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공항 새 활로 찾기" 추진 제8차 무역투자진흥회의서 ‘주민 편의성↑지역경제 견인’ 방안 발표 신혜임 기자 2015-07-10 19:12:26
이용객이 적어 적자 운영을 면치 못하는 지방공항을 살리기 위해 민관이 함께 해법을 마련했다. 지방공항의 항공노선 신설·신규 취항 시 항공사 제공 특전 확대, 지역관광객을 위한 항공-관광 연계 통합 사이버 포털 구축 등의 지방공항 활성화 방안을 민관이 공동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장관 : 유일호)는 7월 9일 개최된 제8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관광산업 활성화 대책”의 세부과제로 이 같은 “지방공항 활성화”방안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 지난 2월 “민관 합동 공항활성화 협의체”(주관 : 항공정책실장)를 구성하여, 지방공항 활성화 과제를 검토
국토·문화·법무부·관세청 등 관계부처(4), 지자체(13), 한국·인천공사, 관광공사(3), 항공사(8), 여행업협회(1), 학계·연구기관(2) 30여 기관으로 구성


“지방공항 활성화 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지방공항 공항시설사용료 감면 혜택 확대

수요가 적은 지방공항에서 국제선 노선신설, 신규취항 또는 증편할 경우 항공사에 대해 공항시설사용료 감면 혜택을 확대한다.

기존 국제선 노선신설·취항 시에 공항시설사용료(착륙료·정류료·조명료)를 3년간 30~100% 감면해 왔으나 ’16년부터는 3년간 100% 면제한다.

또한 국제선 노선의 증편 운항 시 공항시설사용료를 3년간 20~50% 감면해 왔으나, 앞으로 30~100%로 감면을 확대한다.

이에 따라 국제선 신규노선·취항시에는 3년간 총 1억 7천만원 수준(B737, 주6회기준, 기존 2억→변경 3억7천)의 공항시설사용료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증편시에는 3년간 총 7천만원 수준(B737, 주3회 증편 기준, 기존 4천만→변경 1억1천만)의 비용 절감이 가능해 지방공항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올해 하반기 중 한-중협력회의 개최 등을 통해 양국 지방공항 간 노선 증편에 대한 공감대 형성 등 중국 노선 신설을 위한 노력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 한-중 항공노선 확대 : ‘14.4월 항공회담을 통해 주 90회 증회. 지방공항에 47회 배정(청주-연길, 제주-시안, 광주(무안)-톈진 등 11개 노선 신규개설)

또한, 여객터미널이용률이 30%이하인 공항*을 운항하는 기존 노선의 경우 현재 공항시설사용료를 50% 감면하고 있으나, 해당 공항 노선 중 탑승률이 저조(연간 평균 탑승률이 65% 미만)한 노선의 경우 공항시설사용료의 20%p 추가 감면*으로 총 70%를 감면하여 항공사의 운항부담을 완화한다.
* 대상공항 : 대구, 무안, 양양, 울산, 여수, 사천 등 6개 공항 * ’15년 상반기 기준 대상 노선 : 여수-김포(45.7%), 사천-김포(37.9%)

공항시설사용료 20%p 추가 감면시 연간 8천만원 수준(B737, 주54회 운항노선 기준, 기존 1억9천→변경 2억7천)의 비용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항시설사용료 감면 혜택은 공항공사·항공사 등 협의를 거쳐 세부계획을 올해 내로 마련하여 ’16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다.