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산업 로드맵
용접·접합은 물체나 재료의 접합 부분을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로 하여 직접 접합 또는 접착하고자 하는 두 물체 사이에 용가재(용접봉)를 첨가하여 간접적으로 접합시키는 기술이다.
범위
용접·접합은 용접, 브레이징, 솔더링, 확산접합, 접착본딩, 기계적 체결을 통칭하나 산업적 적용성을 고려하여 용융용접, 고상용접, 브레이징 및 솔더링 분야로 제한한다.
용접·접합산업은 국가 기간산업인 조선, 자동차, 중공업, 건설, 전기/전자, 반도체 등의 산업에 필요한 기기 및 재료를 공급하기 때문에 이들 기간산업의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생산기반산업이며, 국가기간산업의 핵심기반 기술이다.
용접은 용접공정에 적용되는 에너지원, 접합기구, 접합형태에 따라 분류되며, 산업적으로는 용접열원에 따라 아크용접, 저항용접, 고에너지빔 용접, 솔더링/브레이징 및 마이크로 용접으로 구분된다.
브레이징(brazing)과 솔더링(soldering)은 모재를 거의 용융시키지 않고 용가재(filler metal)를 용융시켜 접합하는 방법으로 용가재의 용융온도가 450℃ 이상인 경우를 브레이징, 그 이하의 경우를 솔더링으로 구분하며 산업현장에서는 브레이징, 솔더링, 확산접합을 통칭하여 ‘접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용접’과 구별하는 경향이 있다.
용접·접합산업은 크게 용접·접합용 기기와 재료를 생산하는 용접 기자재산업과 이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용접 시공 산업으로 분류된다.
그림1. 용접제품 및 산업분류
용접은 용접공정에 적용되는 에너지원, 접합기구, 접합형태에 따라 분류되며, 산업적으로는 용접열원에 따라 아크용접, 저항용접, 고에너지빔 용접, 솔더링/브레이징 및 마이크로 용접으로 구분된다.
브레이징(brazing)과 솔더링(soldering)은 모재를 거의 용융시키지 않고 용가재(filler metal)를 용융시켜 접합하는 방법으로 용가재의 용융온도가 450℃ 이상인 경우를 브레이징, 그 이하의 경우를 솔더링으로 구분하며 산업현장에서는 브레이징, 솔더링, 확산접합을 통칭하여 ‘접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용접’과 구별하는 경향이 있다.
용접?접합산업은 크게 용접?접합용 기기와 재료를 생산하는 용접 기자재산업과 이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용접 시공 산업으로 분류된다.
수요분석
자동차, 조선, 플랜트 등 중공업 분야에서는 고강도 경량화를 위한 소재 개발이 요구됨에 따라, 고강도 경량 소재의 용접 등의 이용기술에 대한 검증 및 공정개발관련 기술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전자, 통신 산업의 발전에 따라 패키징(packaging)기술도 고집적화, 미세피치화 및 고성능/고효율화 되고 있으며, 3차원 적층 패키징 기술 등, 마이크로 접합기술 및 접합용 소재(플럭스, 솔더)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아크 용접기 분야에서 피복아크용접기와 TIG 용접기, 플라즈마 절단기 등 정전류방식의 기기는 전량 인버터 방식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으며, 스패터가 적은 350A급 이하의 인버터형 전류 파형제어 용접기 관련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용접공정의 생산성 향상 및 작업환경 개선을 위하여, 용접자동화시스템 기술개발 및 연구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고, 지속적으로 성장가능한 시장이다.
주력산업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자동차 | 997,262 | 1,037,152 | 1,078,638 | 1,121,784 | 1,166,655 | 1,213,308 |
반도체 패키징 | 312,340 | 357,629 | 409,485 | 468,860 | 536,845 | 614,688 |
플랜트 | 9,090,000 | 9,417,240 | 9,756,260 | 10,107,486 | 10,471,355 | 10,848,324 |
표2. 고효율 용접기반 대표적 산업의 세계시장 수요전망 (단위: 억 원)
*산출근거: 한국 통계청, Semiconductor Technology Center, 건설경기전망(건설산업연구원)
산업구조
(1) 용접산업이 국가 기간산업인 조선, 자동차, 반도체, 전자 등 국내 주요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 이상이다. 국내 제조업의 5%를 차지하고 있는 조선산업에 있어서 선박건조비용의 35%가 용접관련비용으로 선박의 부가가치에 큰 영향을 미친다.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휴대폰 등 첨단 IT 제품에 있어서 브레이징/솔더링 접합관련 비용은 제조단가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2) 용접산업은 주력기간산업의 배후로써 성장과 수출을 주도하는 가치창출형 산업이며, 최근 5년간 평균 15.3%로 성장중인 산업으로 기간내 GDP성장률 12.5%에 비해 높은 성장률을 보인다.
(3) 용접기술의 전방 산업으로는 자동차, 조선/중공업, 전자, 기계 등 국가주력산업이 해당되며, 후방 산업으로는 철강 산업, 비철금속, 자동화 산업 등이 해당, 조강량의 2% 이상의 용접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출처: 메탈넷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