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인 안전에 대한 규제강화 및 Functional Safety 요구가 더 많은 Safety System 수요창출로 전 세계적인 안전에 대한 규제강화 및 Functional Safety 요구가 더 많은 Safety System 수요창출로 관리자 기자 2007-12-31 00:00:00

“전 세계적인 안전에 대한 규제강화 및 Functional Safety 요구가 더 많은 Safety System 수요창출로 이어질 것”
지난 11월 1일, 공정제어 업체인 인벤시스가 서울 르네상스 호텔에서 「IPS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이 회사의 향후의 사업방향은 물론 프로세스 산업을 둘러싼 환경변화 및 이와 관련한 대응방안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내용으로 꾸며져 ‘건질 것’이 많았던 세미나로 평가됐다.
이 행사를 위해 내한한 인벤시스의 「Triconex」 브랜드 디렉터 루이스 두란 씨를 만나 인터뷰를 가졌다.
취재 최교식 기자 cks@yeogie.com


이번 「IPS세미나」에서 「Triconex」를 비중 있게 다루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IPS세미나」는 전 세계 여러 곳에서 개최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텍사스 BP 공장 폭발사고 등 몇 건의 큰 폭발사고 이후 Safety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와 맞물려 한층 강화된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한 요구, 그리고 기존 고객의 성장, 미래에 우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마음을 열고 대화할 수 있는 장을 고객과 함께 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번 행사를 통해 「Triconex」의 어떤 점을 중점적으로 어필하고자 하십니까.
「Triconex」 제품은 정유, 석유화학, 발전 분야에서 한국시장에서 8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이렇게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한국시장에서 고객들에게 IPS의 「Triconex System」의 차별화된 기술과 시장의 새로운 경향을 소개하고 고객이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또한 위험요소가 산재해 있는 터빈 제어와 같은 Critical Control에서 이행되어야 하는 IEC 61511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최근 몇몇 경쟁업체들이 세이프티 업체를 인수하거나, 세이프티 솔루션을 새롭게 출시하는 등 세이프티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인벤시스의 시선이 궁금합니다.
IPS의 「Triconex」는 그저 단순한 Logic 수행 장비를 뛰어넘어 반세기 이상의 오랜 경험과 4억 시간 이상의 무 정지 운전을 기록하고 있는 안전시스템의 대명사입니다. IPS의 「Triconex」의 경쟁력은 업계 최고의 신뢰성을 가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전 세계 각국에 7,000 시스템 이상 설치 운용되고 있는 적용 노하우를 통해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과 신뢰성 있는 시스템의 도입은 고객으로 하여금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Triconex」는 고객들의 안전에 대한 요구조건을 완벽하게 만족시키면서 또한 원가측면에서도 경쟁사에 비해 경제적입니다. 우리의 고객들은 IPS 「Triconex」를 Critical Control에 적용함에 있어 매우 신뢰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고객이 오랜 경험과 우리의 검증된 행적을 바탕으로 Plant Operation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Safety System 시장에서의 인벤시스의 위치는 어떠합니까.
「Triconex」는 세계 Safety System 시장 점유율 25%로서, 2위 업체의 14%와 비교해 월등히 우위에 있습니다. 「Triconex」는 업계 선두주자 위치를 더욱 확고하게 지키고 시장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핵심제품인 Triocon과 Trident, 그리고 소프트웨어의 지속적인 개발 및 제품 향상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오고 있습니다.


2007년 「Triconex」의 실적이 궁금합니다.
「Triconex」는 지난해 33%의 성장을 달성했습니다. 2003년 대비 2배의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현재 세계 여러 곳에서 중대규모의 New(Green field) Project를 수주, 수행 중에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인도에 세계 최대 규모의 정유 플랜트인 Reliance Project를 수주하여 수행 중에 있는데, 이 프로젝트는 Invensys Infusion ECS 및 Triconex SIS, Foundation Field Instrument 등 모든 IPS의 포트폴리오를 적용하는 등 중동 및 중국, 아시아 태평양 각국에서 두드러진 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IPS-Triconex는 현재 연간 1,000 시스템 이상의 크고 작은 시스템이 공급되고 있습니다.


여러 산업분야 가운데 2007년 가장 성장세가 두드러졌던 산업분야는 어디입니까.
IPS-Triconex의 성장은 비록 어느 한 분야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정유, 석유화학, 가스, 발전, Nuclear 등 산업 모든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룩하였으며 이러한 추세는 향후에도 계속될 것입니다.


조선 등 신규 시장 개척에 대한 전략은 어떠합니까.
FPSO 역시 고도성장 분야 가운데 하나입니다. 이러한 신규 분야에서도 우리의 신뢰성 있는 시스템과 Safety System Engineering, Service 및 Functional Safety Consulting 등 검증된 능력을 바탕으로 안전과 더불어 플랜트의 생산성을 높이는 차별화된 솔루션 공급으로 앞서 갈 것입니다. 이는 비단 조선분야뿐만이 아닌 Turbo Machinery Control, Rail Signal Control 영역에서도 우리의 축적된 노하우는 향후 성장의 원동력이 되어 줄 것입니다.


오늘 발표한 내용 가운데 원자력 관련 인증을 중요한 성과 가운데 하나로 꼽았는데, 모 경쟁업체의 경우에도 원자력 인증을 획득하고 있지 않습니까.
모 경쟁업체가 인증 받은 것은 데이터 수집과 관련된 인증이지 컨트롤 관련 인증이 아닙니다. 미국의 경우, 원자력 분야에서 일반 상업적으로 쓰이는 컨트롤 관련된 인증은 트라이코닉스가 유일합니다. 트라이코닉스는 지난 99년 첫 원자력 인증을 받은 이후, 올 2007년에 동일한 인증을 리뉴얼해 받았습니다. 원자력분야의 요구 가운데 가장 어려운 것이 Quality와 Documentation 요구인데 이 요구는 아무나 쉽게 대응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닙니다.


오늘 발표를 들으면서 인상적이었던 것이 「Triconex」의 진단기능에 대해 강조하신 부분입니다. 다른 경쟁사의 Safety System과 「Triconex」의 진단기능은 어떠한 차이가 있습니까.
크게 진단기능을 실현하는 것은 기술과 사람, 즉 기술과 경험 이 두 가지입니다. 여기에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경험입니다. 「Triconex」는 지난 95년 출시 이후 22년 동안 비즈니스가 전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계의 요구에 대응하는 노하우라는 측면에서 경쟁사들과는 많은 차이를 지니고 있습니다. 우리의 세이프티 전문가들은 시장의 스탠다드한 요구만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스탠다드를 새롭게 개발하고, 규정함으로써 시장을 앞서가는 노하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세이프티 프로젝트 수행능력 및 서비스 수행능력에서 차이가 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타 시스템의 경우, Point Failure가 발생했을 때 안전을 위해 시스템을 셧다운 시키는데 그치지만 「Triconex」는 고장을 분석해서 계속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이것은 공장의 유틸라이제이션과 관계가 있는 중요한 내용입니다.  


「Triconex」의 로드맵에 관련한 설명에서 향후 HATR Communication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하셨는데 인벤시스는 Foundation Fieldbus를 주도하고 있는 대표적인 업체로 알고 있습니다. 
Safety System에는 아직까지 필드버스 기술이 발전되어 있질 않은 상황입니다. 그러나, 현재 「Tricon」에서도 Foundaton Fieldbus 모듈을 개발하고 있으며, 내년 1월 경 출시할 예정입니다. 현재 Foundation Fieldbus가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Safety에 있어서 다큐멘트된 것은 지난 2006년 1월입니다.



「Triconex」의 최근 업그레이드된 기술은 무엇입니까. 또 향후 기술 업그레이드 계획에 대한 설명도 부탁드립니다.
Tricon과 Trident의 기능 향상을 통해 Turbo Machinery Control 분야를 더욱 발전시킬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수행 중에 있습니다. 또한 DCS와의 Integration, Digital Fieldbus Integration 등 시장 요구에 만족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가 현실화될 예정입니다. 저희는 최근 Modbus TCP 및 OPC Embedded Communication을 출시하였으며, 또한 Trident System의 어플리케이션 능력을 현저하게 향상시켰습니다.


한국 Safety System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나 유저 요구 사항 변화 등을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이미 세계는 어느 한 지역을 뛰어넘어 글로벌화 되어가는 경향이 있고 요구사항 또한 글로벌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한국 역시 예외는 아닙니다. TMC, SIS의 연장인 Critical Control, 기존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등 수요증가와 더불어 DCS와의 Integration, Field Digital Devices와의 Integration이 보다 강력하게 요구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향후 Safety System의 수요 전망은 어떻게 하십니까.
앞에서 언급했듯이 Safety System의 수요는 한 나라에 국한된 것이 아닙니다.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안전에 대한 규제강화 및 Functional Safety 요구가 더 많은 Safety System의 수요창출로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향후 DCS 및 Safety System 업계의 이슈가 될 만한 것은 무엇이 있겠습니까.
SIS에 있어 안전은 어떤 경우든 안전 이외의 다른 것과 바꿀 수 없는 기본요구입니다. 신뢰를 바탕으로 안전한 플랜트 운전 및 인명 재산보호의 의무달성과 함께 잠재요인인 원가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솔루션의 요구가 있을 것으로 봅니다.
IPS Triconex SIS는 20여 년 동안 어떤 DCS와도 문제없이 완벽한 Integrat-ion을 수행해오고 있으며 많은 경우, DCS와 Embed-ded SIS는 어떤 하나의 요인으로 DCS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SIS에까지 동일한 문제 발생을 초래합니다. 이것은 IPS Triconex System에서는 발생할 수 없는 결과입니다.


향후 Safety System에 대한 기술추세를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업계에서는 가끔 DCS에 하나로 구성된 SIS(SIS Embedded SIS with DCS)에 대해 관대하게 용인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단지 최저 요구사항만을 만족하며, 화학 및 오일 앤 가스, 그리고 발전 산업에 있어 불충분한 어플리케이션 능력을 가지고 비록 인증된 시스템일지라 하더라도 그러한 방식의 접근이 산업의 요구에 적합한 최선의 실천방법이 될 수 없다는 반응과 그 현상들이 화학 산업분야를 시작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즉, SIS에서 원가절감이라는 이유를 내세워 안전과 타협하는 것은 용납될 수 없는 진리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