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나인티시스템 (주)나인티시스템 관리자 기자 2006-09-18 10:33:25
국내/외 로봇센서와 관련된 주요 연구단체 및 기업으로는 부산대(Active Beacon System 연구), ETRI(Starlite), RIST(StarGazer), AT&T(ActiveBAT), MIT(Cricket) 등이 있다. 이중 (주)나인티시스템의 iGS(indoor GPS)는 RF 송신기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Active Beacon 방식으로, Block을 확장하여 다수의 이동체(모바일 로봇) 위치인식이 가능하다. (주)나인티시스템(대표이사 이인옥)은 로봇센서 관련분야에서 성장이 기대되는 업체이다. 최근 이노비즈로 확인받았으며, 우수한 성능의 실험장비를 통한 제품개발, 정부과제의 성실한 수행으로 주목받는다. 본지에서는 로봇연구소를 직접 찾아가, 타사와 비교되는 연구노하우를 알아보았다. 취재 이미순 기자(press2@engnews.co.kr)
로봇연구소 조동일 연구소장 국내 로봇시장의 경우 IT 환경에 대한 기반이 잘 구축되어 있고 연관기술의 융합 및 응용기술이 뛰어난 점을 볼 때, 이와 비슷하거나 더 빠른 추세의 성장이 예상된다. 위치인식용 센서시장 역시 이를 필요로 하는 로봇시장의 성장속도와 비례하며 신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관련 업체의 기술개발이 한창인데, 그중 나인티시스템의 로봇센서 기술력은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더욱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눈에 띄는 활동으로 주요 센서기술을 기술협력하며 동사는 지난 2005년에 열린 미래 성장동력 연구성과 전시회에서는 지능형 로봇센서 총괄 전시가 진행되어 참여하였으며, 올 4월에 열린 북경 교육기자재 전시회에서도 iGS를 전시하였다. 물론 기존에 부품기술력에서는 일본의 우위를 누구도 의심치 않겠지만 일부 기술부분에서는 특허를 갖고 있는 만큼 세계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해 대외 홍보에도 신경을 쓰고 있는 것이다. 또한, 부천우체국에 로보테크와 함께 iGS를 설치하고, 현재 부천 로봇전시관에도 설치되어 있다. 지능형로봇의 실질적인 사용 예를 보이며 점차 그 활용도를 현실화하고 있는데, 로봇의 이동성에 적합한 제품을 공급하여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처럼 나인티시스템의 로봇센서를 다양하게 선보이며 관심을 유도함으로써 회사의 기반을 다져가고 있다.
연혁을 통해 본 비전제시로 입지를 다진다 지난 2001년 설립되어 실시간 3차원 측정시스템 개발하고, 액티브 비컨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로봇센서 개발 참여업체로 선정되는 등 빠른 속도로 다양한 연구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2005년에는 구로 디지털단지로 본사를 이전하고 연구개발 주력기업으로 인정을 받으며 성장의 단계를 하나씩 밟아가고 있다. 동사의 성장은 크게 두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기초기술 축적단계인 초기에는 부설연구소를 설립하고 벤처기업을 확인받으며, 네트워크 기반 액티브 비컨센서 개발에 참여하여, 1차 시제품 개발을 완료하였다. 그리고 현재 지능로봇 사업화 단계에는 iGS를 상품명으로 하여 상품화가 시도되고 2차 시제품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저가격 소형화된 제품을 개발중이다. 조동일 연구소장은 “로봇이 주목받는 사업으로 성장한 만큼 관련센서에 관해서도 시장의 경쟁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나인티시스템에서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고급 기술을 선보이며 인정받는 기업이 되고자 연구에 중점 지원합니다. 결국은 기술평가를 통해 고객들이 직접 알아서 찾도록 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의 불경기 속에서 부품시장은 굳이 로봇이 아니더라도 일본에 의지하는 것이 많다. 하지만 일본 역시 불경기를 알짜 부품기업의 선전으로 극복한 만큼 틈새 기술력을 통해 전체 경기의 디딤돌이 되는 것 역시 부품업체의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부품시장의 동향변화에 따른 시기적절한 대응이 있어야 할 것이다. 관련시장의 동향을 이해하고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인력에 대한 믿음을 가질 수 있도록 투자하고, 기술향상을 위한 의지를 다지고 있다.
신뢰성 있는 제품개발을 중심으로 탄탄한 회사 만들기 동사는 지난 2001년에 설립되었는데, 사회와 인류의 복지에 기여할 수 있는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토대로 고객, 주주, 직원 및 직원 가족의 행복을 유지하고 나아가 번영의 열매를 함께 나누는 것을 기업이념으로 하고 있다. 우수한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내부역량 강화, 대외실적 축적, 지적재산권 확보를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또한, 가치창조, 행복추구, 공존공영이라는 현재의 모토를 통해 가치있는 기업이 되고자 발판을 굳히고 있다. 이처럼 확실한 경영목표를 가진 회사인 만큼 투명경영이 제대로 확립되도록 하며, 이색적으로 경영목표를 매년 다르게 설정하여 초심을 지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 내용을 보면, 2003년 경영목표(경쟁력 강화, 수익기반 확립, 성장기반 확립), 2004년 경영목표(신바람나는 내 직장 만들기, 인력과 조직의 역량 배가, 안정적 성장 기반 확보), 2005년 경영목표(성장을 위한 내실 다지기, 시장지배력과 기술력의 절대우위 유지, 미래지향적 자기혁신과 조직역량 혁신), 2006년 경영목표(안정적 성장 기반 강화, 사업 패러다임의 변혁)를 통해 얼마나 고객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자 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iGS를 통한 나이티시스템의 전략 보완 향후 예상되는 매출적 성장세를 준비하기 위해서도 기술적 기반을 받칠 내부조직의 체계화를 준비하고 있다. 또한 기술에서는 지능형로봇에 탑재할 수신기(HW 및 SW) 및 실내에 부착할 송신기(HW), 양산시 판매가격 100,000원/set(년 10,000대 기준)의 상용화 능력 및 자원 보유, 유사제품의 상용화 경험 보유, RF 응용 제품의 설계 및 제작능력 보유, 시장의 요구 분석 및 마케팅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기본적인 기능을 완성하였고, 올해는 서비스 로봇과의 네트워크를 확인하는 작업을 한다. 그리고 내년부터 양산 가능 제품의 개발 및 신뢰성 확인을 통해 2008년에는 기능 및 신뢰성 보완, 서비스 로봇에 탑재할 수 있도록 판매를 추진할 계획이다.
로봇과 함께 꿈을 실현하는 기업의 중심이 되어 나인티시스템은 2010년 세계 10대 로봇부품 매출기업 달성하고, 네비게이션 분야 최고기업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RF 응용제품을 상용화한 실적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능형로봇의 특성과 사용환경에 대해 풍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알고리즘을 로봇업체에 적용하여 현장에서 검증이 되었다. 이외에도 실제 로봇에 적용하여 노이즈를 비롯한 환경에 강인한 HW 설계노하우를 보유하였고, RF 응용을 위한 HW 기술, 위치 추정을 위한 알고리즘의 Embedded SW 기술, 지능형로봇과의 네트워크를 위한 기술 등을 모두 보유하고 있으며 Bluetooth 통신기술 개발 및 Zigbee 통신기술의 개발을 완료하였다. 2007년에는 UWB 개발계획도 있다. 현재 국내 대리점 현황으로는 부산(삼진테크), 울산(두성산업)이 있고, 시도별 대리점으로 확대하며, 올해부터 중국내 대리점 1개 구축을 완료한다. 국내/외 전시회 참가도 활발한데, 국내의 경우 지능형로봇 부품매칭페어, IT 테크노마트 2006, 해외로는 중국(2006년 4월 북경교육기자재 전시회), 독일&스페인(서울벤처비즈니스)에 참가하였다. 또한, 지능형로봇의 완성품 회사로 유진로봇, 로보테크와 긴밀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어서, 경쟁력있는 제품의 개발이 가능하도록 한다. 국내 지능형로봇 교육기자재 공급업체와도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Indoor GPS(iGS)의 신기술로 인정받는 제품 생산 Indoor GPS(iGS)은 실내 혹은 3차원 공간상에서 이동체의 위치 및 방위각을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동하는 로봇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위치를 인식하고 위치데이터를 로봇에게 제공하여 자율주행을 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3차원 공간에서 정지 혹은 이동체의 현재 위치, 이동 속도, 방위각을 제어하며, 실내에서 이동물체의 위치를 추적한다. 또한, RF 및 Ultrasonic을 매질로 하여 Trilateration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애티브 비컨 방식이다. 활용가능한 분야로는 지능형 서비스로봇의 위치 추정을 위한 센서, 모바일 로봇을 위한 액티브 비컨 시스템, 실내 및 3차원 공간에서 이동물체의 위치 추적, 대형 건물 안에서 자신의 현 위치를 추정, SLAM을 위한 개발용 도구, 가정용 서비스 로봇의 위치제어 : 청소 로봇 등의 위치제어, 산업용 Cart의 위치 파악 등의 위치제어 등이 있다. 실제 적용사례로는 공공도우미 로봇에 적용 시범운영에 성공(부천우체국의 정통부 URC 시범사업, 2005년 말), 부천 로보파크에 설치(2006년 3월말), 대학, 연구소 등에 지능형로봇 위치인식 시스템으로 10여 시스템을 판매하기도 하였다. 한편, 위치인식 기술의 개발방향은 크게 절대좌표 측정과 상대좌표 측정의 두 가지로 개발되어 왔으나 현재는 절대좌표 측정으로의 연구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절대좌표 인식기술의 개발은 아래와 같은 방향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이동로봇의 위치인식에 이용되는 비컨의 매체는 Laser, Sonar, Radio/Microwave 및 IR 등이 있다. 또한, 비전을 이용한 위치인식 기술개발, RFID 혹은 바코드를 이용한 위치인식 기술개발, 액티브 비컨을 이용한 위치인식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미국, 일본 등의 경우 국내/외 연구동향을 보면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인식 기술의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상용화된 사례가 없다. 따라서 관련 기술의 특허 선점으로 경쟁 업체에 대한 진입장벽 구축, 향후 위치인식 기술 시장에서 가격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계적인 기술만이 살아남는다 위치인식 기술은 기술초기 단계인 관계로 절대비교가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동사의 위치인식센서(iGS) 개발은 상용화되어 적용된 사례가 있기에 시장선점 효과와 이에 따른 관련기술 개발방향 및 표준화작업의 주도적 역할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상용화 기술에 따라 당사의 기술수준은 세계 시장에서 동등 혹은 그 이상으로 판단한다. 대체 혹은 보완적인 관련기술로 위치 추정용 관성측정 시스템은 단일 축 가속도계, 각속도계는 일부 저성능 응용 분야를 중심으로 상용화된 센서를 출시하고, 고가형 제품의 경우 Quartz 기반의 마이크로머시닝 기술을 이용한다. 시각센싱 시스템은 KIST에서 3차원 복원이 가능한 병렬처리형 고속 영상처리 HW 및 SW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시간 거리 영상 취득 시스템에 대한 연구의 경우 입력영상 해상도에서 실시간 거리 영상은 구현되지 않는다. 초음파 거리센싱 시스템은 소자는 미국 Polaroid 등의 제품을 사용하여 자체적으로 구동부 제작이 가능하고, 단순 거리계 및 Sonar 개념의 제어기 등이 연구 중이나 표준화된 제품의 제작이나 판매는 없다. 이외에도 지능형로봇용 위치파악 시스템에서 공간크기 자동설정 방법, 위치파악 시스템에서의 커버영역 확장방법, 위치파악시스템에서 장애물 극복방법, 위치파악 시스템에서 거리오차 보정방법에서 특허를 받았다.
개발에 따른 수입대체 효과가 더욱 기대 현재 위치인식 기술 제품의 국내수입 현황을 보면 Northstar 및 Criket 제품이 국내에 수입되고 있다. Northstar 수입 물량은 연간 약 40대로 추정되며 Criket의 수입 물량의 정보는 시장형성의 초기단계로서 신뢰성있는 통계자료가 미흡한 상황이다. 조동일 연구소장은 “이제 2007년까지는 수입품에 대해 가격 및 기술경쟁 우위로 수입대체 가능성이 기대되며, 수입대체 효과금액은 현재는 연간 2억원 정도의 수입대체 효과가 예상됩니다”라며 관련 시장에서의 성장가능성을 낙관하고 있었다. 그리고 위치파악용 액티브비컨으로 다중로봇, 다중블록에서 위치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HW, SW를 개발하고 있다고 했다. 국산기술력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연구가 이루어지는 만큼 자존심을 지키는 로봇센서 업체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주)나인티시스템 www.ninety.co.kr TEL. 02)890-3511 FAX. 02)890-3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