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술수준
한국 조선산업의 기술수준은 세계 최고 수준에 비하여 평균 78.2%의 수준으로 2004년 조사시(75%)에 비해 높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선산업의 기술수준이 세계 최고수준(100%) 및 상당히 추격가능한 수준(81~90%)으로 응답한 기업이 각각 26.3%로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 조사시에 비해 세계 최고 수준이거나 추격가능한 수준이라고 응답한 비율(53.1%)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과의 기술격차는 앞서고 있으나 2004년 조사시에 비해 0.7년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4.3년→3.6년)
2004년 조사시와 비교하면 ‘7년 이상 기술우위’ 항목에 응답한 업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중국의 조선 기술력이 향상되어 기술격차가 좁혀지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세계최고 수준의 제품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문 은 제품 소재관련 기술(36.8%)과 제품관련 기술(31.6%) 등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부품관련 기술(5.3%), 조립가공 기술(5.3%) 등으로 나타났다.
2004년 조사시에는 제품설계 기술이 가장 취약하였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소재관련 기술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1> 조선산업의 세계최고수준 대비 기술수준 단위 : %
구분 |
2차조사(2004) |
3차조사(2007) |
매우 뒤짐(0~20%) |
- |
5.3 |
상당히 뒤짐(21~40%) |
5.6 |
- |
약간 뒤짐(41~60%) |
16.7 |
15.8 |
뒤지나 추격가능(61~80%) |
27.8 |
15.8 |
상당히 추격가능(81~90%) |
25.0 |
26.3 |
최고에 근점. 매우 추격가능(91~99%) |
8.3 |
10.5 |
세계 최고수준(100%) |
16.7 |
26.3 |
(2) 연구개발 일반
2004년 조사시와 비교하면, 연구개발수행은 증가하였으나 사내연구관련 조직보유는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개발의 성격은 응용연구(5.3%)보다 상용화에 가장 가까운 개발연구(1~2년 내 활용가능한 연구)의 비중이 94.7%로 높게 나타났다.
2004년 조사시와 비교하면 응용연구의 비중이 감소하였으며, 개발연구의 비중은 더 높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개발의 내용은 제품기술부문(68.4%)이 공정기술부문(31.6)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신제품 개발(36.8%)과 기존제품의 개선(31.6%)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신공정 개발 및 기존공정 개선 등이 각각 15.8%의 비중으로 구성되었다.
2004년 조사와 비교하면 기존공정 개선 및 신공정 개선 부분에 대한 연구개발 비중이 높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1> 조선산업의 중국과의 기술격차
<그림 2> 조선산업의 세계최고제품 대비 취약 기술부문
<그림 3> 조선산업의 연구개발 성격
(3) 연구개발 투자
연구개발 투자액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비율은 평균 6.4%로 2004년 조사시보다 소폭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1~5%인 기업이 47.4%로 가장 많았으며, 6~10%인 기업이 21.1%, 11~15%인 기업이 10.5%, 16~20%인 기업이 10.5%로 나타났으며, 한편 연구개발 투자비율이 없다고 응답한 업체도 10.5%로 조사되었다.
기술개발투자 규모에 대한 평가는 2004년 조사시와 유사하게 현재기술의 변화추이를 따라잡는 데는 충분한 반면, 향후 신기술개발을 하는 데는 부족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현재의 기술변화 추이를 따라 잡는 데는 현재의 투자규모 로 충분하다는 기업이 약 31.5%, 향후 신기술개발에 대해서는 26.4%가 충분하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연구개발 투자의 재원은 대부분의 기업이 사내유보로부터 조달하고 있는 것(63.2%)으로 2004년 조사시보다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에 비해 정부지원의 비중은 감소하고 금융권으로부터의 금융조달 부분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2> 조선산업의 연구개발 일반 현황 단위 : %
|
연구개발 수행여부 |
사내 R&D 조직 보유 |
2차조사(2004) |
83.5 |
85.7 |
3차조사(2007) |
84.1 |
84.1 |
<표3> 조선산업의 연구개발 내용 단위 : %
|
2차조사(2004) |
3차조사(2007) |
신제품 개발 |
40.0 |
36.8 |
기존제품 개선 |
43.3 |
31.6 |
신공정 개발 |
10.0 |
15.8 |
기존공정 개선 |
6.7 |
15.8 |
<표4> 조선산업의 연구개발투자의 매출액 대비비율 단위 : %
투자비율 |
0% |
1~2% |
3~4% |
5~6% |
7~8% |
9~10% |
10%이상 |
2차조사(2004) |
- |
39.2 |
30.9 |
18.6 |
3.1 |
6.2 |
2.1 |
투자비율 |
0% |
|
1~5% |
|
6~10% |
11~15% |
16~20% |
2차조사(2004) |
10.5 |
|
47.7 |
|
21.1 |
10.5 |
10.5 |
<표5> 조선산업의 기술개발 투자규모에 대한 평가 단위 : %
|
매우부족 |
상당히부족 |
약간부족 |
보통 |
약간충분 |
상당히충분 |
매우충분 | |
2차조사 (2004) |
현기술수준추격 |
- |
17.4 |
22.5 |
37.8 |
15.3 |
6.1 |
1.0 |
향후신기술개발 |
- |
28.9 |
25.8 |
26.8 |
5.2 |
4.1 |
1.0 | |
3차조사 (2007) |
현기술수준추격 |
5.3 |
- |
21.1 |
42.1 |
10.5 |
10.5 |
10.5 |
향후신기술개발 |
15.8 |
10.5 |
10.5 |
36.8 |
5.3 |
15.8 |
5.3 |
<그림4> 조선산업의 연구개발 투자비 조달원
(4) 연구개발 인력
한편, 연구개발 인력 비율이 10%가 넘는 기업의 비중이 21.0%로 2004년 조사시(12.4%)보다 높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개발 인력 수준에 대한 평가는 현재의 기술 변화추이를 따라잡거나 향후 신기술개발을 위해서 대체로 부족하다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신기술 개발부문에 대해서는 2004년 조사시와 비교하면 충분하다는 기업이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매우 부족하다고 응답한 업체(15.8%)의 비중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5) 연구개발 방식
2004년 조사시와 비교하면 전략적 제휴 및 기술도입의 비중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자체개발의 비중이 높은 가운데 공동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개발이나 전략적 제휴의 경우에는 그 대상으로 국내 대학이나 연구소와의 협력(33.3%)을 주로 택하고 있으며, 수요기업(26.7%), 해외기관(13.3%), 부품/소재공급기업(8.3%) 등으로 조사되었다.
2004년 조사시와 비교하면 외부연구소 및 대학과의 협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으며, 수요기업과 공동개발 또는 전략적 제휴를 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발협력의 결과로 성과 발생시 배분규칙을 보유한 기업은 약 21.5%로 대부분의 기업이 배분규칙을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4년 조사시보다도 감소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6> 조선산업의 연구개발인력/종업원 비중
인력비율 |
0% |
1~5% |
6~10% |
11~15% |
16~20% |
21~25% |
26%이상 |
2차조사(2004) |
1.0 |
55.7 |
30.9 |
9.3 |
1.0 |
- |
2.1 |
3차조사(2007) |
10.5 |
47.4 |
21.1 |
10.5 |
10.5 |
- |
- |
<표7> 조선산업의 연구개발인력 평가
|
매우부족 |
상당히부족 |
약간부족 |
보통 |
약간충분 |
상당히충분 |
매우충분 | |
2차조사 (2004) |
현기술수준추격 |
- |
15.3 |
36.7 |
34.7 |
11.2 |
2.0 |
- |
향후신기술개발 |
9.4 |
36.5 |
34.4 |
15.6 |
3.1 |
1.0 |
- | |
3차조사 (2007) |
현기술수준추격 |
5.3 |
- |
21.1 |
42.1 |
10.5 |
10.5 |
10.3 |
향후신기술개발 |
15.8 |
10.5 |
10.5 |
36.8 |
5.3 |
15.8 |
5.3 |
<그림5> 조선산업의 기술개발 방식
<그림6> 조선산업의 기술개발협력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