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적인 데이터로 로봇의 성능을 증명한다 - 한국KUKA자동화(주) 객관적인 데이터로 로봇의 성능을 증명한다 - 한국KUKA자동화(주) 관리자 기자 2007-04-30 12:02:26


MTBF - 객관적인 데이터로 로봇의 성능을 증명한다
▶ KR180-2PA
‘더 빨리, 더 무거운 것을, 더 많이’ 쌓을 수 있는 기능을 요구하는 팔레타이징 로봇. 이 3가지 요소를 충족시키는 ‘KR180-2PA’는 KUKA가 주력하는 팔레타이징 로봇모델이다.
이들의 로봇은 시간당 1,800사이클을 가능케 하는 빠른 속도와 180kg(KR180-2PA 외의 모델 570kg)까지 가능한 가반중량, 그리고 3,200mm의 작업반경으로 팔레타이징을 위한 사양을 고루 갖추고 있어 ‘팔레타이징 로봇의 명품’으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PC 기반 컨트롤러로 호환이 자유롭다는 점을 비롯해 로봇에 사용된 부품이 적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로봇을 사용함에 있어 트러블과 트러블이 생기는 사이의 시간인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가 9만여 시간으로 로봇설치 후 관리에 대한 걱정이 필요 없어 KUKA 로봇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있다.
더욱이 알루미늄 합금 바디를 채용한 ‘KR180-2PA’는 타사 로봇에 비해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오랜 시간동안 팔을 움직이는데 있어 모터에 부담을 주지 않아 이와 관련된 고장과 부품교체 사례도 적고, 사이클 타임을 향상시켜 빠른 속도를 보장하여 생산성도 높인다.
이 같은 점은 굳이 ‘KR180-2PA’뿐만 아니라 KUAK 로봇의 전 모델에 적용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팔레타이징 로봇모델의 경우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를 적용하여 더욱 가벼운 무게로 더욱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
그러나 이처럼 좋은 기능들이 추가됨에 따라 가격적인 면에서 불리하게 될 수밖에 없는데, KUKA의 경우 로봇이 다소 고가이기는 하지만 로봇의 장점을 십분 활용한 최적화된 라인으로 업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팔레타이징 로봇에서 빼놓을 수 없는 컴포넌트인 그리퍼 역시 KUKA 자체적으로 개발 적용하고 있는데, 소량다품종으로 변해가는 최근 산업트렌드에 따라 하나의 그리퍼를 여러 종류의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KUKA Multi Purpose Gripper’를 선보이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많은 노하우가 필요한 부분으로, KUKA의 기술력과 오랜 전통을 증명하는 부분이다.

“고가의 명품 팔레타이징 로봇 KUKA… 높은 생산성 강조가 주효”
▶KUKA 로봇은 고가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우리의 모든 로봇제품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되어 있고, 팔레타이징 로봇의 경우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를 사용하여 더 좋은 성능을 내고 있다. 그만큼 로봇자체의 가격대가 올라가 고가라는 이미지를 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KUKA 로봇의 특징과 노하우를 십분 활용하면 훨씬 콤팩트하면서도 좋은 생산 라인을 구성할 수 있어 가격 경쟁력에서 반드시 뒤진다고만은 볼 수 없다. 오히려 고객입장에서는 더 높은 생산성을 보장받을 수 있고, 향후 유지보수 비용이 줄어들기 때문에 가격이 오히려 저렴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팔레타이징 로봇시스템에서 경쟁사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팔레타이징 로봇시스템을 구축하는 가장 큰 이유중 하나가 바로 ‘생산성’이다. 이 때문에 고객들은 값비싼 비용을 치르고서라도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데, 같은 비용으로 구축했더라도 각 로봇사마다 다른 시스템이 나오기 마련이다.
KUKA의 경우 속도도 빠르지만, 작업반경이 워낙 넓기 때문에 라인구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높은 생산성을 위한 최적화된 라인을 구성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90,000시간이라는 MTBF가 말해 주듯이 내구성이 탁월해 ‘정기적 유지보수’라는 기존의 설비 관리의 개념을 뛰어넘는 신뢰성 있는 설비로 고객들에게 환영받고 있다.


▶새롭게 시장을 개척하며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데, 올해 바라보는 시장이 있다면.
그동안 자동화 설비에 관심이 많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식품회사, 음료회사, 비료, 주류회사 등에 팔레타이징 로봇시스템이 많이 활용되었다.
하지만 노동부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 정책, 생산설비의 고성능화, 인력난 등으로 인해 중소기업에서도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 우리가 먼저 팔레타이징 로봇 시스템을 소개하며 시장을 개척해 나가고 있다. 당사는 KUKA 독일 본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다양한 적용 사례 소개와 기술 지원으로 한국 시장에 최상의 시스템을 공급할 만반의 준비가 되어있다.

 

한국KUKA자동화(주)
www.kuka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