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지=뉴스와이어) 서울시가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홈페이지(http://land.seoul.go.kr)에 29일(화) 공개한 ‘14년 2분기 전월세전환율에 따르면, 지난 4월~6월 서울시내 반전세 주택의 평균 전월세전환율은 연 7.3%로 지난 1분기(7.7%)대비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세전환율은 전세 계약이 끝나고 재계약시 전세금 일부를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비율이다. 시는 ‘13년 3분기부터 분기별로 공개하고 있다.
* 전월세 전환율 산정식 = (월세/(전세금-월세보증금))*100
현재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령(제9조)에서 정하는 전월세 전환율 상한선은 연 10%다.
‘지난 12개월 간의 월세 전환건수는 2만여 건’
한편, 전월세전환율 공개 1년차를 맞아 이번에 함께 분석, 공개한 지난 1년간(‘13.7~‘14.6)의 평균 전월세전환율은 7.3%, 전세→반전세 전환 건수는 총 1만9,977건인 것으로 조사됐다.
권역별로는 ?도심권 1,281건 ?동남권 4,931건 ?동북권 5,286건 ?서남권 5,581건 ?서북권 2,898건으로, 주로 서남권과 동북권에서 월세전환이 가장 빈번했다. 특히 다세대·연립의 전환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자치구별 주택유형으로 살펴보면 용산구의 단독·다가구가 9.3%로 가장 높았고, 양천구 아파트(6.2%) 전환율 수준이 가장 낮았다.
금액대로 세분하면 용산의 1억 이하 다가구는 10%, 양천의 2~3억대 아파트는 5.8%로, 보증금액이 작을수록 전환율은 높았다.
지난 12개월간 월세거래는 월평균 1.7만건 수준으로, 월세전환이 지속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서울시가 제공하는 전월세전환율은 월세전환가구가 적정 월세액 수준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서울시가 제공하는 전월세전환율은 실제 25개 자치구의 거래량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표본을 정해 놓고 시세로 계산하는 것보다 더 서울 지역 실정 판단에 적합하다.
‘14년 2분기 전환율은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25개 자치구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전월세 계약 중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된 거래를 대상으로 ?자치구별 ?권역별(5개) ?주택유형별 ?전세보증금별로 산출했다.
자치구별로는 중구가 8.6%로 가장 높고, 강남구가 6.5%로 가장 낮았으며, 5개 권역별로는 도심권(종로·중구·용산)이 8.1%, 동남권(서초·강남·송파·강동)이 6.7%를 나타냈다.
또, 모든 권역에서 단독·다가구 > 다세대·연립 > 아파트 순으로 전월세전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주택유형으로 살펴보면, 도심권(종로·중구·용산) 단독·다가구가 8.5%로 가장 높고, 동남권(서초·강남·송파·강동) 아파트가 6.2%로 가장 낮았다.
전세보증금별로는, 보증금 1억 이하의 평균 전환율은 8.3%로 1억을 초과하는 경우보다 약 2%p 가량 높았다. 더 적은 전세보증금을 주고 사는 세입자일수록 월세로 전환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금액으로 전환하고 있는 셈이다.
진희선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전월세전환율 공개는 시장의 수준을 몰라 자칫 과도하게 부담할 수 있는 월세 계약을 사전에 방지하고, 향후 재계약시에도 적정수준을 참고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특히, 단독 다가구 월세 전환 수준은 서민에게 도움을 주게 되므로 더욱 세분화된 지표를 지속적으로 공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서울특별시청
홈페이지: www.seoul.go.kr
4월~6월 서울시 전월세전환율 7.3%…소폭 하락
4월~6월 서울시 전월세전환율 7.3%…소폭 하락
NewsWire 기자
2014-07-29 11:03:53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