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지=뉴스와이어) 울산지역 국가·지방 산업단지를 자원 순환형 친환경 산업단지로의 구축을 위한 ‘생태산업단지 구축사업’이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울산시는 12월 4일 오후 4시 울산롯데호텔에서 장만석 경제부시장, 참여기업 및 참여기관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울산EIP 2013년도 사업성과 및 2014년도 계획 보고회’를 개최한다.
‘울산지역 생태산업단지 구축산업’은 산업통상자원부, 울산광역시의 지원과 한국산업단지공단(울산EIP사업단)의 주관으로 사업장에게 발생하는 폐기물, 폐에너지, 부산물 등을 다른 사업장의 원료나 연료로 재자원화하는 자원 순환형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울산 등 전국적으로 9개 지역(울산, 부산, 경북, 대구, 경기, 충북, 충남, 전북, 전남)이 2014년 12월까지 2단계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울산지역 주요 우수사례를 보면 SK케미칼 및 용연지역 입주기업에서 발생되는 잉여스팀을 배관망(연장 6.2km)을 통해 SK에너지에 공급하는 ‘울산스팀 하이웨이 구축사업’이 있다.
지난 11월 완료된 이 사업은 자체보일러 가동 대비 180억 원/년 경제절감과 온실가스 발생량 10만 톤/년을 감축하는 등 큰 성과를 내고 있다.
울산시에 따르면 1단계(2005.11~2010.5)와 2단계(2010.6~2014.12) 4차년도 기간까지 총 60개의 산업공생 연구 과제를 지원하여 51개 과제가 완료됐으며, 완료된 과제에서 27건이 사업화 완료 성과를 달성했다.
9건의 과제는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사업화율은 52.9%로 국가 R&D 과제 5년간 평균 사업화율 20.7%(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2007~2011년)에 비해 2.6배가 높다.
또한, 사업화가 완료된 27개 과제로부터 경제적 효과 1,021억 원/년, CO2 45만 299톤/년, 폐수 7만 9,000㎥/년, 부산물 3만 6,709톤/년 저감 성과를 내고 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주)효성용연2공장 정영훈 부장, (주)엔코아네트웍스 장상용 대표,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영아 교수, 한국산업단지공단 울산고객지원팀 이동희 팀장, 한국산업단지공단 울산EIP사업단 이정현 대리 등 5명이 울산광역시장 표창을 받는다.
울산대학교 청정자원순환연구센터 박준모 연구원은 ‘울산광역시 유기성폐액 바이오가스화 신규 시설을 이용한 에너지 네트워크 구축사업’ 우수사례를 발표한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은 향후 EIP사업을 산업단지 내 자원순환 네트워크 구축에서 벗어나 산업공생을 확장하는 ‘생태산업개발(EID)’로 전환 추진할 방침이다.
EID(Eco-Industrial Development)는 산업단지 자원순환 네트워크 구축을 비롯해 산업공생 확장 및 지역사회 편익증진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 같은 EID 사업 전환을 위해 내년부터는 우선 산업단지와 지역사회와의 부산물 및 에너지 교환 네트워크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주요 업종과 발생 폐기물 분석에 있어 지속적인 기업의 애로 해결 및 참여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 지역에 추진되고 있는 생태산업단지 구축사업은 지속가능한 친환경 산업단지 구축과 함께 지역기업체의 기업경쟁력 제고 및 울산 전역의 환경질 개선에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면서 “21세기 지속가능한 산업단지 모형을 만들기 위해 추진에 만전을 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울산광역시청
홈페이지: www.ulsan.go.kr
‘울산지역 생태산업단지 구축사업’ 획기적 성과
‘울산지역 생태산업단지 구축사업’ 획기적 성과
NewsWire 기자
2013-12-04 11:32:54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