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티 업계 시장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세이프티 업계도 서서히 선ㆍ후발업체의 윤곽이 가시화되고 있다.
한국하니웰은 지난 2001년, 자동차 업계에 라이트 커튼 위주로 세이프티 솔루션을 공급하면서 제품이 갖는 기술적인 경쟁력과 토탈 제어기기 공급 업체로서의 강점을 살려 세이프티 업계의 앞자리를 향해 힘차게 달려 나가고 있다. 이 회사는 특히 최근, 솔레노이드 타입의 도어 스위치를 자사의 천안공장을 통해 양산을 개시하면서 이 분야 수요를 선점할 수 있는 강력한 기반을 구축해 관련업계의 눈길을 끌고 있다.
이 회사의 세이프티 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전수웅 차장을 만나 세이프티 사업 현황과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취재 최교식 기자(cks@yeogie.com)
세이프티 사업 분야에서 한국하니웰의 첫 실적으로 꼽히는 프로젝트는 무엇입니까.
지난 2001년, H자동차 울산공장에 라이트 커튼을 납품한 것이 우리의 세이프티 분야 첫 실적입니다.
이후 자동차 분야에서의 수주는 이어지고 있습니까.
물론입니다. 현재 우리의 세이프티 매출 가운데 가장 비중이 큰 부분이 자동차 분야로 지난 2003년에, 이 회사의 미국 알라바마 공장 엔진 및 차체 조립라인에 라이트 커튼을 우리와 또 한 업체가 공동으로 납품을 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H 자동차 미국 공장뿐만 아니라 협력업체에도 세이프티 제품을 납품하면서 우리에게는 제품의 인지도와 적용 면에서 의미가 있는 프로젝트로 기록됐습니다.
라이트 커튼이 주력 제품이라고 설명하셨는데 전체 세이프티 매출 가운데 라이트 커튼이 차지하고 있는비용은 어느 정도입니까.
현재, 전체 세이프티 매출 가운데 라이트 커튼이 차지하는 비중은 70% 정도입니다.
라이트 커튼은 타입 4와 타입 2 가운데 어느 것이 매출 비중이 높습니까.
타입 4가 우리의 주력제품입니다. 현재 국내시장 상황은 프레스 같이 위험성이 높은 산업분야에는 타입 4를 사용하지만 대부분 타입 4와 타입 2의 수요가 정확하게 구분되어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산업군 별로 보면 역시 자동차 분야가 매출의 절반을 넘습니까.
자동차 분야가 세이프티 전체매출의 60% 정도를 차지하고 절단기가 약 20%, 나머지를 프레스와 공작기계 등 유럽 수출용 장비에서 확보해나가고 있습니다.
한국하니웰이 현재 공급하고 있는 세이프티 제품군은 어떻게 됩니까.
라이트 커튼을 비롯해서 릴레이, 안전 매트, 키 스위치, 도어 스위치, 레이저 스캐너, 케이블 풀 스위치, 세이프티 디바이스넷 기기 등이 있습니다.
현재 세이프티 컨트롤러 제품은 없습니까.
세이프티는 센서와 컨트롤러가 1대1로 대응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그러나 우리도 제어규모가 클 경우, 경제성 등을 고려해 내년 경에 컨트롤러 제품을 출시할 계획입니다.
현재 라이트 커튼 제품으로는 어떤 모델들이 생산 공급되고 있습니까.
우리는 타입 4 제품의 경우, 경제형 패밀리를 비롯해서 기본형, 확장형 이렇게 세 가지 패밀리로 제품군이 라인업 되어 있습니다.
우선 경제형 패밀리에는 「FF-SG시리즈」와 「FF-ST시리즈」가 있고 기본형 패밀리에는 「FF-ST4시리즈」가 있으며 확장형 패밀리에는 「FF-SYB시리즈」가 각각 생산 공급되고 있습니다.
경제형 패밀리는 ON/OFF 세이프티 검출 타입으로서 부가적으로 세이프티 모듈을 사용하거나 필드버스를 통해 세이프티 PLC에 접속이 됩니다. 기본형 패밀리는 세이프티 검출형 디바이스에 수동 리셋 및 자동 리셋을 선택할 수 있고 외부 접속 디바이스 모니터링 및 뮤팅기능이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어서 별도의 릴레이 모듈이 필요 없습니다. 이 경우, 세이프티 정보는 접속된 별도의 릴레이 출력으로 파악이 됩니다. 한편 확장형 패밀리는 플로팅 블랭킹 1빔 또는 2빔 고정 블래킹 등 통합된 세이프티 솔루션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별도의 릴레이 모듈이 필요 없습니다. 이 때 세이프티 정보는 접속된 별도의 릴레이 출력으로 파악이 됩니다.
그 가운데 주력모델은 어떤 제품입니까.
확장형 모델인 「FF-SYB」가 우리가 현재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제품입니다. 이 제품은 지금 설명한 대로 뮤팅이나 플로팅 등 기능이 다양해서 유저가 필요한 부분만 취향에 맞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특히 이 제품은 하니웰 특유의 독창적인 스마트 카드가 제공이 되는데 유저는 현장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만족시킬 수 있는 스마트 카드 칩을 쉽게 장착해서 자사에 적합한 최적의 안전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독창적인 스마트 카드가 제공되기 때문에 별도의 PC 설계가 필요 없으며 이 스마트 카드는 라이트 커튼의 전면 하단부에 쉽게 장착할 수 있습니다. 이 스마트 카드 칩은 잘라서 유저가 사양에 맞게 원하는 기능들을 추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은 현재, 하니웰 외에는 제공하는 업체가 없습니다. 이 제품은 6개의 투광기용 카드와 28개의 수광기용 카드가 기본으로 제공됩니다. 특히 기능 대비 가격이 저렴해서 현재 고객층으로부터의 반응이 대단히 호의적입니다.
보호범위 및 자기간섭 방지 기능은 어떻게 됩니까.
보호 높이는 300mm에서 1,800mm까지이고 타입 4 라이트 커튼을 제작 설계함에 있어서 단일 빔의 허용 폭은 기본적으로 ±2°로 설계됩니다. 검출거리가 10m의 경우, tan2° X 10m=dir 35cm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라이트 커튼의 빔의 세기를 4단계로 조정할 수 있어서 1차 방지를 하고 여러 라이트 커튼을 직렬로 연결할 때, 투광기1-수광기1-수광기2-투광기2 등으로 배열을 구성하며 병렬 연결시에도 투, 수광기의 배열을 교차하는 방법으로 2차 자기간섭을 방지합니다.
라이트 커튼 최신모델은 어느 제품입니까.
경제형 패밀리에 속하는 「FF-ST시리즈」가 가장 최근에 출시된 모델입니다. 이 제품은 스마트 카드는 제공되지 않고 유저 사양에 맞춰 커스토마이징이 가능한 라이트 커튼으로서 예를 들면 검출거리에 따라 가격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검출거리는 손가락 검출형은 2m, 손목검출형은 8m까지가 기본으로 나오는데 유저에 맞춰 검출거리를 커스토마징할 수 있습니다.
주 수요처는 어느 분야입니까.
자동차를 포함한 FA 수요가 메인 시장입니다.
현재 영업을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역시 우리의 기존시장인 자동차 분야와 공작기계 분야에서 상담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공작기계 업체의 경우는 키스위치와 릴레이 모듈이 같이 납품될 예정입니다.
현재 세이프티 업계는 시장형성이 본격화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수많은 업체가 참여, 춘추전국시대를 방불케 하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하니웰의 경쟁력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습니까.
우리는 제어기기류를 일괄 생산 공급하고 있는 업체입니다. 즉 우리는 타 업체가 가지고 있지 않은 제품군을 갖추고 있어서 유저에게 패키지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타 업체와의 차이점입니다.
특히 자체적으로 키 스위치를 개발해서 올해 1월부터 한국하니웰 천안공장에서 생산을 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적인 측면은 물론 가격적인 부분에서도 타 업체를 앞설 수 있는 기반을 구축했습니다. 앞으로 이 제품이 가질 수 있는 가격 및 기술적 우위를 통해 세이프티 업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을 생각입니다. 기대해 주십시오.
국산화된 제품 외에 하니웰 본사 측에서 준비하고 있는 신제품이 있습니까.
올해 5월 경, 반도체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슬림형 모델이 저가형으로 출시될 계획입니다. 검출거리가 6m 정도 되는 제품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AS-Interface 제품에 대한 계획은 없습니까.
AS-Interface 제품의 경우도 올해 안에 제품이 확보될 예정입니다.
현재 주력업체들의 경우, 산업안전관리 공단의 S 마크 인증을 서두르고 있는데 한국하니웰의 계획은 어떻습니까.
우리 역시 라이트 커튼 두 가지 모델에 대해 올 상반기 안에 S 마크 인증을 획득할 예정입니다.
올해 예상되는 세이프티 업계의 이슈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앞으로 많은 업체들이 S 마크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수요에 맞춰 인증 규정이 강화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니웰 전체적인 세이프티 매출과 아시아 지역의 매출은 어느 수준입니까.
하니웰의 아시아지역 세이프티 매출은 연간 약 90억원으로 이 가운데 중국이 약 40%, 호주가 20%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유럽과 북미를 합하면 매년 약 300억원 정도의 세이프티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한국하니웰(주) ∥ www.honeywell.co.kr/acs/sc
TEL:02)799-6159 Fax:02)792-9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