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전기기술 용어 이달의 전기기술 용어 김안나 기자 2012-09-06 00:00:00

이달의 전기기술 용어 

전기안전의 시작은 전기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다. 전기를 자유롭게 다루기 위한 첫걸음으로 인식하고 알아야 할 전기기술 용어에 대해 싣는다.  

■ 운영 예비력

단기적인 운영계획 수립단계에서 예상치 못한 공급 차질 및 설비고장, 부하의 변동 등이 발생하였을 때에도 규정된 주파수를 유지하고 안정된 전력공급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120분] 이내에 운전할 수 있으며 정지 중인 예비설비를 가동하여 부하를 담당하게 될 때까지 발전할 수 있는 공급능력 여유를 말하며 현행 전력시장운영규칙에서는 [400만kW] 이상을 운영 예비력으로 확보토록 하고 있다. 

■ 운전율

발전기 또는 어떤 기기가 일정 기간 운전될 때, 전체시간에 대한 실제 운전된 시간의 비를 말한다. 

■ 원심 분리기

날개차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기 어려운 액체와 고체 또는 비중이 다른 액체를 분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 원심 송풍기

날개차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해 기체를 압송하는 송풍기를 말한다. 압력비 1.1 미만의 원심 팬 및 압력비 1.1 이상 2.0 미만의 블로워(Blower)를 총칭한다.  

■ 원자력발전

반응을 일으켜 발생한 열을 이용, 고온고압의 증기를 발생시켜 터빈을 돌려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방식을 말한다. 핵분열 반응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방식으로 화력발전소의 보일러 부분이 원자로 계통으로 치환된 것이다. 경수로에서는 연료로 저농축 우라늄을, 감속재 겸 냉각재로 경수를 사용한다. 중수로에서는 연료로 천연우라늄을 감속재로 중수를 쓴다.  

■ 원자로

우라늄, 플루토늄 등의 핵분열 물질을 연료로 하여 핵분열의 연쇄 반응을 제어하면서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장치를 말한다. 원자로는 화력발전의 보일러와 똑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우라늄 전용 보일러라고 할 수 있다. 

■ 위상

전기적 또는 기계적인 회전에서 어떤 임의의 기점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 위상 반전회로

하나의 입력 신호로 입력 신호에 대하여 동상과 역상의 2개의 출력 신호를 동시에 발생하는 회로.  

■ 위상 변별기

어떤 위상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위상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회로로서 위상 검파기라고도 한다. 

■ 위상 변조

신호파의 순시 값에 따라 반송파의 위상을 바꾸는 방식의 변조.

■ 위상 복조

위상 변조를 받은 파에서 신호를 추출하는 것을 말한다.  

■ 위상/위상각

전기적 또는 기계적 파형이 임의의 기점에서 갖는 상대적 위치이다. 직류는 전압과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항상 일정하지만, 교류전기에서는 주기적으로 전압과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변화한다. 교류전기에서 나타나는 전압과 전류의 크기와 방향은 물결 모양의 파형(波形)을 이루고 있는데 위상(또는 위상각이라고도 한다)은 어느 시점에서 파형의 위치를 말한다.

■ 위상차

동일 주파수 2개의 정현파 교류 파형의 위상차를 각도로 표시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