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다사로봇
Interview
핵심기술 R&DB로 도약의 발판 2007…
2008 상반기 FPD 산업분야 매출성장 40% 훌쩍 넘겨
●●다사로봇은 리니어 스테이지 라인업을 시작으로 FPD시장 확대를 했다고 본다. 이 분야로 먼저 확장한 이유는.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서의 로봇수요는 7세대 LCD 분야의 본격투자를 시작으로 모듈 및 물류공정의 자동화에 대규모 (클린)직각로봇 적용을 중심으로 폭발적인 증가를 가져왔다.
당시 국내 디스플레이 메이커 삼성, LG는 글로벌시장에서의 선점과 선두를 목표로 지속적인 제품설계기술과 제조공정기술의 발전을 필요로 했다.
TFT, 컬러필터의 패널, 셀, 모듈공정 등 LCD공정에는 원판베이스의 대형 기판 핸들링로봇, 초정밀-얼라인/검사/고속 고정도 가공, 조립, 핸들링 등을 위한 리니어 스테이지형 로봇, 세정장비 등 공정간 반송을 위한 초장축 클린직각 로봇 등, LCD 제조기술 실현에 만족되는 다양한 형태와 성능의 FPD 로봇을 필요로 한다.
클린직각로봇과 초장축 클린로봇은 시장선점을 이미 확보하여 8세대 및 10,11세대의 대형화에 부응하였고, 보다 고속, 고정밀의 리니어 스테이지형 로봇은 다양한 LCD제조공정 및 PDP, OLED 제조공정에도 폭 넓게 응용되며, 최근에는 솔라 셀 분야의 신규시장도 있어 수요가 증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7세대 투자 초기에 수입제품 위주였던 리니어모터 드라이브&컨트롤러 국산화 개발을 이미 완료하여 리니어 서보제어기술을 확보한 다사로봇은 이들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리니어 스테이지 국산화 및 시리즈화의 라인업을 완료한 것이며, 다양한 Needs에 대응하는 초정밀 그래닛-베이스, 대형 갠트리 신현태 이사
리니어 스테이지 등 최적화 솔루션을 제공한다.
●●지난 2007년은 엔드유저의 투자 축소로 유난히 어려웠기에 올해 시장에 대한 기대가 큰데, 시장변화가 느껴지는가.
"지난해 디스플레이 분야의 투자는 양적인 측면에서 부족했었다. 결과적으로 관련로봇의 수요도 다소 감소했다.
하지만 이 기간을 오히려 활용하여 단기는 물론, 중장기 R&D 및 사업전략을 수립하고, 올해 더욱 도약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기에 충분히 가치 있는 시간이었다고 본다. 덕분에 상반기 FPD 산업분야 로봇의 매출 실적이 전년대비 40% 성장을 넘어서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하반기에도 FPD 산업분야의 투자 추이는 이어질 것으로 보여 실적이 기대되므로 밝다할 수 있다. 다만, 최근 세계 경기와 국내 경기침체의 분위기와 타 전방산업분야의 투자 추이에 동반한 영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국내시장이 주춤하며 대만과 중국시장이 대안으로 떠올랐는데, 이 시장을 위한 준비는.
지난해 디스플레이분야 국내투자 감소는 두 가지 현상과 시사점을 가져왔다.
동 분야는 글로벌-탑의 선두를 확고히 하고 있으므로 후발 대만과 중국시장에 자연적인 참여와 보상심리가 작용했고, 국내 디스플레이 제품설계기술과 제조공정기술은 세대를 뛰어넘는 격차의 발전이 한층 촉구되었다.
대만, 중국 등 후발시장의 참여는 대안이라 보기는 어렵고, 국내에서의 부가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일부공정의 해외이전 현상과 국내 축적 선진기술의 일부분이 일반화되어 후발시장에서의 가치 상승에 따른 시장창출의 효과를 자연스럽게 가져왔다.
한편, 고부가가치 핵심공정의 국내 기술발전과 대형 디스플레이의 글로벌 리딩 역할을 지속하게 해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이 투자의 견인 역할을 지속하게 만들어 주었다.
직각로봇을 포함하여 초장축 클린로봇과 리니어 스테이지형 로봇은 AUO, CMO, BOE 등 후발시장과 삼성, LGD의 해외 제조공정에 지난해와 올해 꾸준히 실적이 증가되고 있다.
●●앞서 다관절 형태의 로봇개발도 준비 중이라 했다. 시스템적인 변화는 없나.
디스플레이분야의 국내 제품 및 제조기술 수준은 세계 최고이며, 핵심공정 또한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국산화 및 기술력이 검증된 상황으로 여기에적용되는 로봇 및 관련시스템을 최적화하여 응용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VE 측면의 리엔지니어링 개념으로 로봇 및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추세다.
관련하여 WTR과 LTR 로봇개발을 준비중으로 진공로봇 기술 및 매핑 최적화 알고리즘 적용, 네트원크 기반의 고속, 고정도 차세대 로봇컨트롤러 개발 등 핵심기술 확보와 연계하여 추진되고 있다.
●●다사로봇의 FPD 관련로봇의 특징은.
디스플레이 관련 로봇시스템은 지속적인 제품설계기술과 제조공정기술의 발전으로 수요자 중심의 솔루션 제공, 즉 다양한 형태와 요구 성능을 만족하는 FPD로봇을 필요로 한다.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 원판베이스의 대형기판 공정간 반송 등을 위한 초장축 클린로봇은 대형화, 클린화에 부응하고 있으며, 고속 고정도 가공, 조립, 검사, 핸들링 등을 위한 리니어 스테이지형 로봇은 표준형 및 고객 Needs에 대응하는 초정밀 그래닛-베이스, 대형 갠트리 리니어 스테이지 등 다양한 제품 시리즈를 보유하고 있어 차세대 패널 공정에도 대응할 수 있는 Total-Solution을 제공한다.
●●FPD 로봇 분야에 있어 다사로봇의 목표 및 사업방향은 무엇인가.
FPD뿐만 아니라 분야별 벤치마킹활동을 생활화하고 있어 Needs, Wants의 분석과 방향설정으로 단기, 중장기 R&DB전략을 추진하여 선도제품을 통한 지속적인 가치창초와 성장이 목표이다. 이를 통해 국내 로봇 리딩 컴퍼니로서의 역할과 글로벌 Top을 목표로 사업을 전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