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인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중소기업들의 투자 계획도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9월 14일(금)부터 20일(목)까지 중소제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제조업 투자 현황 파악 및 정책의견 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에서 4분기(10월~12월)에 투자의향이 있는 중소제조업체는 15.7%에 불과했다.
우선, 올해 1~9월 기간 중 투자실적이 있었던 기업은 63.3%, 투자실적이 없었던 기업은 36.7%인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4분기 투자 의향에 대해서는 응답기업 50.0%가 ‘없다’고 답했고, ‘있다’는 기업은 15.7%에 그쳤으나, ‘미정’인 업체가 34.3%로 나타나, 단기적 여건에 따라 유동적으로 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기업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의향 없는 기업의 경우, 그 이유에 대해 ‘투자여력 없음(42.0%)’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수요부진 지속 예상(25.3%)’이라는 응답도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응답기업의 11.0%는 현재 해외 생산시설이 있거나, 향후 해외 생산시설을 설립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인건비·근로시간 등 노동조건이 국내보다 좋아서(30.3%)’, ‘거래 기업의 해외 진출에 따른 동반진출(30.3%)’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중소제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역점을 두어야할 경제정책 방향(복수응답)으로는 ‘내수활성화(63.0%)’를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고용안정·인력난 해소(32.7%)’, ‘자금조달 경로 다각화(32.7%)’, ‘수출활성화(26.0%)’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