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월 수출입 동향 2014년 5월 수출입 동향 NewsWire 기자 2014-06-02 13:55:40
(발표지=뉴스와이어) 5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0.9% 감소한 479억 달러, 수입은 0.3% 증가한 425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53억 달러 흑자 기록(28개월 연속 흑자)

일평균 수출 22.3억 달러(6.0%↑)로 역대 2위를 기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조업일수 감소(1.5일 부족 및 5.2일 기업 자율휴무)로 수출은 소폭 감소

* 일평균 수출증가율(전년동월대비, %) : ('14.2월) △3.3 → (3월) 1.5 → (4월) 9.0 → (5월) 6.0
* 일평균 수출순위 : (1위) ‘13.9월, 22.33억 달러 (2위) ’14.5월, 22.27 (3위) '13.10월, 21.95억 달러

(수출) 선박·석유제품 등 수출증가 및 유럽연합(EU)·미국으로의 수출 호조

선박(해양플랜트 인도확대), 철강(주요 수출품인 열연강판 등의 수출호조), 석유제품(수출단가 상승)의 수출은 증가한 반면, 자동차·반도체(조업일수 감소 등)·LCD(패널단가 하락) 및 무선통신기기(기저효과, 유럽·중국 재고누적 등) 등의 수출은 감소

* 수출증가율(%) : (선박) 30.0 (석유제품) 11.9 (철강) 9.6 (자동차) △0.5 (반도체) △1.1 (석유화학) △2.3 (LCD) △6.0 (가전) △9.5 (무선통신기기) △10.0
* '13.5월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27.0억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57.0% 증가

선진국 경기회복에 따라 EU(IT부품 등 자본재 호조)과 미국(자동차 등 내구소비재 및 석유제품·철강 등 원자재 호조)으로의 수출은 증가했으나, 중국(석유제품 등 원자재 및 일반기계 부진)과 아세안(태국 정세불안 및 선박·일반기계 등 자본재 수출 부진)으로의 수출은 감소세로 전환

* 對美 수출증가율(%) : ('14.2월) △6.7 → (3월) 15.6 → (4월) 19.3 → (5월) 4.5
* 對美 품목별 수출증가율(5.1-20일, %) : (자동차) 24.7 (석유제품) 24.3 (철강) 23.5
* 對EU 수출증가율(%) : ('14.2월) 10.6 → (3월) 14.9 → (4월) △3.2 → (5월) 32.0

* 對中 수출증가율(%) : ('14.2월) 3.6 → (3월) 4.4 → (4월) 2.4 → (5월) △9.4
* 對ASEAN 수출증가율(%) : ('14.2월) 15.1 → (3월) 5.4 → (4월) 17.0 → (5월) △2.0

기저효과 등으로 두 달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던 일본으로의 수출도 자본재 수출부진으로 인해 감소세로 전환

* 對日 수출증가율(%) : ('14.2월) △10.2 → (3월) 3.0 → (4월) 12.2 → (5월) △0.8

(수입) 소비재 수입은 증가한 반면, 원자재·자본재 수입은 감소
* 용도별 수입증가율(5.1~20일, 전년동기대비 %) : (원자재) △6.3 (자본재) △1.5 (소비재) 11.3

5대 원자재 중 석유제품(고도화설비 가동에 따른 중유수입 확대)·철강 등의 수입은 증가하였으나, 원유(설비 정기보수 등) 및 가스 수입은 감소

* 5대 품목 수입증가율(%) : (석유제품) 15.8 (철강) 1.9 (석탄) △1.8 (원유) △3.2 (가스) △15.2
* 원유 도입단가 및 물량(‘13.5→’14.5) : (단가) 103.9 → 109.4$/B, (물량) 77.5 → 71.3백만B

자본재는 산업기계·자동차부품 등의 수입은 증가했으나, 반도체 및 반도체 제조용 장비 수입은 감소
* 수입증가율(5.1∼20일, %) : (자동차부품) 10.9 (산업기계) 9.1 (반도체제조용장비) △9.5 (반도체) △13.6

소비재는 자동차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 1500cc 초과 가솔린자동차 수입증가율(%) : ('14.3월) 30.5 → (4월) 42.5 → (5.1-20일) 27.7
* 2500cc 이하 디젤자동차 수입증가율(%) : ('14.3월) 86.0 → (4월) 49.1 → (5.1-20일) 46.1

(평가 및 전망) 5월 일평균 수출이 역대 2위를 기록하였고, 1~5월 일평균 수출(21.1억 달러)도 4.4% 증가하는 등 우리 수출은 꾸준한 증가세 유지 중
* 일평균 수출(억 달러) : (‘12년) 20.0 → (’13년) 20.5 → ('14.1∼5월) 21.1

다만, 이번 5월은 조업일수 감소(1.5일)와 5.2일 기업 자율휴무에 따라 수출액이 소폭 감소

미국·EU 등 선진국 경기회복 추세에 따라 향후에도 우리 수출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최근 중국으로의 수출이 둔화되는 상황이므로 중국의 수입시장 변화 등을 감안하여 대중 수출 증대방안을 마련할 계획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www.mk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