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신교통 ‘남산 에어카’ 타고 서울 주·야경 한눈에 본다
오는 2011년이면 서울 남산 자락에서 새로운 명물 ‘에어카(가칭)’를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서울시는 시민고객 및 국내외 관광객이 남산을 즐기며 가장 불편을 느끼고 있는 정상부로의 접근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친환경 신교통수단인 곤돌라 리프트를 설치하고 ‘에어카’라는 이름으로 운영하겠다고 26일(화) 밝혔다.
시는 남산과 같은 산악지형에 적합한 신교통수단으로 모노레일, 후니쿨라(Funicular)와 같은 육상 교통수단과 케이블카, 곤돌라 리프트와 같은 공중 교통수단을 다각도로 검토한 결과 곤돌라 리프트를 최종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산중턱을 따라 교각과 궤도를 지상위 구조물로 설치해야 하는 모노레일과, 산자락과 산마루를 연결하는 궤도를 설치해야 하는 후니쿨라의 경우엔 산자락의 나무 훼손이 지나치게 많아 제외됐으며 케이블카의 경우 수송능력 부족으로 채택되지 못했다.
<에어카는 케이블카와 남산순환버스 부족한 점들 보완하는 신교통수단>
에어카 도입은 남산을 시민들의 여가공간이자 서울의 대표적 관광 상품으로 재창조하기 위한「남산르네상스」사업의 일환으로서 기존의 교통수단인 케이블카와 남산순환버스의 부족한 점들을 보완하며 남산 방문객에게 사랑받는 명물로 각광받게 될 전망이다.
기존 ‘케이블카’는 케이블에 매달려 다른 케이블에 의해 견인되는 방식으로 운행되는데, 한번에 2대만이 운영돼 수송능력이 떨어지며 오래 기다려서 탑승을 하더라도 자리가 넉넉지 않은 실정이다. 게다가 사람이 많으면 창가 쪽 사람들에 가려 안쪽 사람들은 바깥 경치를 구경하기가 힘들다. 무엇보다 케이블카는 지하철역으로부터 거리가 멀어 이용 접근성이 떨어지는데다 운영한지 40년이 지나 시설이 노후화됐다.
또 남산순환버스는 많은 방문객들이 이용은 하고 있지만 개성이 없어 관광 상품으로서의 매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고 있다.
<친환경적이고 조망 좋아 해외에서도 인기. 서울 주·야경 한눈에 감상 가능>
곤돌라 리프트는 친환경적이고 경치를 조망하며 즐길 수 있어 해외에서도 인기가 높은 교통수단으로 꼽히는데, 홍콩 해양공원, 싱가폴 센토사, 중국 베이징, 통영 미륵산 등 국내외 주요 산악관광지 특히 스키장에 다수 설치, 운영되고 있다.
우선 상·하부 승강장 외에 산중턱에 1~2개의 지주만 설치하면 되 자연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동력으로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배출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아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 신설되는 에어카는 독립된 공간에서 서울의 야경을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가족 규모 관광객이나 커플들이 남산과 서울의 주·야경을 한눈에, 편안하게 즐길 수 있다는 점은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큰 장점으로 꼽힌다.
<예장자락~남산 정상 약 1km 구간. 접근성 뛰어나고 주요 관광지와 인접>
에어카의 노선은 예장자락에서 출발, 남산 정상까지 연결하는 약 1Km 구간이다.
특히 예장자락은 대규모 관광객이 많은 명동, 한옥마을과 가까워 시민 및 외국인 관광객들이 관광코스로 한 번에 즐겨 찾을 수 있으며, 지하철 명동역·충무로역과도 가까워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유치효과가 큰 출발지로 검토되었다.
뿐만 아니라 예장자락은 향후 남산르네상스 사업에 의해 철거 예정인 교통방송과 소방재난본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공원과 대형버스 등의 수용이 가능한 지하주차장을 설치하는 등 기반 시설을 갖출 수 있는 지역이라는 점도 긍정적으로 고려되었다.
서울시는 예장자락에 공원 및 지하주차장 조성과 더불어 주변 도로체계를 조정, 한옥마을로의 연결로를 만드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인데, 완성되면 이 지역이 명동과 한옥마을에서 남산으로 이어지는 서울의 관광메카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며 에어카도 시민과 관광객의 더욱 큰 사랑을 받게 될 전망이다.
<6인승 캐빈 27대 16초 간격 운행. 시간당 수송능력(1,350명) 케이블카의 2배>
에어카의 운행 규모는 6인승 캐빈 27대 정도로서 16초 간격으로 운행될 계획이다.
시간당 수송인력은 1,350명으로서 기존 남산케이블카가 시간당 570명 정도 실어 나르는 것을 감안하면 2배가 넘어 많은 사람들이 불편 없이 남산을 오를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타당성 검토등 사전 절차를 밟은 후 공사에 들어가 서울시 신청사 입주와 연계, 2011부터 운행에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추진한다.
소요 추정 건설비는 약 250억원이며, 서울시는 추진과정에서 민간제안이 있고 타당성 및 적격성이 검증되면 민자 유치를 적극 검토할 예정이다.
아울러 시는 국내외 운영사례 등을 참고, 운행시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하고 사고 발생 시 구조를 신속화하기 위한 방안 수립에도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김영걸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장은 “에어카가 설치되면 가족들의 나들이길과 연인들의 데이트길이 보다 편하고 즐거워질 것”이라며 “시민과 관광객들이 가기 쉬운 남산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접근성 개선 대책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수립된 기본(안)을 토대로 여론수렴 과정을 거쳐 최종(안)을 확정할 예정이며, 시행과정에서도 시민과 전문가 및 관련단체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보완 발전시켜 나갈 방침이다.
한편, 서울시는 기존의 남산 순환버스는 새로운 교통수단 설치 후에도 계속 운행할 예정이며, 지난 4월 명동역 경유 노선을 신설하는 등 이용이 더욱 편리하도록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