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뉴스를 즐겨찾기에 추가

삼화DSP(주)
Today 인터뷰 산업뉴스 기획특집 기술제품동향 해외산업동향 산업정책동향

Today

  • 뉴스홈
  • Today
국내 배터리 3사, 1분기 전세계 시장점유율 49.0% 국내 배터리 3사, 1분기 전세계 시장점유율 49.0% 국내 배터리 3사가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점유율 49.0%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3사는 올해 1~3월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 순위에서 상위권에 올랐다. LG에너지솔루션은 사용량이 전년 동기 대비 38.8%(18.0GWh) 증가해 1위 자리를 기록했고, SK온은 4.6%(7.0GWh), 삼성SDI는 54.4%(6.5GWh) 성장률을 기록하며 나란히 4위와 5위를 차지했다. 국내 3사의 시장 점유율은 전년 대비 5.0%포인트 하락한 49.0%를 항공/자동차 최교식 기자 2023-05-09 09:58:21
HL만도-AJ대원, AI 자율주행 순찰 로봇 상용화 MOU 체결 HL만도-AJ대원, AI 자율주행 순찰 로봇 상용화 MOU 체결 HA순찰로봇(가칭)이 과천 래미안슈르 아파트 단지를 순찰하고 있다 EV·자율주행 솔루션 전문기업 HL만도와 부동산 관리서비스 전문기업 AJ대원이 ‘AI 자율주행 순찰 로봇 상용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판교 넥스트엠 센터에서 체결된 이번 협약식에는 HL만도 최성호 부사장, AJ대원 김종성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아파트 관리 전문 AI 자율 주행 순찰 로봇(가칭 : HA순찰로봇)’ 사업화를 본격 추진한다. HL만도의 자율주행 기술 로봇 최교식 기자 2023-05-09 09:43:52
[인터뷰] 고객맞춤형 화물용 리프트의 모든 것, 일진운반기계 [인터뷰] 고객맞춤형 화물용 리프트의 모든 것, 일진운반기계 운반기계 제조 전문기업 일진운반기계가 어느덧 창립 10주년을 맞이했다. 현장 맞춤형 운반기계 및 운반 설비 제작·설치 시스템 구축은 물론, 견고한 자체 기술력과 현장 대응 노하우를 보유한 동사는 정부 지원 안전투자혁신사업 동참과 더불어, 현장 맞춤형 설계 및 인증 제공으로 신뢰받는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본지에서는 앞으로 다가올 10년이 더욱 기대되는 일진운반기계를 만나봤다. 일진운반기계 서정호 대표 / 사진.여기에 올해로 10돌 맞은 일진운반기계…“폭넓게 성장하는 기업 될 것” 포장/물류/유통 윤소원 기자 2023-05-09 09:24:21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기업 에이펙스에이아이(Apex.AI) 한국 지사 출범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기업 에이펙스에이아이(Apex.AI) 한국 지사 출범 ApexAI JanBecker CEO 모빌리티 및 자율주행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안전 인증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선도 기업 에이펙스에이아이(Apex.AI)가 한국 시장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전기자동차(EV)와 자율주행차가 자동차의 미래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Apex.AI 는 이러한 차량을 구현하는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으로 일찍부터 주목을 받아왔다. 도요타 벤처스, 볼보 그룹 벤처 캐피털, 재규어 랜드로버의 인모션 벤처스, 에어버스 벤처스, 콘티넨탈, ZF, AGCO, 헬라 벤처스, 다임러 트럭, 그리 IT/통신/IOT 최교식 기자 2023-05-09 09:22:56
[인터뷰] 유럽의 고품격 산업용 기계·설비로 글로벌 시장을 이끌다, 할더룀헬드코리아(주) [인터뷰] 유럽의 고품격 산업용 기계·설비로 글로벌 시장을 이끌다, 할더룀헬드코리아(주) 독일의 할더社와 룀헬드社가 손을 맞잡아 탄생한 할더룀헬드의 한국지사인 할더룀헬드코리아(주)가 유럽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생산한 산업용 기계 및 설비 공급에 박차를 가하면서, 업계에서의 브랜드 이미지를 확고히 다지고 있다. 인체공학적인 제품들을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에 기여함은 물론 생산성과 유연성 향상에도 부응하는 제품을 취급하는 동사는 앞으로도 프리미엄급 애플리케이션 지원에 더욱 활발히 나설 계획이다. 할더룀헬드코리아(주) 도경태 차장 / 사진.여기에 ‘할더’와 ‘룀헬드’의 합작, 할더룀헬 기계 윤소원 기자 2023-05-09 08:46:32
(주)새빛맥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보스턴 다이내믹스 방문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보스턴 다이내믹스 방문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방문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의 동작 시연을 참관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을 수행한 산업통상자원부 이창양 장관이 4월 28일(현지시간) 매사추세츠주에 위치한 현대자동차그룹 첨단 로봇 개발의 핵심 거점 ‘보스턴 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를 방문했다. 이날 방문에는 이창양 장관을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내의 국내 로봇산업 육성을 담당하고 있는 관계자 등이 함께했고, 보스턴 다이내믹스 창업자 겸 ‘로봇 AI 연구소(보스턴 다이 로봇 최교식 기자 2023-05-08 15:57:12
비솔, 중국 지리자동차와 자동차충돌시험장 고속촬영용 LED 조명시스템 공급 계약 비솔, 중국 지리자동차와 자동차충돌시험장 고속촬영용 LED 조명시스템 공급 계약 중국 자동차 회사에 설치된 비솔의 고속촬영용 특수조명 시스템 중국 자동차 연구시험기관에 설치된 비솔의 고속촬영용 특수조명 시스템 테스팅 솔루션 전문기업 비솔(사장 박형오)은 중국 최대 민영 자동차 제조사인 지리자동차(Geely Automobile Holdings Ltd.)와 총 358만달러 규모의 자동차충돌시험장 고속촬영용 LED 조명시스템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앞서 비솔은 올해 초 입찰을 통해 이번 계약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으며, 후속 협상을 거쳐 이번에 최종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지리자동차는 대다수 중국 자동차 기업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3-05-08 15:29:53
현대자동차, ACT 엑스포 2023서 수소 상용 모빌리티 비전 공개 현대자동차, ACT 엑스포 2023서 수소 상용 모빌리티 비전 공개 현대자동차가 ACT 엑스포 2023에서 전시한 수소연료전지 시스템과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트랙터 모델 현대자동차는 현지 시각 1일(월)부터 4일(목)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시에서 열린 북미 최대 청정 운송수단 박람회 ‘ACT엑스포2023(Advanced Clean Transportation Expo 2023)’에 참가해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트랙터(XCIENT Fuel Cell Tractor)’의 양산형 모델을 선보이고 이를 중심으로 한 북미 친환경 상용차 시장 공략 방향을 공유했 에너지/환경 최교식 기자 2023-05-08 12:24:00
전기차 배터리 소재 수요, 2021년~2033년 사이 12배 이상 증가해 시장 규모 2300억 달러 초과 전망 전기차 배터리 소재 수요, 2021년~2033년 사이 12배 이상 증가해 시장 규모 2300억 달러 초과 전망 IDTechEx가 ‘전기 자동차 배터리 셀 및 배터리 팩 소재 2023-2033년’ 리포트를 발행했다. 영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TechEx가 ‘전기 자동차 배터리 셀 및 배터리 팩 소재 2023~2033년’ 리포트를 발행하고 판매를 시작했다.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은 계속해서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매년 셀에 대한 시장 점유율이 바뀌고 있다. 오랫동안 대부분의 업체가 높은 에너지 밀도를 지향해 왔지만 최근에는 비용과 수급 문제가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셀 재료의 동향 외에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23-05-08 12:12:00
HD한국조선해양, HD유럽연구센터 통해 향후 5년간 1500만 유로 투자 HD한국조선해양, HD유럽연구센터 통해 향후 5년간 1500만 유로 투자 HD한국조선해양이 조선·해양 분야 미래기술 선점을 위해 유럽 현지에 R&D 투자 확대에 나선다. HD한국조선해양은 독일 HD유럽연구센터를 중심으로 향후 5년간 1500만 유로(약 22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28일 밝혔다. HD유럽연구센터를 거점으로 삼아 현지 파트너와의 중장기 대형 프로젝트를 적극 발굴 및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HD한국조선해양은 이의 일환으로 4월부터 영국 에든버러 대학과 함께 선박용이산화탄소포집기술(OCCS, Onboard Carbon Capture System) 고도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O 조선/해양 최교식 기자 2023-05-08 11:55:52
두산에너빌리티, 미국 현지서 ‘글로벌 SMR 파운드리’ 입지 다져 두산에너빌리티, 미국 현지서 ‘글로벌 SMR 파운드리’ 입지 다져 두산에너빌리티가 SMR 시장을 이끌고 있는 미국 현지에서 ‘글로벌 SMR 파운드리(Foundry, 생산전문기업)’로서 입지를 확고하게 다졌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 4월 25일(현지시각)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미 첨단산업·청정 에너지 파트너십’ 행사에서 미국 뉴스케일파워, 한국수출입은행 등 SMR 기술 보유 업체, 금융기관과 MOU를 맺고 기술, 금융, 공급망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글로벌 시장 공략 발판을 단단하게 구축했다. 이날 행사에서 두산에너빌리티 박지원 회장은 에너지/환경 최교식 기자 2023-05-08 11:47:55
현대로템, 하나은행과 철도 민간사업 공동 추진 현대로템, 하나은행과 철도 민간사업 공동 추진 현대로템이 하나은행과 함께 철도 사업의 투자 확대를 위한 인프라펀드에 투자한다. 현대로템은 하나은행과 철도와 공항, 도로 등 사회간접자본(SOC)의 건설 및 개발 사업 투자를 위한 인프라펀드 투자계약서에 서명했다고 8일 밝혔다. 현대로템과 하나은행 등 투자자들은 인프라펀드 투자계약서를 체결, 펀드 참여를 확정했으며 운용은 하나대체자산운용에서 맡기로 했다. 이번에 조성된 인프라펀드는 SOC 건설, 수소사업 등 미래 전략사업 및 ESG 사업에 투자하는 펀드로 발생하는 수익은 가입자에게 돌려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펀드 운용방식은 우선 사회 최교식 기자 2023-05-08 11:40:28
FIRST PREV 678910 NEXT LAST
다셀(주)
기획특집 더보기
Special Report/국내 SCADA 시스템 시장동향 Special Report/국내 SCADA 시스템 시장동향
[전문가기고] 페트병 회수기 업체들의 저가 경쟁에 신음하는 페트병 재활용 산업 [전문가기고] 페트병 회수기 업체들의 저가 경쟁에 신음하는 페트병 재활용 산업
국내 SCADA 시스템 시장동향 /(1)오토닉스 국내 SCADA 시스템 시장동향 /(1)오토닉스
[KOPLAS 2023 Review] 플라스틱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키워드, ‘친환경’과 ‘탄소중립’② [KOPLAS 2023 Review] 플라스틱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키워드, ‘친환경’과 ‘탄소중립’②
국내 SCADA 시스템 시장동향 /(6)GE Digital 국내 SCADA 시스템 시장동향 /(6)GE Digital
오토베이스
제품뉴스 더보기
[스페셜리포트] 시바우라기계, 스마트 기술력 총망라한 ‘솔루션페어 2025’ 성료 [스페셜리포트] 시바우라기계, 스마트 기술력 총망라한 ‘솔루션페어 2025’ 성료
남방CNA(주), 산업용 에어로졸 제품군 갖춰 KOPLAS 2023 참가 남방CNA(주), 산업용 에어로졸 제품군 갖춰 KOPLAS 2023 참가
Beckhoff 혁신 기술, 임베디드 PC 개발 20주년과 XTS 개발 10주년 Beckhoff 혁신 기술, 임베디드 PC 개발 20주년과 XTS 개발 10주년
2022년 로봇 분야 연구개발 주요 성과 및 2023년 추진계획 2022년 로봇 분야 연구개발 주요 성과 및 2023년 추진계획
많이 본 뉴스
[인터뷰] 에스비테크, 오일레스 베어링부터 가공품까지 “통합 공급 역량 구축”  [인터뷰] 에스비테크, 오일레스 베어링부터 가공품까지 “통합 공급 역량 구축” 
[인터뷰] 동신테크노,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국산 감속기 미래 연다 [인터뷰] 동신테크노,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국산 감속기 미래 연다
[인터뷰] (주)팩토리 "설비투자로 경쟁력 차별화, 대형 사출 경쟁력 제고" [인터뷰] (주)팩토리 "설비투자로 경쟁력 차별화, 대형 사출 경쟁력 제고"
회사소개 기사제보 고객센터 청소년 보호책임자 : 김영철 개인정보취급방침
여기에뉴스
제호 여기에 등록번호 : 대구북,라00014 발행·편집인 : 김영철 등록일자 : 2003.06.17 사업자번호 : 504-81-26194 대표이사 : 김영철
  • 대구시 북구 침산남로 80 침산태왕리더스 상가동 3층 전화 : 053-354-0889 팩스 : 053-356-0889
  • 서울시 금천구 벚꽃로 286 리더스타워 710호 전화 : 02-2026-6900 팩스 : 02-2026-6889
Copyright (c) 한국종합기술 Co., Ltd. All rights reserved. 산업뉴스의 사전동의 없이 뉴스 및 컨텐츠를 무단 사용할 경우 저작권법과 관련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