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전기기술 용어 이달의 전기기술 용어 김안나 기자 2012-07-01 00:00:00

이달의 전기기술 용어

전기안전의 시작은 전기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다. 전기를 자유롭게 다루기 위한 첫걸음으로 인식하고 알아야 할 전기기술 용어에 대해 싣는다.    

역섬락

송전선의 가공지선(Ground Wire)이 뇌격을 받거나 또는 철탑에서 전격을 받을 경우, 뇌 전류는 가공지선 위를 뇌격점의 좌우로 2분하여 근접 철탑에 도달한다. 철탑에서는 일부는 철탑을 통하여 대지로 흐르고, 나머지는 다음 경간으로 가공지선 위를 전파한다. 이때 가공지선의 전위는 그 서어지 임피던스와 가공지선을 흐르는 전류와의 곱에 상당하는 값으로 된다. 가공지선의 전위와 이 전위로 인하여 송전선에 유도되는 전위와의 차에 상당하는 전압이 가공지선(또는 철탑)과 송전선과의 사이를 섬락할 만한 값으로 되면 여기에 섬락이 일어나는데 이것을 역섬락이라 한다.  

연가

3상 송전선의 전선배치는 대부분 비대칭이고 또 선로공장에 따라 지형이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각 상의 선로정수에 불평형이 발생하여, 중성점이 영전위가 되지 않고 어떠한 교번전위, 즉 잔류전압이 생긴다. 

연료 소비율

단위출력당의 연료소비량을 말한다. 보일러 또는 기관의 성능을 나타내는 하나의 척도이며, 단위는 g/kWh, ℓ/kWh 등으로 표시한다.  

연료전지

연료가 가진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물의 전기분해과정과 반대로, 수소와 산소를 결합시키는 조건을 만들어 연속적으로 직류전기와 물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는 점에서는 보통의 화학전지와 차이가 없지만 닫힌 계내(系內)에서 전지반응을 하는 화학전지와는 달리, 반응물이 연속적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고 반응생성물이 연속적으로 계외로 제거된다. 알카리형, 인산염형, 용융탄산염형 및 고체 전해질형 등으로 분류된다. 

연선

연선공사는 일반적으로 3~5km를 1연선구간으로 하며 한쪽에 전선드럼을 설치하고 다른 쪽에는 엔진을 설치하여 선로에 미리 늘여 놓은 메신저 와이어를 이 엔진으로 감아올려 전선을 끌어 당겨 연선한다. 연선장력은 평야에서 5km 이상 당길 경우 2.5ton 이하, 산악지에서 4~5km 정도 당길 경우 ACSR 410mm2 이하는 3ton 이하, 그 이상 전선은 3.5ton 이하로 하며 Block 통과 횟수는 15회 이하로 한다.

열기전력

2개의 종류가 다른 금속선의 양단을 접속하고, 두 접속점 온도를 다른 값으로 유지하면 회로에 기전력이 발생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 기전력을 열기전력이라고 한다.

열병합발전

화력발전의 일종으로 발전과 더불어 증기터빈에서 배기한 증기를 일부 추출하여 열교환기를 통해 지역난방이나 산업용으로 열을 공급하는 발전방식을 말한다. 분당 및 안양 복합화력발전소 등이 이에 속한다.  

열전자 방출

금속이나 그 산화물 중에는 열을 가함으로써, 그 표면에서 전자를 방출하기 쉬운 것이 있다. 이와 같이 열에너지를 얻어 방출되는 전자를 열전자라고 하고, 이 현상을 열전자 방출이라고 한다.

열효율

열효율이란 연료가 가지고 있는 화학에너지(발열량)을 발전에 어느 정도 유효하게 이용하였는가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발전소의 열효율에는 연소실 열효율, 터빈 열효율, 발전단 열효율, 송전단 열효율로 분류된다.  

염소처리장치

상하수도의 소독처리, 설비 냉각용 해수 및 하천수에 염소를 주입하는 장치를 말한다. 주로 상하수도의 소독처리 또는 해수나 하천수를 설비 냉각 목적으로 사용할 때 물 속에 서식하는 패류, 미생물 등이 설비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여자기

주 발전기 또는 주 전동기의 여자 전류를 공급하는 직류발전기.  

영구고장

전선(電線)의 단락·변압기의 고장·지지물의 도괴(倒壞) 등과 같이 고장을 복구하지 않으면 고장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영구고장이라고 하며, 조수(鳥獸)의 접촉·수목과의 접촉·낙뢰로 인한 고장 등 순간적으로 고장이 발생하였다가 자연 소멸되거나 재가압(再加壓) 과정 등을 거쳐 스스로 복구되는 고장을 순간고장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