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로봇기술
산업통상부가 주최하고 한국AI·로봇산업협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가 공동 주관하는 ‘2025 로보월드(ROBOTWORLD 2025)’가 11월 5일(수) 경기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 1·2홀에서 개막했다. 올해로 20주년을 맞이한 이번 행사는 11월 8일(토)까지 4일간 진행된다.
2025 로보월드는 ‘스마트 라이프, 스마트 인더스트리(Smart Life! Smart Industry!)’를 주제로, 산업 현장뿐 아니라 일상생활 전반으로 확산되는 로봇 기술 혁신을 종합적으로 조망하는 자리다.
올해 전시에는 국내 300개사와 해외 50개사 등 총 350개 기업이 1000부스로 참가하며, 주최 측은 약 5만 명의 참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산업용 로봇, 서비스 로봇, 물류 로봇(AGV/AMR), 로봇 부품, 스마트제조 솔루션, 소프트웨어, 드론 등 로봇 및 자동화 산업 전 분야를 망라한다.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 AI 로봇, 자율주행 로봇 등 차세대 기술과 솔루션이 대거 공개돼 산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올해 로보월드는 국제로봇연맹(IFR)이 주관하는 ‘2025 국제로봇심포지엄(ISR Asia)’과 동시에 열렸다. 이번 심포지엄은 휴머노이드·AI·자동화·사이버보안 등 4개 트랙, 40개 세션으로 구성돼 있으며, 전 세계 로봇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이 혁신적인 연구성과를 발표한다.
개막식에는 산업통상부 신용민 기계로봇제조정책과장, 한국AI·로봇산업협회 김진호 회장,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 류지호 직무대행, 제어·로봇·시스템학회 오준호 차기회장, 한국로봇융합연구원 강기원 원장, 한국로봇학회 김정 회장 등 국내 주요 인사와 함께,
국제로봇연맹 다카유키 이토 회장, 미국자동화발전협회 제프 번스타인 회장, 중국로봇산업협회 레이 레이 왕 부회장, 중국광둥로봇산업협회 렌 유통 회장, 호주로봇산업협회 수 케이 회장, 대만자동화협회 웬 젠첸 사무국장, 태국자동화협회 타위 파와다 이사, 아시아태평양로봇산업협회 올리버 티엔 회장, 말레이시아로봇산업협회 이슈칸다르 바하린 회장, 일본로봇협회 노부요시 시미즈 홍보부장 등 세계 각국 로봇 기관 대표들이 참석했다.

한국AI·로봇산업협회 김진호 회장 / 사진. 로봇기술
김진호 회장은 환영사에서 “1999년 로봇 기업들의 작은 모임이 2006년 로보월드로 발전해 20년 동안 놀라운 성장을 이뤄냈다”라며, “로보월드가 이제 전 세계 로봇인들이 교류하는 대한민국 로봇 산업의 심장으로 자리매김했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로봇이 AI와 결합해 제조 현장을 넘어 일상 전반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으며, 피지컬 AI와 헬스케어 로봇 등 새로운 분야에서 로봇의 황금기가 열리고 있다”라며, 향후 “세계 시장 주도와 건강한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이번 2025 로보월드는 산업 전시와 학술 행사를 넘어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 창출에 중점을 뒀다.
11월 5일(수)부터 7일(금)까지는 국내외 바이어가 참가하는 수출·구매상담회가 진행되며, 11월 7일(금)에는 ‘스타트업 이노베이션 데이’를 통해 초기 로봇기업의 투자유치와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또한 11월 8일(토)에는 참가기업의 신제품 런칭쇼 및 라이브커머스가 열려 최신 로봇 기술을 대중에게 직접 선보인다.
이날 개막식에서는 ‘2025년 로봇 산업 발전 유공자 포상식’도 함께 진행됐다. 김진호 회장은 “현장에서 헌신해 온 산업인, 연구자, 교육자들의 노고 덕분에 K-로봇의 위상이 세계적으로 높아졌다”라며 공로자들에게 감사를 전했다.

국제로봇연맹 다카유키 이토 회장 / 사진. 로봇기술
다카유키 이토 회장은 축사에서 “서울은 로봇공학의 자랑스러운 전통을 이어가는 혁신의 중심지”라며, “로봇공학이 인공지능, 감지, 연결성 등 첨단 기술과 결합하며 우리 경제의 모든 분야를 변화시키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기술은 사람을 위해 존재해야 하며, 우리는 기술과 인간이 함께 발전하는 사회를 만들어가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2025년 로봇 산업 발전 유공자 포상자 기념 촬영 / 사진. 로봇기술
이번 로보월드는 단독 전시가 아닌 융합 전시 형태로 진행됐다.
‘2025 드론·도심항공모빌리티박람회’, ‘2025 디지털미디어테크쇼(DMTS)’, ‘디지털퓨처쇼(DFS)’, ‘TAS(The AI Show) 2025’ 등 5개 산업 전시회가 동시에 개최돼 로봇·AI·디지털 기술 간 시너지를 극대화했다.
개막식 이후 진행된 VIP 전시장 투어에서는 국내 대표 로봇 기업인 브릴스, 뉴로메카, 건솔루션, 로봇앤드디자인, 유진로봇, 티로보틱스, 한국기계연구원, 나우로보틱스 등이 참여해 신기술을 선보였다.
올해로 20주년을 맞이한 ‘2025 로보월드’는 K-로봇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며, 한국 로봇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차세대 기술 교류의 장으로 그 위상을 더욱 공고히 했다.

![[전문가 기고] 조선작업용 용접로봇의 현주소와 미래 - 페어이노](https://file.yeogie.com/img.news/202506/md/zlxTrfq6oy.jpg)







![[인터뷰] 30년 송풍기·환풍기 외길, 방폭 라인업으로 도약하는 이노텍](https://file.yeogie.com/img.news/202510/md/mrYUU3cwgL.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