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지=뉴스와이어) 내년도에는 경상북도의 응급의료체계가 대폭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경북도에 따르면 내년에 모두 255억원의 예산을 들여 환자발생 현장단계를 비롯해 출동 및 응급환자 이송단계, 의료기관 치료단계 등의 단계별 대응체계를 일제히 점검·보완키로 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환자발생 현장단계에서는 119구급상황관리센터 기능을 보강하고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을 확대 실시하는 동시에 역, 터미널 등 다중집합장소에는 자동제세동기(AED)를 확대 설치키로 했다.
또한, 출동 및 응급환자 이송단계에서는 응급환자 이송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는 응급의료정보센터 활용 극대화, 중증 응급질환자의 닥터헬기 이용 활성화, 노후화된 119구급차 및 구급장비 교체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의료기관 치료단계에서는 지역에 중증 응급질환자 치료 전문병원이 없어 타 지역 병원으로 이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과다하게 걸려 소중한 생명을 잃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의료기관 시설·장비 확충에도 노력한다.
이를 위해 농어촌 취약지역 응급의료기관에 안정적인 24시간 응급실 운영을 위해 60억원을 지원하고, 보건복지부에서 추진 중인 권역외상센터 설치, 소아응급의료센터 설치 등을 적극적으로 유치키로 했다.
이외에도 긴급한 상황을 대비한 응급의료기관간 재난응급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고, 재난현장에 출동하는 이동식 응급의료장비를 철저하게 점검하는 한편 출동대상 종사자들에게도 교육을 강화키로 했다.
경북도는 이러한 응급의료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도, 시·군 및 응급의료기관의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12월 26일(목)부터 27일(금)까지 2일간 구미 금오산호텔에서 ‘2013년 지역응급의료체계 개선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날 워크숍에는 지역응급의료기관 37개 병원과 119소방본부, 시·군 응급의료 담당자 등 90여명이 참석하여 경북도의 개선방안과 현장에서의 응급의료체계 문제점 등에 대한 대책을 심도있게 논의했다.
이원경 경상북도 보건정책과장은 “경북은 지역 특성상 농어촌, 산간·오지지역이 많은 관계로 신속한 119구급대의 출동과 응급환자의 의료기관 이송, 의료기관 치료의 과정에 시간이 많이 걸려 소중한 생명을 잃는 경우가 빈발했다”며 이번에 논의된 안건들을 토대로 내년도에는 경북도의 응급의료체계가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유관 기관단체는 물론 지역 응급의료기관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했다.
경상북도청 소개
경상북도청은 272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06년7월부터 시민의 선거를 통해 당선된 김관용 도시자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경상북도는 한국경제의 밝은 누구나 찾아 오고, 일하고 싶고, 일자리가 있는 경북을 만들어 대한민국의 미래를 밝히는 일류 자치단체가 되겠다는 도민들의 의지를 민선 5기 도정의 구호로 삼고 있다. 특히 세계화 ·지방화 시대에 부응하여 전국 자치단체중 처음으로 우리 도주관으로 동북아지역자치단체 연합(NEAR)을 창설하고, 세계의 주요 자치단체와 자매결연을 맺는 등 능동적인 자치외교활동과 교류협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수출 유망지역에 통상주재관을 파견하고 해외시장 개척 활동으로 수출선을 다변화 하는 등 활발한 통상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출처: 경상북도청
홈페이지: www.gyeongbuk.go.kr
경북도, 응급의료체계 대폭 개선
경북도, 응급의료체계 대폭 개선
NewsWire 기자
2013-12-26 15:09:35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