템 구축 시 에 적용이 된다. 또한, 모 자동차 회사에 Mitsubishi 컨트롤러와 지멘스 「Scalance W」를 이용한 시스템이 적용되었으며, 최근 실적으로는 AB 시스템과의 통합 시스템 구성의 예를 보유하고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신뢰성이나 보안문제가 확산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 부분에 대해 지멘스는 어떻게 해결하고 있나.


지멘스에서는 유선과 필적할 만한 신뢰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Reserved Bandwidth, Redundancy, iPCF와 Rapid Roaming 솔루션을 제공한다. 보안을 위해서도 내장 되어진 보안 솔루션을 이용하여 고 수준의 보안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고, 「Scalance S (Security)」 모듈과 통합 적용하여 Firewall, VPN Channel 등을 만들어 고도의 보안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많은 무선 솔루션 가운데 지멘스의 TIA에서 제공하고 있는 솔루션 범위는 어떻게 되나.


현재 무선 네트워크의 기술에는 많은 솔루션이 존재하고 있다. 이 중에서 지멘스가 WLAN을 적용한 것은 전송할 수 있는 속도가 빠르고, 적용 가능한 거리가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하기 적합한 범위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가장 많이 적용이 되는 네트워크 기술인 이더넷을 이용하며, 여러 가지 부가적인 기능을 같이 사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iemens WAN 통신을 위해서 GSM, GPRS, EDGE 등의 솔루션 역시 SINAUT 시스템에서 지원하고 있으며, 이 SINAUT 시스템은 Siemens TIA Concept 하에서 WLAN 및 LAN과 유연하게 통합되어 사용할 수 있다. 즉, TIA에서는 WLAN과 WAN을 아우르는 무선 솔루션을 제공 하고 있다.

 

▶지멘스 무선 솔루션 기술 가운데 타 업체와 차별화되는 점은 무엇인가.


유선 네트워크망의 경우, 이미 많은 부분에서 발전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제는 Fail safety 등 특수한 부분에서 더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반해 무선 솔루션의 경우 새로운 기술의 차입 및 IT 기술과의 혼합을 통해 보다 빠르게 적용되고 있으며, 기존에 유선으로는 적용하지 못했던 분야에까지 무선이 차용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지멘스의 경우 앞서도 얘기 했듯이, 여러 가지 새로운 IT기술과 산업망에서 필요한 요소를 PROFINET 아니면 IWLAN이라는 이름으로 통합하고 있다. 그 가운데 특히 주목해야 할 사실은 기존 필드버스 시스템에서 적용되었던 Fail Safe 시스템이 WLAN을 통해 무선 이더넷 네트워크망에서도 구현이 된다는 점이다. 지난 3월에 개최됐던 『AIMEX 2008』 기간 동안 많은 Vendor에서 신기술을 발표했지만, WLAN Failsafety를 구현한 업체는 지멘스가 유일하다.

 

▶지멘스가 무선 솔루션으로 향후 확대해 나가고자 하는 시장은 어디인가.


지멘스는 산업 전반에 걸쳐 무선 이더넷 솔루션을 응용한 WLAN 솔루션을 선 보였다. 향후에는 무선 이더넷에 기반한 Fail Safety가 가미된 PROFINET Failsafe Solution과 공공부분에서의 정보 시스템 및 열악한 환경에서의 무선 네트워크와 경전철등과 같은 옥외 환경에서 적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희망한다.


지멘스는 무선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듈 이외에 무선으로 구현 가능한 PROFINET을기반으로 한 자동화 시스템을 소개해 왔다. 현재 자동화 시스템의 대세는 Failsafe와 무선 솔루션, 그리고 Component 기반의 자동화라고 볼 수 있다. 이 중에 고객에게 어떠한 솔루션을 제공해줄 수 있는가 하는 점이 자동화 시스템을 기획하는 엔지니어의 고민거리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