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해양연구소 유치로 조선해양산업 발전 기틀 러시아 해양연구소 유치로 조선해양산업 발전 기틀 김재호 기자 2009-03-30 00:00:00
전라남도가 조선해양산업의 신기술 개발과 산업화를 위해 러시아 해양연구소 유치에 나섰다.

30일 전남도에 따르면 ‘한·러 극동협력 MT-IT 융합기술 국제 공동개발 및 산업화 지원센터’를 구축, 러시아 첨단 해양기술(MT)과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IT)의 융합을 통해 조선해양산업의 신기술 개발과 산업화를 추진하기 위해 교육과학기술부에 유치 공모를 신청했다.

이 일환으로 전남도는 31일부터 4월 1일까지 광주과학기술원에서 제19차 국제과학기술센터(ISTC) 한국 워크숍(러시아 과학자 초청 한·러 MT-IT 워크숍)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유치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이번 워크숍에는 러시아의 해양정보기술(MT) 분야 권위있는 10명의 과학자들을 초빙해 연구 발표와 기술미팅으로 진행되며 교육과학기술부, 국제과학기술센터, 관련 대학, 연구원, 기업체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한·러 MT-IT 융합기술 센터 구축사업은 전남도, 광주과학기술원, 러시아 해양연구소가 공동 추진하는 사업으로 오는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향후 6년간 총 12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러시아 해양연구소에선 블라디보스톡에 소재하고 있는 태평양 해양연구소(POI)와 극동지역 수문기상학연구소(FERHRI) 등 두 연구기관이 참여하게 된다.

센터 구축사업이 확정될 경우 러시아 해양연구소의 선박, 장비, 인력을 활용해 부표용 센서, 잠수정, 로봇을 이용한 해양·수중 협업시스템이나 수중통신 전자장비 등 기기를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센터를 중심으로 특화된 조선·해양기자재 산업의 전·후방 효과를 통해 조선산업의 고부가 가치화가 촉진되고 관련기업 투자유치도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임채영 전남도 과학기술과장은 “러시아 해양연구소 유치사업은 지난해 9월 29일 한-러 정상회담에 따른 후속 협정중 해양-정보통신분야 공동연구 약정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이라며 “해양이라는 환경적 특성과 조선산업이라는 산업 연관성을 고려한다면 전남도의 러시아 해양연구소 유치는 정부의 해외우수연구기관 유치사업 취지에 가장 적합한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교육과학기술부는 해외우수연구기관 유치사업들에 대해 올해 4~5월 1~2차 평가를 통해 7월께 최종 3개 연구기관을 선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