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이 정부 R&D를 통해 창출한 대학·공공연구기관의 우수 특허기술이 기업에 이전되어 활용될 수 있도록 대학·공공연 대상 '17년 지식재산 창출·활용 역량 강화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발명인터뷰 및 공공 IP 활용 지원 ▲제품단위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 ▲특허경영전문가 운영 지원 ▲정부 R&D 특허설계 지원 ▲공공기관 보유특허 진단 지원 사업 등 총 5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되며 총 사업비는 68.4억 원이다.
특히 올해에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대학·공공연구기관의 유망 특허기술이 기업에게 신속하게 이전되어 사업화될 수 있도록 그동안 개별적으로 추진되어 왔던 지식재산 역량 강화 세부사업을 통합해 중점 지원하는 방식을 도입한다.
대학·공공연구기관은 기관의 지식재산 역량에 따라 5개 사업을 모두 지원하는 통합지원형 사업에 신청하거나 필요한 세부사업을 개별적으로 신청할 수 있다.
세부사업으로, 발명인터뷰 및 공공 IP 활용 지원 사업은 특허출원 전에 변리사 등 전문가 그룹이 연구자의 발명내용을 평가하여 우수한 발명만을 출원하도록 하고, 유망 특허기술을 선별하여 기술 마케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에는 기존 지원방식 이외에 기업의 수요를 먼저 조사하고 수요가 있는 기술에 한해서 특허출원 및 기술이전을 지원하는 ‘수요기반형 발명인터뷰’ 방식을 시범적으로 도입한다.
제품단위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 지원사업은 다수 대학·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를 기업이 원하는 대로 제품별로 묶어 기술이전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에는 공공 특허기술의 이전 및 상용화를 촉진하기 위해 ‘특허검증’과 ‘상용화 전략’이 추가적으로 지원된다.
또한 지식재산 창출·활용 통합지원형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대학·공공연구기관이 특허경영전문가를 자체적으로 선발해 채용한다. 이외에도 최적의 특허 권리 범위를 설정하고, 국내·외 권리 확보 전략을 지원하는 ‘정부 R&D 특허설계 지원사업’과 대학·공공연의 미활용 특허를 분석·진단해 각 기관이 보유한 특허의 관리·활용전략 컨설팅을 지원하는 ‘공공기관 보유특허 진단 사업’을 지원한다.
특허청 김태만 산업재산정책국장은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의 우수한 지식재산이 기업에 원활하게 이전되어 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새로운 시장을 선점해 나갈 수 있도록 지식재산 활용기반 조성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사업 신청은 3월 3일까지이며, 자세한 공고 내용은 특허청 홈페이지 또는 한국지식재산전략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