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장어 이용 유채에서 ‘감마리놀렌산 생산기술’ 개발 갯장어 이용 유채에서 ‘감마리놀렌산 생산기술’ 개발 NewsWire 기자 2014-01-22 11:13:24
(발표지=뉴스와이어) 심혈관계 기능 개선 등에 효능이 있는 ‘감마리놀렌산’을 유채에서 생산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갯장어 유전자를 이용해 건강기능성 지방산인 ‘감마리놀렌산’을 유채에서 생산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감마리놀렌산을 생합성하는데 필수적 효소인 ‘델타-6 불포화효소유전자(D6DES)’를 갯장어에서 분리한 후 이 유전자를 유채에 도입해 생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9∼2010년 갯장어에서 ‘델타-6 불포화효소유전자’를 분리해 효모발현시스템으로 유전자 기능을 확인하고, 이 유전자를 유채에 도입시킬 수 있는 운반체를 개발했다.

이어 2011∼2012년 ‘델타-6 불포화효소유전자’를 도입한 유채 종자(2세대)에서 감마리놀렌산을 각각 7.4%와 5.6% 함유하는 계통을 1차 선발했다.

그리고 2013년 이 두 계통의 개체수를 늘리고 세대를 진전시켜서 3세대 유채 종자를 수확해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감마리놀렌산이 최고 8.4% 함유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마리놀렌산 함유율이 20∼26%인 보리지와 14∼19%인 블랙커런트에 비해 낮지만 달맞이꽃(7∼10%)의 함유율에 상응하는 것이며, 감마리놀렌산의 함유율이 7% 이상인 경우 산업화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마리놀렌산(gamma-linolenic acid, GLA)은 혈관 내 콜레스테롤을 없애 심혈관계 기능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노화예방, 아토피피부염 개선, 당뇨합병증 및 치매예방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불포화지방산 중 하나다.

이 지방산은 인체 내 합성이 불가능해 반드시 식품으로 섭취해야 하는데, 달맞이꽃 등 소수 식물종자에 함유돼 있고, 이들 식물들은 우리나라 재배여건에 맞지 않아 현재 시판되고 있는 감마리놀렌산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대규모 재배가 가능한 유채에서 감마리놀렌산을 생산하게 될 경우 수입대체 효과와 농가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은 갯장어에서 분리한 ‘델타-6 불포화효소유전자(D6DES)’에 대해 특허등록을 완료했으며, 이 유전자를 유채에 도입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특허출원한 상태다.

농촌진흥청 생물소재공학과 김종범 연구관은 “어류 유전자를 이용한 유채에서의 건강기능성 지방산 생산기술 개발은 농촌진흥청에서 처음 시도한 연구다”라며, “이 기술을 바탕으로 오메가-3 지방산 등 기능성 지질 생산이 가능한 다양한 유지작물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소개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을 역임한 이양호 청장이 농촌진흥청을 이끌고 있다.

출처: 농촌진흥청
홈페이지: www.rd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