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지=뉴스와이어) 경상북도(김관용 도지사)는 성탄절 휴일인 12월 25일 대구·경북의 상생협력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도시철도1호선 연장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다고 밝혔다.
대구 동구 안심에서 경산 하양읍까지 연장하는 대구도시철도 1호선은 총연장 8.77km로서 2,789억원이 투입되는 대구·경북의 광역교통망 구축사업의 일환이며, 지난해 9월에는 대구도시철도 2호선 사월에서 영남대역까지 연장(3.3km) 준공하였다.
그동안 도시철도 1호선 하양연장 사업은 경산(하양)지역의 대학생과 통근근로자의 교통편의 제공을 위하여 지난 2007년 12월 사전 예비타당성조사용역을 실시한 기획재정부에서 2008년 11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예비타당성조사를 하였으나, 경제성(B/C 0.58, AHP 0.33)이 낮다는 이유로 보류된바 있다.
그러나 경산지식산업지구, 경산4산업단지조성, 지식서비스R&D지구, 영천경마공원조성사업 등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대구시의 첨단의료복합단지, 신서혁신지구 개발과 맞물려 이제는 주변여건이 충분히 성숙되었다고 판단됨에 따라 2011년 자체 사전예비타당성 재조사를 실시한 경제성분석 결과 B/C 1.17로서 사업 재추진의 탄력을 받게 되었으며, 지난해 12.28일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되어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AHP 0.505로 사업이 확정되게 되었다.
특히, 도시철도 1호선 하양연장사업은 전체 8.77km중 청천에서 하양역 구간 4.5km는 대구선 복선화사업으로 발생되는 폐선로 구간을 재활용함으로서 사업비 부담도 대폭 줄이게 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내년 국비예산으로 설계비 50억원을 확보하여 기본계획과 실시설계를 동시에 진행하고 신속한 용지보상을 추진하여 도시철도 하양연장사업의 조기 착공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이 사업은 대구·경북의 상생협력 사업으로서 대도시권광역 교통난 해소와 함께 지역주민의 교통편의 제공은 물론, 경산지역의 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 전망하고 이번 예타 통과과정에서 많은 도움을 준 경산지역 국회의원인 최경환 대표의 역할이 컸다고 밝혔다.
경상북도청 소개
경상북도청은 272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06년7월부터 시민의 선거를 통해 당선된 김관용 도시자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경상북도는 한국경제의 밝은 누구나 찾아 오고, 일하고 싶고, 일자리가 있는 경북을 만들어 대한민국의 미래를 밝히는 일류 자치단체가 되겠다는 도민들의 의지를 민선 5기 도정의 구호로 삼고 있다. 특히 세계화 ·지방화 시대에 부응하여 전국 자치단체중 처음으로 우리 도주관으로 동북아지역자치단체 연합(NEAR)을 창설하고, 세계의 주요 자치단체와 자매결연을 맺는 등 능동적인 자치외교활동과 교류협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수출 유망지역에 통상주재관을 파견하고 해외시장 개척 활동으로 수출선을 다변화 하는 등 활발한 통상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출처: 경상북도청
홈페이지: www.gyeongbuk.go.kr
대구도시철도1호선 하양 연장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대구도시철도1호선 하양 연장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NewsWire 기자
2013-12-26 10:26:04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