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전기기술 용어>
전기안전의 시작은 전기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다. 전기를 자유롭게 다루기 위한 첫걸음으로 인식하고 알아야 할 전기기술 용어에 대해 싣는다.
■ 유도 전압 조정기
1차 권선, 2차 권선의 자기적인 결합관계를 가변으로 하여, 2차 유도 전압을 변화시켜 연속적으로 출력전압을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 유동층연소
석탄과 유동물질(석회석, 모래 등)을 보일러 내에 충진시킨 후, 이를 유동화시켜 연소하는 방식을 말한다. 석탄과 유동물질(Bed Material: 석회석, 모래 등)을 보일러 내에 충진시키고, 하부에서 상부로 유체(공기, 가스 등)를 통과시켜 유속을 점차 증가시키면 가스의 압력과 고체 입자의 중량이 서로 평행을 이루는 점 이상에서 유동화(Fluidization)가 시작된다. 유속이 더욱 증가하여 유동화 상태가 되면, 고체입자와 유체가 거의 완전하게 혼합되어 단일유체와 비슷한 특성을 갖게 된다.
■ 유입변압기
절연유 속에 철심과 권선을 넣어 내부 절연을 유지하고 냉각하는 변압기이다. 대부분의 전력용변압기와 배전용변압기가 이에 해당한다.
■ 유입자냉식(ONAN, OA)과 유입풍냉식(ONAF, FA)
유지보수가 간단하고 제일 많이 사용된다. 권선과 철심의 발열량은 전도에 의해 절연유에 전달되고, 절연유의 열이 외함과 방열기에 전해진다. 외함과 방열기의 표면에서 방사와 공기의 대류에 의하여 냉각된다. 외함과 방열기에서 냉각된 절연유는 하강하여 다시 내부를 냉각하고 상승 순환하게 된다. 유입풍냉식으로 운전시 송풍기를 2개의 군으로 나누어 변압기 권선의 온도상승에 따라 단계적으로 운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유전체
유전체는 절연물을 말하며 절연물을 평행 전극판 사이에 넣으면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커진다. 또 변화의 정도는 절연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 유중가스분석
유입기기 내부에서의 이상 현상은 절연파괴현상이나 국부과열과 같이 발열이 수반된다. 이 발열원에 접촉한 절연유, 절연지, 프레스보드, 베크라이트 등의 절연재료는 그 열에 영향을 받아 분해, 반응하여 수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탄화수소계열의 가스 등을 발생시킨다. 이 발생된 가스의 대부분은 절연유 중에 용해되므로, 변압기에서 채취한 절연유 중의 가스를 추출, 분석하고 그 가스의 양 및 성분 구성에서 변압기의 내부이상의 유무 및 그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유중가스분석은 변압기를 정지하지 않고, 극히 미소한 고장까지 조기에 감지할 수 있으므로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된 진단기술이라 할 수 있으며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 유효구매전력량
직접 구매자의 계량점이 발전사업자의 계량점 즉 현행 거래기준점과 다름으로 해서 직접 구매자에 따라 송전 또는 배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반영하여 물리적인 계량값을 보정한 전력량.
■ 유효전력
전등을 켜거나 전동기를 돌리는 등 전원에서 공급되어 부하에서 실제 소비되는 전력을 말하며, 무효전력에 대응되는 말이다.
■ 유효접지
1선 지락시 건전상의 전압상승이 계통전압(선간전압)의 75%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계통을 유효접지 계통이라고 하며, 1선 지락 사고시에 어느 점에서든지 영상임피던스 對 정상임피던스의 비가 (Ro/X1)≤1, (Xo/X1)≤3의 범위내에 유지되어야 한다. (Ro: 영상저항, Xo: 영상임피던스, X1: 정상임피던스) 실제적으로 유효접지를 유지하기 위하여 계통 중성점 접지를 시행하는 방법은 각 발전소에 최대용량의 변압기 한 Bank 이상을 선택하고 만약 BIL의 제약 또는 계전기 동작에 충분한 고장전류를 공급할 수 없는 발변전소에서는 필요한 변압기를 모두 접지할 수 있다.
■ 의사 부하법
전기 회로의 출력에 실제의 부하와 같은 전력을 소비하는 저항 부하를 삽입하고, 그 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실제의 회로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구하는 측정법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