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신경인성 방광’ 질환 건강보험 진료환자 현황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1년~2016년 ‘신경인성 방광’ 질환으로 진료 받은 진료 인원은 2011년 30만 1천 명에서 2016년 41만 5천 명으로 연평균 6.6%가 증가했다. 남성은 2011년 11만 명에서 2016년 14만 8천 명으로 연평균 6.1%가 증가했고, 여성은 2011년 19만 명에서 2016년 26만 6천 명으로 연평균 6.9%가 증가했다.
2016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 현황을 살펴보면, 70대 이상(14만 2천 명, 34.1%)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60대(8만 명, 19.4%), 50대(7만 2천 명, 17.4%)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70대 이상(3만 9천 명, 26.0%)이 가장 많았고, 60대(2만 6천 명, 17.7%), 50대(2만 3천 명, 15.2%) 순이며, 여성은 70대 이상(10만 3천 명, 38.7%)이 가장 많았고, 60대(5만 4천명, 20.3%), 50대(4만 9천 명, 18.6%) 순으로 나타났다.
● 신경인성 방광의 증상
다양한 배뇨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요폐, 요의소실, 진성요실금, 빈뇨, 야간뇨, 불수의적 배뇨근 수축으로 인한 절박뇨 및 절박성 요실금 등이 있을 수 있고 다량의 잔뇨나 요폐로 인해 상부요로 기능 저하 혹은 신부전, 요로감염증으로 인한 패혈증까지 유발할 수 있다.
● 신경인성 방광의 원인
척수손상, 파킨스병, 뇌졸중, 허혈성 혹은 출혈성 뇌병변, 치매, 뇌성마비, 다발성경화증, 다계통위축증, 오래 지속된 당뇨병 등 여러 원인으로 유발될 수 있다.
● 신경인성 방광의 치료
치료 목적으로는 증상 호전, 기능적 능력 회복, 삶의 질 향상, 이차적인 부작용 발생 방지, 상부요로악화 예방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치료 방법으로는 청결 간헐적도뇨법이나 치골상부 요도카테타삽입술, 약물치료, 전기 자극이나 신경조정요법, 방광 내 약물주입이나 보톡스 주입술, 인공요도삽입술 등이 있다. 그렇지만 무엇보다 신경인성 방광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이에 대한 치료도 반드시 병행해야 한다.
● 신경인성 방광의 조기치료 필요성 및 예방법
신경인성 방광의 증상은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요폐 등으로 인한 하부요로폐색증상이 오래 방치될 경우는 신장 등의 상부요로 기능 저하로 인한 신부전으로 혈액투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고 진성요실금 등은 지속적인 요로감염증이나 방광용적 저하로 인한 방광요관역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요로계 결석 질환이나 발기부전증 등도 유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런 증상이 있을 경우는 요로감염에 대한 조기 치료를 병행하면서 지속적인 잔뇨량 증가가 있을 경우 효과적으로 줄여야 하며 주기적인 상부요로기능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비외상성 신경인성 방광일 경우는 원질환에 대한 꾸준한 치료가 병행돼야 하고 특히 뇌병변으로 인한 경우는 재활치료도 중요하다.
배뇨근과반사 형태가 많은 경우는 자극적인 식습관이나 과도한 카페인 섭취는 반드시 제한해야 하고 지속적인 약물치료로 배뇨근의 과압을 저하시켜야 한다.
저수축성 방광이나 배뇨근무반사 형태인 경우에는 청결간헐적도뇨법이나 카테터의 청결을 유지하고 요로감염에 대한 지속적인 예방과 함께 꾸준한 수분섭취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