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과 같은 로봇산업의 발전은 모터, 감속기, 드라이브, 센서, 비전과 같은 로봇 관련 컴포넌트 기술의 진보가 선행됐기에 가능하다.
올해는 다채로운 로봇 부품 메이커 및 공급사들이 로보월드 현장을 메웠다. 특히 국내 로봇산업의 아킬레스건으로 지적돼 온 국산 로봇 부품 업계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2019년 발발한 한국과 일본 간의 무역 분쟁은 우리나라 제조업의 근간인 뿌리산업의 취약점을 여실히 드러냈다. 갑작스러운 대외 무역 환경의 변화는 국내 부품업계에 따끔한 ‘백신’ 역할을 했다. 역설적으로, 당시의 위기는 취약했던 소부장 산업에 대한 정부와 수요기업의 관심을 이끌어내는 계기가 됐다.
올해 로보월드에는 로봇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기술 분야에서 국산화를 추진하는 국내 기업들의 참여가 두드러졌다. 이에 따라 2025 로보월드에서는 에스피지, 삼현, 에스비비테크, 패러데이다이나믹스, 본시스템즈 등 정부의 로봇 생태계 구축 사업과 발맞춰 국내 부품산업을 선도하는 대표 기업들과, 글로벌 시장에서 이미 양질의 레퍼런스를 확보한 리드샤인, 이유봇, 딩스 등 외산 메이커의 제품을 모두 살펴볼 수 있었다.
국산 로봇 감속기 양산 시대 연 에스피지

사진. 로봇기술
스트레인 기어 방식의 고정밀 감속기는 로봇을 비롯해 고정밀 산업 자동화 설비 등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 중 하나로, 수십 년 이상 일본계 기업이 독점해 온 분야이기도 하다.
시장 규모 대비 기술 성숙도를 높이기 힘들고, 대규모 투자가 선행돼야 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국산화까지 긴 시간이 걸린 분야이기도 하다.
에스피지는 2015년부터 스트레인 기어 타입 고정밀 감속기 개발을 시작하고 지속적으로 자본과 인력을 투자했다.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고정밀 감속기 양산을 시작한 에스피지는 현재 국산 로봇 감속기 메이커 중 유일하게 로봇 메이커의 양산 모델에 직접 로봇 감속기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관계자는 “그간 에스피지가 국산화에 성공한 여러 로봇 전용 감속기를 2025 로보월드에서 전시했다. 특히 시범 테스트 단계를 넘어 양산 로봇에 안정적으로 제품을 공급한 사례는 아직까지 우리가 유일하다. 이는 감속기의 소재부터 설계, 설비 구축, 가공, 조립, 공급, CS의 전 과정을 본사에서 직접 대응함으로써 이뤄낸 쾌거”라고 강조했다.
한편 에스피지는 M.AX연합 내 휴머노이드 로봇 분과에 소재·부품 전문 기업으로 참여하면서 산업통상부가 주도하는 K-휴머노이드 연합과 M.AX연합 휴머노이드 로봇 분과에 모두 참여하게 됐다. 회사는 유수 대학 및 기관, 수요기업과 협력해 휴머노이드 로봇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액추에이터를 속도감 있게 개발, 공급함으로써 휴머노이드 로봇과 같은 신규 시장에서도 국산 부품의 우수성을 알린다는 계획이다.
에스비비테크, 신시장 확보 위한 구동 모듈 개발
에스비비테크는 휴머노이드 로봇 시대를 겨냥해 소형 고출력 특성을 갖춘 일체형 구동 모듈 개발 현황을 소개했다. 고정밀 작업에 필요한 관절 구동 속도와 파지력을 구현하기 위해 감속기·모터·엔코더를 통합한 구조 설계를 적용했으며, 휴머노이드 핸드의 소형화를 위한 이송 기구부 기술도 함께 공개했다.

사진. 로봇기술
또한 소형 액추에이터용 정밀 기어 제조 기술을 기반으로 위치정도, 출력 효율, 소음·진동 특성을 향상한 감속기 기어 가공 역량을 강조했다. 하모닉·유성감속기용 기어 제조 노하우를 활용해 양산성을 고려한 최적 가공 조건과 공정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정밀 동작이 가능한 소형 구동 모듈의 대량 생산 기반을 마련했음을 전시를 통해 알렸다.
휴머노이드 로봇 부품 국산화에 나선 국내 기업들

사진. 로봇기술
K-휴머노이드 연합에 참여하는 패러데이다이나믹스는 2025 로보월드 현장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웨어러블 로봇, 4족 보행 로봇 등 차세대 로봇을 겨냥한 구동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 회사의 감속기 일체형 서보모터 FD 시리즈는 기존의 전기장 기반 서보모터와 달리 자기장을 기반으로 매우 높은 수준의 토크밀도와 고성능의 연속 토크를 구현한다. 이는 로봇 애플리케이션에서 고가의 감속기나 토크센서 사용을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하고, 로봇 플랫폼의 소형화 및 배터리 효율성 증가를 실현한다.
인간의 근육과 유사한 고토크밀도의 FD 시리즈는 낮은 역구동력과 부드러운 관절 특성으로 인간과 물리적 상호 작용에서 안전성을 보장한다.
한편 회사는 외주 업체 의존을 최소화하고, 서보모터 제조 공정의 90% 이상을 내재화해 맞춤형 솔루션을 빠르고 유연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참관객들에게 어필한다.
이어 올해 코넥스 시장 300번째 상장 기업으로 눈길을 모았던 본시스템즈는 최근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을 겨냥한 신제품 BCSA V4를 출품했다.
로봇용 액추에이터 BCSA V4는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출력 토크를 발휘하며, 사이클로이드 기어 구조로 내구성과 안정성을 확보했다. 제어기를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할 수 있는 구조와 슬림한 하우징을 적용해 공간 제약이 많은 휴머노이드 로봇에 적합하다.
특히 주목할 특징은 동일한 외형으로 감속비만 쉽게 변경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하나의 플랫폼에서 다양한 하중 조건이나 동작 속도에 대응할 수 있고, 설계 표준화와 부품 관리 효율성 측면에도 유리하다.
한편 모델솔루션은 모터와 드라이브, 감속기, 센서, 통신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올인원 액추에이터로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을 공략한다. 2025 로보월드에서 회사가 공개한 휴머노이드 로봇용 스마트 액추에이터는 직경 80㎜, 높이 61㎜, 무게 850g 이하의 소형·경량 설계를 적용하면서도 최대 24Nm의 출력을 제공한다.
7:3:1의 낮은 감속비와 AFPM 모터를 적용해 높은 토크밀도 및 우수한 역구동성을 구현했다.
GaN 기반 드라이브, EtherCAT/CAN FD 듀얼 포트, 인덕티브 엔코더, 6축 IMU를 내장해 고속·고정밀 제어와 안정적인 통신을 지원한다.
모터114, 휴머노이드 로봇 액추에이터 공개

사진. 로봇기술
국산 휴머노이드 로봇 부품 업체들의 참가가 두드러진 만큼, 대량 양산 경험을 바탕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액추에이터 시장을 선점한 외산 제품도 2025 로보월드의 중요한 관전 포인트였다.
모터114는 이번 전시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성능을 좌우하는 이유봇의 핵심 조인트 모듈을 주력으로 전시했다. 이 모듈은 자체 설계한 FPGA 기반 제어 구조를 적용해 다관절 구동에서 발생하는 고부하·고트래픽 연산을 실시간으로 처리한다. 또한 듀얼 18Bit 엔코더를 탑재해 관절 각도를 미세 단위까지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저발열·저코깅 특성을 갖춘 프레임리스 모터와 리더드라이브의 고정밀 로봇 감속기 조합으로 고효율·고토크 출력을 구현했다. 경량화된 구조와 일체형 통합 설계는 배선 복잡도를 줄이고 휴머노이드 로봇 전신에 다수 장착될 때도 안정적인 동작 품질을 유지해 개발사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모터114가 소개한 이유봇의 조인트 모듈은 중국 3대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사인애지봇이 선택한 제품으로 유명하다. 국내에서도 유명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이 해당 조인트 모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모터114는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
및 개발자들에게 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다.
한편 딩스코리아는 2025 로보월드를 통해 파트너사인 마이액추에이터(MY ACTUATOR)의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공개했다. 이번 전시 품목에는 다이렉트 드라이브 모터 RMD-L/H 시리즈, 헬리컬 유성 감속기가 내장된 RMD-X 시리즈, 하모닉 감속기가 내장된 EPS-RH 시리즈, 사이클로이드 감속기가 내장된 초소형 EPS-CEM 시리즈 등이 포함됐으며, 이 제품 라인업은 일반형, 중공형, 제어기 내장형, 듀얼 엔코더 및 브레이크 장착형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특히 RMD-X 시리즈는 휴머노이드 로봇, 4족 보행 로봇 등 보행 로봇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프레임리스 모터와 정밀 유성 감속기, 고해상도 듀얼 엔코더, 중공축 구조 등의 특징을 지니며, EtherCAT 및 CANopen 통신을 지원한다. 1.6m 및 1.3m 로봇 플랫폼에 맞춰 설계된 모듈 조합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의 머리, 어깨, 팔, 허리, 무릎, 베이스까지 전신 20~28자유도 구성이 가능하다.
[Monthly Focus1] 성년 맞은 로보월드, B2B로의 변신
![[전문가기고] 페트병 회수기 업체들의 저가 경쟁에 신음하는 페트병 재활용 산업](https://file.yeogie.com/img.news/202406/md/b1aZhEcAwq.png)





![[스페셜리포트] 시바우라기계, 스마트 기술력 총망라한 ‘솔루션페어 2025’ 성료](https://file.yeogie.com/img.news/202506/md/7lXkxWJPCh.jpg)
![[KOPLAS 2023 Preview] 삼보계량시스템(주), 플라스틱 펠렛 'PLATONⅡ'로 고객 눈길 사로잡다](https://file.yeogie.com/img.news/202302/md/4QINfMIE2G.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