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로봇산업협회는 지난해 말 2023년 기준 로봇산업 실태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는 2006년부터 국내 로봇산업 발전을 위한 기업의 경영전략 및 국가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매년 발행되고 있으며, 국내 로봇산업의 발전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핵심 내용 등이 담겨져 있다. 본 기사에서는 2023년 로봇산업의 사업체, 생산, 출하, 수입 등 전반적인 동향과 제조업용 로봇,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 전문서비스용 로봇,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4대 로봇산업 분야의 실태조사 결과에 대해서 소개한다.
※자료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www.kiria.org)
1. 조사 개요
국내 로봇산업 발전을 위한 기업의 경영전략 및 국가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2006년 정부는 통계를 구축한 이후 매년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본 조사는 2024년 12월 말 기준 국내 로봇 사업체의 현황, 품목별 생산 및 출하실적, 인력 현황, 연구개발 현황 등을 조사해 국내 로봇산업 발전을 위한 사업체의 경영전략 및 국가 정책수립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조사는 로봇산업 특수분류에 의해 정의된 해당 사업체 중 2023년을 기준으로 로봇산업 관련 경영활동을 영위한 사업체를 대상으로 전문 조사원에 의한 사업체 방문 면접 조사로 실시됐다. 해당 조사결과는 '제조업용 로봇'. '전문서비스용 로봇', '개인서비스용 로봇', '로봇부품 제조 및 소프트웨어'의 로봇산업 주요 4대 분야 업종과 '로봇시스템 제조', '로봇임베디드 제품'. '로봇 관련 서비스'의 기타 3대 분야 업종 분야를 포함한 '로봇산업 특수분류의 7대 분류'를 통계 작성 범위로 한다.
2. 로봇산업 분류
1) 제조업용 로봇
지능형로봇 산업 비전과 발전전략에서의 제조업용 로봇의 정의는 각 산업 제조현장의 제품생산에서 출하까지 공정 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로봇을 말하며, RIA(미국로봇공업협회)의 정의에 따라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된 가변 동작을 통해 물체, 부품, 도구 또는 특수장치 등을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재프로그램이 가능한 다기능의 기계장치를 의미한다.
2) 전문서비스용 로봇
불특정 다수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및 전문화된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을 말한다.
3) 개인서비스용 로봇
인간의 생활범주에서 제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간 공생형 대인 지원 로봇을 말하며, 개인의 건강, 교육, 가사, 안전, 정보제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로봇으로 청소 및 경비 분야, 연구용을 포함한 교육용 기자재 및 가정교사용 로봇 등 가사지원 분야에 적용되는 로봇이다.
4) 로봇부품 제조 및 소프트웨어
제조업용 로봇, 개인서비스용 로봇, 전문서비스용 로봇 등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간 생산물로서 다른 중간재와의 결합을 통해 최종재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요소이다. 따라서,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는 협의적 의미로 생산 공정상 제조물의 형태로 주어지며, 최종 로봇을 생산하기 위해 투입되는 모든 중간 투입재를 말한다.
5) 로봇시스템
로봇을 포함해 기계, 장치 등을 조합해 필요한 기능을 실현한 집합체를 말한다.
6) 로봇임베디드 제품
외형적으로는 로봇의 형상이 아니지만 로봇의 기술이 적용된 부품 및 제품이다.
7) 로봇 관련 서비스
로봇을 활용해 사람에게 편리함을 주는 것을 상품으로 해 판매하는 행위 및 서비스를 말한다.
3. 로봇산업 분석결과
1) 사업체 및 매출 현황
2023년을 기준으로 로봇산업 관련 사업체 수는 4,521개사로 전년도 4,506개사 대비 0.3%가 증가했다. 주요 업종별로는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가 1417개사로 31.3%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로봇서비스가 1,167개사로 25.8%를 차지했다.
사업체 규모로서는 중소기업이 4,432개사로 전체 98.0%의 점유율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그다음으로 중견기업(69개사), 대기업(20개사)로 나타났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경우, 주업종이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1,404개, 31.7%)인 사업체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로봇서비스(1,132개, 25.5%)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2023년 기준 로봇산업 매출액은 10조 2,569억 원으로 전년도 매출액 10조 891억 원 대비 1.7% 증가했다. 특히 로봇 매출액이 10억~50억 원 미만인 사업체의 로봇 매출은 작년 대비 17.1% 증가해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였다. 분야별 로봇산업 매출액은 제조업용 로봇이 2조 9,903억 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그다음으로 로봇서비스 2조 2,210억 원,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 1조 9,446억 원, 로봇시스템 1조 6,695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3개년도 분야별 로봇 매출 현황 (단위: 백만 원, %) / 자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2) 생산현황
2023년 기준 로봇산업 생산액은 7조 9,208억 원으로, 전년도 7조 8,003억 원 대비 1.5% 증가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용 로봇이 2조 7,902억 원으로 35.2%로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가 1조 9,246억 원으로 24.3%, 로봇시스템은 1조 5,110억 원으로 19.1%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전문서비스용 로봇'이 11.3%, 로봇시스템 5.8%,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가 2.9%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로봇서비스(25.4%,), 개인서비스용 로봇(1.3%)은 전년 대비 감소 경향을 보였다.
최근 3개년도 분야별 로봇 생산 현황 (단위: 백만 원, %) / 자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3) 출하 현황
2023년 기준 내수와 수출을 포함한 로봇산업 출하액은 10조 835억 원으로, 전년도 출하액 9조 8,215억 원 대비 2.7%가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용 로봇이 2조 8,871억 원으로 28.6%, 로봇서비스는 2조 1,286억 원으로 21.1%,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는 2조 399억 원으로 20.2%를 차지했다. 내수액은 8조 5,718억 원으로, 전년도 내수액 8조 3,502억 대비 2.7%증가했고, 로봇서비스가 2조 983억 원으로 24.5%, 제조업용 로봇이 1조 9,623억 원으로 22.9%,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는 1조 8,519억 원으로 21.6%를 차지했다. 또한, 수출액은 1조 5,054억 원으로 전년도 수출액 1조 4,712억 원 대비 2.3% 증가, 그중에서도 제조업용 로봇이 9,248억 원으로 전체 61.4%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최근 3개년도 분야별 로봇 출하 현황 (단위: 백만 원, %) / 자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4) 수입/수출 현황
2023년 기준 로봇산업 수입액은 1조 3,086억 원으로, 전년도 1조 2,765억 원 대비 2.5% 증가한 결과이다. 주요 업종별로는 로봇서비스 사업체의 수입이 5,890억 원으로 45.0%, 제조업용 로봇 사업체의 수입이 4,668억 원으로 35.7%를 차지했다. 국가별 수입액은 일본이 5,811억 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 미국 1,992억 원, 중국 1,818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업종별로는 제조업용 로봇 사업체의 일본 수입액이 2,767억 원으로 가장 높았다.
최근 3개년도 분야별 로봇 수입 현황 (단위: 백만 원, %) / 자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편, 2023년 로봇산업 수출액은 1조 5,054억 원으로, 전년도 수출액 1조 4,712억 원 대비 2.3%가 증가했으며, 품목별로는 제조업용 로봇이 9,248억 원, 61.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국가별 수출액은 미국이 4,742억 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 중국 2,648억 원, 이탈리아 786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제조업용 로봇 품목의 미국 수출액이 3,759억 원으로 가장 높았다.
최근 3개년도 분야별 로봇 수출 현황 (단위: 백만 원, %) / 자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5) 인력 현황
2023년 기준 로봇산업 분야 종사자는 51,758명으로, 전년도 51,656명 대비 0.2% 증가했다.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가 14,917명으로 가장 많았고, 제조업용 로봇이 10,988명, 로봇서비스가 8,215명, 로봇시스템이 7,409명 등의 순으로 많았다. 직무별로는 기술직(생산)이 21,084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연구개발이 12,346명, 영업/마케팅이 9,074명, 사무직 및 기타가 8,889명, 기타 단순 근로가 364명으로 나타났다. 그중 두 번째로 많은 인원이 종사하고 있는 연구개발직의 경우, 대학교 재학/졸업이 8,679명으로 가장 많았다.
4. 로봇산업 4대 분야 결과
로봇산업의 주요 4대 분야인 제조업용 로봇, 서비스용 로봇, 개인서비스용 로봇,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2023년 로봇 매출 규모는 전년 대비 1.5% 증가한 5조 9,805억 원이며, 생산 규모는 3.0% 증가한 5조 6,912억 원을 기록했고, 로봇 사업체는 총 2,524개사로 전년 대비 0.6%(15개사)가 증가했다. 또한, 수출은 전년 대비 1.9% 증가한 1조 2,484억 원, 수입은 2.9% 증가한 6,562억 원을 기록했다.
로봇의 분류에 따라 살펴보면, 제조업용 로봇의 매출은 전년 대비 0.5% 증가한 2조 9,903억 원이며, 수출은 9,428억 원으로 전년 대비 0.9% 감소했고, 수입은 1.9% 증가한 4,668억 원을 기록했다. 서비스용 로봇 매출은 전년 대비 6.4% 증가한 1조 456억 원이며, 수출은 20.8% 증가한 1,357억 원, 수입은 6.3% 증가한 538억 원을 기록했다.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 매출은 전년 대비 0.4% 증가한 1조 9,446억 원이며, 수출(4.5%)과 수입(5.0%) 또한 전년 대비 증가해 각각 1,880억 원과 1,356억 원을 기록했다.
여기에서는 로봇산업의 주요 4대 분야별 결과에 대해서 정리해 소개한다.
로봇산업 4대 분야 매출 현황 / 자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1) 제조업용 로봇
2023년도의 제조업용 로봇 관련 사업체 수는 전체 2524개사 중 567개사로 22.5%를 차지했고, 그중 중소기업이 549개사(96.8%)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2023년도 제조업용 로봇 매출액은 2조 9,903억 원으로, 로봇산업 4대 주요 분야별 2023년 총매출액 5조 9,805억 원 중 50%를 차지하며 전년(2022년)도 2조 9,747억 원 대비 0.5% 증가율을 보였다.
제조업용 로봇의 2023년 총생산액은 2조 7,902억 원으로 4대 분야 총생산액 5조 6,912억 원 중 49.0%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도 대비 2.1% 증가한 결과이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이적재용 및 핸들링 로봇이 1조 3,730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조립, 분해, 접착, 마킹 및 라벨링용 로봇이 3,339억 원, 기타 제조업용 로봇이 3,834억 원, 측정, 검사, 시험용 로봇이 2,388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업용 로봇의 기계구조별 생산액은 다관절 로봇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관절 로봇이 8,928억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리니어 로봇이 8,229억 원, 기타 로봇 3,183억 원 등의 순이다. 적용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1조 6,597억 원으로 가장 크다.
내수와 수출을 포함한 제조업용 로봇의 출하액은 2조 8,871억 원으로 4대 분야 전체 출하액 5조 9,436억 원 중, 48.6%를 차지했으며, 내수는 1조 9,623억으로 41.8%, 수출은 9,248억 원(74.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2023년 기준 제조업용 로봇 품목별 출하액은 2조 8,871억 원으로, 이적재용 및 핸들링 로봇 1조 4,048억, 기타 제조업용 로봇 4,284억, 조립, 분해, 접착, 마킹 및 라벨링용 로봇 3,346억, 측정, 검사, 시험용 로봇 2,603억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제조업용 로봇 사업체의 수입이 4,668억 원으로, 전체 수입액 6,525억 원 중 71.1%를 차지했으며, 수출 면에서도 9,248억 원으로 전체 수출액 1조 2,484억 원 중 74.1%를 차지해 가장 많은 점유율을 나타냈다.
2023년 기준 로봇산업 분야의 전체 종사자는 33,839명으로, 그중 제조업용 로봇산업 분야 종사자 수는 10,988명(32.5%)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중 직무별로는 기술직(생산)이 4,924명으로 1위, 다음으로 연구개발 2,655명, 사무직 및 기타 2,046명, 영업/마케팅 1,251명, 기타 단순 근로 112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3년 대비 2024년 업황이 개선될 것이라 예상한 사업체는 10.5%에 그쳤는데, 그중 제조업용 로봇 사업체는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이 14.8%로 타 분야 사업체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로봇산업 4대 분야 생산 현황 / 자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2) 전문서비스용 로봇
2023년도 전문서비스용 로봇 관련 사업체 수는 전체 2,524개사 중 374개사로 14.8%를 차지했고, 그중 중소기업이 364개사(97.3%)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2023년도 전문서비스용 로봇 매출액은 6,143억 원으로 로봇산업 주요 분야별 2023년 총매출액 5조 9,805억 원 중 10.3%를 차지했다. 특히 전년도 대비 증가율은 13.4%로 가장 높았다.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2023년 총생산액은 5,655억 원으로 4대 분야 총생산액 5조 6,912억 원 중 9.9%를 차지했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기타 전문서비스용 로봇이 2,233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의료용 로봇이 1,258억 원, 안전 및 극한작업용 로봇이 760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2023년 출하액은 5,934억 원으로, 기타 전문서비스용 로봇이 2,489억 원으로 가장 높았고, 의료용 로봇이 1,276억 원, 안전 및 극한작업용 로봇이 760억 원, 농림어업용 로봇이 476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2024년 수출액은 713억 원으로, 기타 서비스용 로봇이 347억 원, 의료용 로봇이 317억 원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전문서비스용 로봇 사업체의 수입이 349억 원으로 전체의 5.3%를 차지했고, 전년 270억 원 대비 29.3%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더불어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수출이 713억 원으로 전체 수출액 1조 2,484억 원 중 5.7%를 차지했다. 수입에 이어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수출의 증가 폭은 전년 435억 원에서 713억 원으로 63.9%의 증가율을 보여 모든 로봇산업 분야 중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 기준 로봇산업 분야의 전체 종사자는 33,839명 중 전문서비스용 로봇 분야에 종사자는 5,485명으로 16.2%를 차지했다. 직무별로는 연구개발이 2,087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기술직 1,834명, 사무직 및 기타가 908명, 영업/마케팅이 625명, 기타 단순 근로가 32명 순이다.
또한, 전문서비스용 로봇 분야에서 2023년도 대비 2024년 업황이 개선될 것이라 예상한 사업체가 13.8%로 전체 10.5%의 응답률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동일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답변이 56%로 가장 높았다.
로봇산업 4대 분야 수입 현황 / 자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3) 개인서비스용 로봇
2023년도 개인서비스용 로봇 관련 사업체 수는 전체 2,524개사 중 166개사로 6.6%를 차지했고, 그중 중소기업이 162개사(97.5%)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2023년도 개인서비스용 로봇 매출액은 4,313억 원으로 로봇산업 주요 분야별 2023년 총매출액 5조 9,805억 원 중 7.2%를 차지하며, 전년도 대비 2.1% 감소해 4대 로봇산업 분야 중 유일하게 감소세를 보였다.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2023년 총생산액은 4,090억 원으로 4대 분야 총생산액 5조 6,912억 원 중 7.2%를 차지했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가사용 로봇이 2,225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육용 로봇이 1,385억 원, 개인 여가 및 취미용 감성 교감 로봇이 197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2023년 출하액은 4,232억 원으로, 가사용 로봇이 2,225억 원, 교육용 로봇이 1482억 원, 개인 여가 및 취미용 감성 교감 로봇이 211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2024년 수출액은 643억 원으로, 가사용 로봇이 384억 원, 교육용 로봇이 246억 원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개인비스용 로봇 사업체의 수입이 189억 원으로 전체의 2.9%를 차지했고, 전년 236억 원 대비 20.1%가 감소해 유일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더불어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수출이 643억 원으로 전체 수출액 1조 2,484억 원 중 5.2%를 차지했다. 수입에 이어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수출의 감소 폭은 전년 688억 원에서 643억 원으로 6.4%의 감소율을 보여 모든 로봇산업 분야 중 가장 두드러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 기준 로봇산업 분야의 전체 종사자는 33,839명 중 전문서비스용 로봇 분야에 종사자는 2,449명으로 7.2%로 가장 작았다. 또한, 개인서비스용 로봇 분야에서 2023년도 대비 2024년 업황이 개선될 것이라 예상한 사업체가 2.1%로 전체 10.5%의 응답률 대비 두드러지게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전반적인 개인서비스용 로봇산업의 하락세를 뒷받침했다.
로봇산업 4대 분야 수출 현황 / 자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4)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
2023년도의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 관련 사업체 수는 전체 2,524개사 중 1,417개사로 56.1%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했고, 그중 중소기업이 1,404개사(99.1%)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2023년도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 매출액은 1조 9,446억 원으로, 로봇산업 4대 주요 분야별 2023년 총매출액 5조 9,805억 원 중 32.5%를 차지하며 전년(2022년)도 1조 9,363억 원 대비 0.4% 증가율을 보였다.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의 2023년 총생산액은 1조 9,264억 원으로 4대 분야 총생산액 5조 6,912억 원 중 33.8%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도 대비 2.9% 증가한 결과이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로봇제어용 부품이 5,334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로봇 구동용 부품이 4,942억 원, 로봇용 감지(센싱)장치 및 관련 부품이 2,846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내수와 수출을 포함한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의 출하액은 2조 399억 원으로 4대 분야 전체 출하액 5조 9,436억 원 중, 34.3%를 차지했으며, 내수는 1조 8,519억으로 39.8%, 수출은 1,880억 원(15.1%)이다.
2023년 기준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 품목별 출하액은 2조 399억 원으로, 로봇제어용 부품이 5,583억 원, 로봇 구동용 부품이 5,294억 원, 기타 로봇부품이 3,072억 원, 로봇용 감지(센싱)장치 및 관련 부품이 2,976억 원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 사업체의 수입이 1,356억 원으로, 전체 수입액 6,525억 원 중 20.7%를 차지했으며, 수출 면에서도 1,880억 원으로 전체 수출액 1조 2,484억 원 중 15.1%를 차지해 제조업용 로봇을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점유율을 나타냈다.
2023년 기준 로봇산업 분야의 전체 종사자는 33,839명으로, 그중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 분야 종사자 수는 14,917명(44.1%)으로 가장 많았으며, 직무별로는 기술직(생산)이 7,531명으로 1위, 다음으로 연구개발 3,542명, 사무직 및 기타 2,141명, 영업/마케팅 1,611명, 기타 단순 근로 91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3년 대비 2024년 업황이 개선될 것이라 예상한 사업체는 10.5%에 그쳤는데, 그중 로봇부품 및 소프트웨어 사업체는 개선될 것이라고 9.0%가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