콤프레셔 관련산업 동향 - 조선·수송기계산업의 수준과 기술개발 동향 2 콤프레셔 관련산업 동향 - 조선·수송기계산업의 수준과 기술개발 동향 2 정정화 기자 2008-07-02 00:00:00

 

(6) 기술정보 및 신기술

 

 

  기업들이 기술정보를 입수하는 원천은 동종업체(21.1%) 또는 국내 연구소 및 대학(21.1%)이며, 그 외 수요업체(15.8%), 사업자단체(10.5%), 해외업체(10.5%) 등으로 조사되었다.

 


  2004년 조사시와 비교하면 기술정보의 원천으로 동종업체인 경우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술정보 수집상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정보 수집이 용이하다고 응답한 기업(5.3%)이 2004년 조사시에 비해 더 줄어들었으며, 보통(47.4%)이라고 응답한 업체의 비중이 높아졌다.

 


  또한 상당히 어렵다고 응답한 기업이 2004년 조사시보다 더 많이지고 있는 것은 기술정보의 습득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IT, BT, NT 등 소위 신기술과 기존 주력제품 기술과의 융합 추진에 대해서는 전체 기업의 15.8%가 기술융합을 추진하고 있으며, 2004년 조사(38.0%)에 비해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술융합을 추진 중인 기업의 경우 추진분야로서는 전자 기술 및 소재기술이 중심이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한편, 환경친화적 개발을 위한 중점분야로는 2004년 조사시와 유사하게 생산공정 개선(36.8%)에 소재개선(15.8%), 폐기물 감축(15.8%) 등이 중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선산업의 특성상 제품 크기의 감축, 제품 무게의 감축, 포장재개선감축 등은 거의 미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7) 기술개발 성과

 


  기술개발의 경제적 성과에 대해서 7점 척도(0:매우 미흡~4:보통~7:매우 큼)로 평가한 결과, 경제적 성과가 가장 큰 것은 품질수준 향상(4.7), 매출확대효과(4.5), 수출확대효과(4.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04년 조사시와 비교하면 수출확대효과를 제외한 품질수 준확대효과, 매출확대효과 등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발제품의 시장진출시 애로점으로는 수요업체의 가격인하 요구(31.6%)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국내 수요업체의 국산품 기피(21.1%)와 타 업체의 유사품 출시(15.8%) 등도 시장진출시 애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04년 조사시와 비교하면 기존수입품 가격인하(5.3%) 및 행정규제나 절차(5.3%) 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8> 조선산업의 기술정보 수집 난이도                                                                                       단위 : %

구분

매우어려움

상당히어려움

약간어려움

보통

약간용이

상당히용이

매우용이

2차조사(2004)

2.2

15.6

39.1

26.1

10.9

1.1

1.1

3차조사(2007)

-

21.1

26.3

47.4

5.3

-

-

 

 

<표9> 조선산업의 기술융합 대상기술                                                                                          단위 : %

구분

전자기술

소재기술

에너지기술

정보기술

환경기술

바이오기술

나노기술

기타

2차조사(2004)

18.8

28.1

3.1

25.0

18.8

3.1

-

3.1

3차조사(2007)

33.3

33.3

-

-

-

-

-

33.3

 

 

<표10> 조선산업의 환경친화개발 중점분야                                                           단위 : %

구분

2차조사(2004)

3차조사(2007)

제품 크기의 감축

2.2

-

제품 무게의 감축

8.9

-

소재의 개선

28.9

15.8

리사이클링

8.9

10.5

생산공정의 개선

34.4

36.8

디자인, 물류개선

2.2

10.5

포장재 개선, 감축

2.2

-

폐기물 감축

8.9

15.8

배출가스 감축

3.3

10.5

 

 

<표11> 조선산업의 개발제품 시장진출 애로요인                                                  단위 : %

구분

2차조사(2004)

3차조사(2007)

기존 수입품 가격인하

10.3

5.3

국내 수요업체의 국산품 기피

6.9

21.1

수요업체의 가격인하 요구

48.3

31.6

행정규제, 절차

6.9

5.3

타 업체의 유사품 출시

13.8

15.8

기타

13.8

21.1

 

 

 

<그림7> 조선산업의 기술정보 원천

 

 

 

(8) 품질관리

 


  조선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의 47.4%가 총체적 품질관리시스템(TQM)을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2004년 조사시 60%에서 하락), 품질관리 성과를 7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는 3.9로 보통 이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2004년 조사시 4.3)

 


  품질관리의 구성요소에 대한 조사에서 기업들은 설계 품질 관리(52.6%)의 비중이 2004년 조사시보다 더 높아졌으며, 종업원교육(15.8%), 소비자욕구대응(15.8%), 최고경영진의 노력(10.5%), 도급기업 품질관리(5.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9) 해외협력

 


  해외기관과 연구개발협력을 시행 중이거나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한 기업은 31.6%이며, 그 성과에 대해서는 7점 척도 기준으로 3.1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2004년 조사시 4.9).

 


  해외 연구개발 협력분야로서는 개발연구(66.7%)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응용연구(22.2%), 기초연구(11.1%)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표12> 조선산업의 품질관리 구성요소 평가                                                     단위 : %

구분

2차조사(2004)

3차조사(2007)

소비자욕구 대응

12.5

15.8

설계 품질관리

37.5

52.6

벤치마킹

-

-

도급기업 품질관리

-

5.3

품질정보 유통

6.3

-

종업원교육

25.0

15.8

최고경영진 노력

18.8

10.5

 

 

<표13> 조선산업의 정부지원 희망사항                                                            단위 : %

구분

2차조사(2004)

3차조사(2007)

연구인력 양성지원

3.5

26.3

산.학.연 연계강화 지원

20.7

15.8

연구개발자금 지원

58.6

36.8

첨단연구개발설비 확충

10.3

5.3

연구개발기반 정비 확충

6.9

5.3

연구개발 규제정비

-

10.5

 

 

<그림8> 조선산업의 기술개발의 경제적 성과

 

 

<그림9> 조선산업의 해외연구개발 협력분야

 

 

 

(10) 정부의 역할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정부의 역할로는 연구개발자금의 지원 확대라고 응답한 기업이 36.8%로 나타났으며, 연구인력 양성지원(26.3%), 산.학.연 연계강화 지원(15.8%), 연구개발 규 제정비(10.5%), 첨단 연구개발 설비 확충(5.3%) 및 연구개발 기반 정비확충(5.3%)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2004년 조사와 비교하면 연구인력 양성지원과 연구개발 규제정비에 대한 항목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