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자동차산업 현황 내수시장 활황으로 자동차 판매 및 생산 지속성장 전망 이보람 기자 2014-10-10 18:29:25

인도네시아 자동차산업 현황
내수시장 활황으로 자동차 판매 및 생산 지속성장 전망


1. 자동차 수요 동향
개인소득 상승으로 중산층의 자동차 보유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 내수시장 확대로 이어지고있다.
아울러 부족한 대중교통수단, 대가족제도, 열악한 도로사정, 상습침수 등의 사유로 인해 승합형, 4×4 차량의 시장점유율이 높은 특징을 보여 2013년 기준 양 차종이 전체 총 판매량의 65%를 차지하고 있다.
2013년 기준 브랜드별 판매는 도요타 44만 대, 다이하쓰 19만 대 등 8개 일본 브랜드가 시장점유율 92%로 석권(한국차 2%)하고 있다.


2. 자동차시장 및 생산 동향
시장조사 기관인 BMI와 인도네시아 자동차협회는 인도네시아 자동차 판매와 생산 모두 2017년까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도네시아는 동남아 제2위의 자동차시장으로 완성차용 부품을 수입 조립·생산하고 있으며, 자국 내 총 판매량의 98%는 인도네시아에서 현지 조립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자동차 조립업체의 출신국별 점유율은 일본 (약 95%), 한국 기아(1.4%), 미국 포드(0.8%) 순이며, 특히 인도네시아 10대 자동차 조립업체 중에서 연간 생산량 기준 상위 8개 업체가 모두 일본계 기업이다.(日브랜드 생산 공장 : 도요타 4, 혼다 2, 미쓰비시 1, 닛산 1 등)
아울러 인도네시아 생산물량 중 일부는 완성차 및 CKD 형태로 중남미, 아프리카 등으로 재수출되고 있다.(2013 GAIKINDO : 완성차 10만8000대, CKD 8만4000대)

인도네시아1.jpg

3. 인도네시아 자동차부품 산업
현재 인도네시아에는 약 300개의 부품업체가 있으며, 1차, 2차 벤더의 대부분은 일본 완성차 협력업체 의 현지진출법인이다.(PT
TOYOTA MOTOR MFG(엔진부품), PT DENSO(HVAC, 전장) 등)
2012년 기준, 인도네시아 자동차 부품 시장 총규모는 수입량 기준 약 36억 달러로 섀시, 보디, 엔진블록,트랜스미션, 브레이크, 클러치 분야가 빠르게 성장 중이며, 업체는 주로 자바 섬에 집중돼 있고, 지역별로는 반뜬주, 자카르타주, 서부자바주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2.jpg

4. 시사점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현재 80%에 달하는 자동차부품 수입비중을 30%까지 낮추는 것이 목표이며, 이를 위해 자동차부품 생산업체의 직접투자 진출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2013년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체조사를 통해 파악된 인도네시아
진출기업 2060개 중 투자업종이 자동차부품으로 등록된 업체는 총 7개 사, 자동차부품과 연관된 기계·금속부품업체까지 포함할 경우에는 17개 사이다.
생산공정(OEM)용 또는 순정 A/S용 부품은 일반적으로 완성차 본사의 벤더등록을 거쳐 납품이 가능하며, 1차 벤더 어셈블리 모듈에 납품하는 경우에도 완성차 승인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현지 생산이 주로 일본 브랜드이므로 일본차 납품경험이 있거나 기 등록벤더인 경우에 유리하다.
현지진출 시 가장 중요한 점은 일본 완성차 또는 1차 벤더 등 납품처 확보 여부이며, 자동차부품 법인설립이나 기존 공장인수에는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100% 지분보유가능)


< 자료 : BMI,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