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화 업계 최대 전시회인 ‘SmartFactory+AutomationWorld2018(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이 산업통상자원부 및 중소벤처기업부 주최로, 지난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간 COEX에서 개최됐다.
전시기간 동안 총 29,954명의 참관객이 방문한 것으로 집계된 이번 전시회에는 지멘스(Siemens)를 비롯해서 한국미쓰비시전기 등 국내 자동화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과 오토닉스 및 여의시스템, 한영넉스 등 국내 대표 제어기기업체 및 터크코리아, 발루프코리아, 코그넥스, 와고코리아, 서보스타 등 국내 자동화산업을 이끌고 있는 기업들이 대거 참여해, 뜨거운 홍보전을 펼쳤다.
특히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메이저급 자동화 업체들이 필드 단의 데이터를 OPC UA를 통해 클라우드로 전송하는 기술을 선보이면서, 인더스트리4.0 기술을 현실화하고 있는 행보를 보여준 것이 특색. 또한 인더스트리 4.0이라는 전체적인 기술을 완성하기 위해, 여의시스템이나 터크 등의 업체들은 관련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개발된 제품을 선보이면서, 기업을 넘나드는 인더스트리 4.0 기술을 소개하면서 참관객들을 끌어 모았다.
한편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주최하는‘SIMTOS2018’이 4월 3일부터 7일까지 5일간, 일산 KINTEX에서 개최됐다. 1,100개 사의 업체가 6,000 부스 규모로 참가한 이번 전시회에는 약 100,000명의 참관객이 방문한 것으로 집계됐다.
현대위아를 비롯한, 두산공작기계, 화천기계, 스맥, 한국화낙 등 공작기계 업계를 대표하는 업체들은 물론, 지멘스와 한국미쓰비시전기, 삼천리기계, 다인정공, 레니쇼코리아 등의 업체가 참가해, 신제품 위주로 홍보를 전개하면서 볼거리를 제공했다.
주요업체들의 전시현장을 취재했다.
⑲오코텍코리아
전장 자동화 전용 툴 ‘EB Electrical’
오코텍(AUCOTEC)은 전장CAD 솔루션인 엔지니어링 베이스(ENGINEERING BASE)를 공급하고 있는 독일의 설계 소프트웨어 업체로, 지난 2016년 국내에 지사가 설립 됐다.
엔지니어링 베이스는 폭스바겐이나 GE Grid 등 각 산업 분야의 리더에 해당하는 수요자들과 공동으로 개발됨 으로써, 산업군별로 특화되어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엔지니어링 베이스 제품군에는 전장 자동화 전용 툴인 EB Electrical, 하네스 설계 전문 툴인 EB Cable, 전력 설계 툴인 EB Power, 공정설계 툴인 EB Instrumentation 라는 4가지의 툴이 있는데, 이번 전시에서는 전장 자동화 전용 툴인 EB Electrical을 주력으로 소개했다.
현장인터뷰
엔지니어링 베이스는 예측정비와 같은 스마트 제조에 적합한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어
오코텍코리아 김홍열 지사장(오른쪽)과 직원들
Q.오코텍은 이번 전시기간 동안 제조업계에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나?
A. 오코텍의 엔지니어링 베이스는 기본적으로 설계 툴인데, 이번 전시회에서는 설계 툴을 가지고 도면을 그린다는 본연의 기능 외에, 도면을 그리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부분들, 그리고 그 정보가 온라인상에서 관리가 되면서 정보를 통해서 예를 들어서 예측정비와 같은 스마트 제조에 적합한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들을 소개하는 것이 기본적인 목적이다.
따라서 이번 전시에서 두 가지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하나는 카이저(KAESER)라는 독일 압축공기장비 업체의 사례다. 압축공기는 생산현장마다 요구하는 양이 다 다르다. 하나의 현장이라고 해도 개보수나 증축이 일어나면 압축공기의 필요량이 달라질 수 있거나 하기 때문에 카이저는 대단히 변수가 많은 제품을 납품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어떤 때는 압축기 하나짜리, 어떤 때는 4개짜리, 8개짜리 장비를 납품 하고 있는데, 그러다 보니까 컨피규레이션 기술이 중요하다. 따라서 케이저는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여러 종류의 제품을 커버할 수 있게끔 소프트웨어를 플랫폼화 시켜 놓고 있고, 예측정비 솔루션을 함께 공급하고 있다.
압축기의 부품을 교체한다든지 하는 것이 목적이고, 그러다보니 예측정비시스템과 압축기를 실제로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쪽에 컨피규레이션 정보를 줄 수 있는 주체가 필요하다. 이 현장에 들어가 있는 장비가 한 개짜리다, 이 한 개짜리가 다음해에는 두 개짜리로 바뀌었다라고 하는 정보를 줄 수 있는 플랫폼으로 엔지니 어링 베이스를 활용하고 있다.
엔지니어링 베이스가 도면상에 한 개짜린지 두 개짜린지 표현이 되어 있고, 실제 데이터 상에도 항상 최신 데이터로 관리가 될 수 있으며, 또 그 데이터가 온라인상에서 액세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 정보를 이용해서 예측정비시스템과 제어 시스템을 컨피규레이션하는데 활용하고 있는 사례다.
케이저가 엔지니어링 베이스를 사용한 것은 5년 이상 됐고, 유지보수와 연계한 것은 최근이다.
또 하나의 사례는 시스템에 정보를 제공하는 측면으로, 이는 사람의 편리성을 위한 것이다.
올해 하노버메세에서 오코텍은 미국의 인공지능(AI) 전문 업체인 퀵로직스(Quicklogix)와 협력하여, 엔지니어링 베이 스와 빅 데이터를 활용한 엔지니어링 세부 정보 검색 기능에 대한 새로운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예를 들어서 플랜트를 전문으로 하는 A라는 기업이 있다고 하면, 이 기업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사업을 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해왔던 엔지니어링 데이터가 대단히 방대할 수밖에 없다. 신규 프로젝트를 할 때 기존 프로젝트를 참조해서 재활용을 하면 가장 좋은데, 찾아내는 것 자체가 쉽지가 않다.
과거 파일 기반 시스템은 찾는다는 것 자체가 거의 불가능했고, 오코텍처럼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에는 부품번호 같은 키워드를 이용해서 찾는 것은 가능했는데, 부품번호를 이용해서 찾는 것도 한계가 있다. 그래서 이 회사와 공동 개발한 것은 구글과 같은 검색기능, 예를 들어서 최대 설계압력이 20바인 오일저장용 버퍼탱크라는 검색어를 치면 지금까지 이 기업이 했던 설계이력 중에서 여기에 매칭되는 설계이력들이 나오고, 이 가운데 설계자가 가장 적합한 것을 찾아서 재활용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다.
지금 얘기한 두 가지 사례, 시스템을 위한 사례든 사람의 편의를 위한 사례든 가장 근간이 되는 기본기술은 온라인상에서 운영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다. 기존의 파일기반 시스템의 스마트 제조시대에서의 가장 큰 단점은 오픈하기 전에는 저장 공간만 점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파일기반 시스템이 오픈을 해야 사람이 조작을 할 수 있고, 정보를 추출을 해낼 수 있는 형태인데 비해서, 엔지니어링 베이스는 온라인상에 항상 살아있는 정보로서 다른 시스템에서 액세스할 수 있고, 검색기능과 같이 원하는 기능을 실시간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설계 본연의 기능보다는 도면을 그린다는 기본적인 기능 이면에 있는 정보생성 그리고, 정보를 활용한다 는 측면을 강조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